세상에서 가장 큰 적극적인 선행

 

방생(放生)’이란 살생에 대비되는 말로 잡은 물고기나 새, 짐승 등의 생물을 놓아 주어 자유롭게 살 수 있게 해주는 것을 말한다. 불전의 범망경 梵網經이나 금광명경 金光明經에 보면 살생이나 육식을 금하여 자비를 실천하도록 하는 뜻에서 행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예부터 불교에서는 방생계를 조직하여 방생회를 베풀고 있다.

 

방생은 살생과 반대적인 개념의 용어이다. 살생을 금하는 것이 소극적인 선이라면, 방생은 적극적인 선을 행하는 것이다. 죽음에 이른 생명을 구해주는 방생은 생명체를 자연으로 환원시킨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고 하겠다. 오늘날 불자들이 하는 방생은 금광명경 권4 유수장자품에서 기인하고 있다.

 

 

물고기를 살린 유수장자에서 비롯

 

유수장자는 물이 말라붙어 물고기가 생명을 잃게 되자 두 아들과 함께 물이 말라붙은 늪에 물을 가득채우고 먹을 것을 주어 물고기를 살려냈다. 방생에 대한 이야기는 많이 전하지만 중국 북송 때 연수선사의 이야기에서 방생의 참 의미를 찾을 수가 있다. 연수선사는 출가를 하기 전 창고지기였다고 한다.

 

연수선사는 창고지기를 하면서 창고에 있는 공금으로 사람들에 의해 죽음에 처해 질 물고기 등을 사서 방생을 했다는 것. 그러다가 공금을 사용한 것이 들켜 죽음에 이르게 되었다. 다행히 풀려난 연수선사는 출가를 했고, 출가 후에도 낮에는 방생을 하고 밤이면 귀신들에게 먹을 것을 주었다고 한다. 그래서인가 연수선사가 정진을 하면 새가 품에 들어와 둥지를 틀었다고 전해진다.

 

 

이런 사람은 반드시 방생을 해야

 

방생은 누구나 다 선을 베풀기 위해 해야만 하는 선행이다. 하지만 다음과 같은 이유를 가진 사람은 반드시 방생을 해야 한다고 적석도인은 칠종방생에서 이르고 있다.

1. 무자식은 반드시 방생을 해야 자녀를 얻는다.

2. 자식을 잉태하면 반드시 방생을 해서 산모를 보호하야 한다.

3. 방생을 하여 많은 복을 지어야 한다.

4. 뜻을 이루고자 하면 미리 방생을 하여 자선을 행하라

5. 계를 받기 전에는 반드시 먼저 방생을 행하라

6. 복록을 받고자 하면 먼저 방생으로 선을 베풀어 복을 쌓아라

7. 염불을 하기 전 미리 방생을 하여 자비심을 일으켜라

등을 말하고 있다. 방생은 죽을 목숨을 살려내는 것이기 때문에 그 무엇보다도 인간이 반드시 행할 선이라는 것이다.

 

 

방생회를 위해 주천강을 가다

 

방생은 일 년 내 어느 때라도 가능하다. 대개 정월 보름을 맞이해 방생을 행하는 것은 일 년 동안의 무해무탈을 기원하고, 평안을 위해서이다. 12일 오후 방생을 하기 위해 20여명이 주천강을 찾았다. 날이 따듯하다고는 하지만 강바람과 일찍 해가 떨어지는 산 속을 흐르는 물가라 바람도 차고 거세다.

 

미리 준비한 미꾸라지를 물에 놓아주고, 먹을 것을 위에 뿌려준다. 유수장자의 행함을 그대로 따라하는 것이다. 처음에는 찬 물에 들어간 미꾸라지들이 움직이지 않더니 이내 바위틈 사이로 모두 사라져버렸다. 촛불과 향을 켜고 열심히 각자의 마음속에 있는 서원을 비는 사람들. 한편에서는 일일이 호명을 하면서 축원을 해준다.

 

비록 많은 사람들이 참여하지는 못했지만, 정초의 방생으로 인해 사람들마다 한 가지 서원을 이룰 수만 있다면 이보다 좋은 일이 어디 있겠는가? 두 시간여 만에 끝난 방생회지만 죽을 생명을 살렸다는 기쁨과, 한 가지 서원을 이룰 수 있다는 마음으로 회장을 정리하고 돌아섰다. 오늘 자연으로 환원한 생명들이 오래도록 그 자연에 살아있기를 바라면서.

강원도 영월군 수주면 무릉리 산139에 소재한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74호인 영월무릉리마애여래좌상은 영월군 수주면의 주천강(酒泉江)이 흐르는 곳에 요선정이라는 정자 옆 커다란 바위에 조각을 한 마애불이다. 이 마애불은 요선정 동쪽에 있는 커다란 바위에 새겨진 높이 3.5m의 여래좌상이다.

 

마애불 옆에 지은 요선정(邀僊亭)은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41호로 지정이 되어있다. 1915년에 무릉리에 거주하는 요선계 회원들이 지은 이 정자는, 앞으로는 저 아래 계곡으로 남한강의 지류인 주천강이 흐르고 있다. 경관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정자 앞 바위에는 마애불이 새겨져 있고, 석탑 1기가 있어 이 정자가 예사롭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박진감이 넘치는 마애여래좌상

 

하나의 바위에 부조로 새겨진 마애여래좌상은, 타원형의 얼굴에 양감이 풍부하여 박진감이 넘치고 있다. 법의는 묵직하게 표현을 하였는데 옷은 양 어깨에 걸쳐 입고 있으며, 간략한 옷 주름을 선각으로 표현을 하고 있다. 두 손은 사실적으로 표현하였는데, 가슴까지 올린 오른손은 자연스럽게 펴서 손등을 보이고, 왼손은 오른손과 평행하게 들어 손바닥을 보이고 있다.

 

바위에 3.5m나 되는 크기로 돋을새김과 선각으로 처리를 한 마애여래좌상은 주천강을 내려다보고 있는 형태로 새겨져 있다. , , 입 등이 큼직하게 표현이 되어, 상당히 힘이 넘치지만 균형이 제대로 맞지 않아 조금은 부자연스럽게 보인다.

 

 

부처의 몸에서 나오는 빛을 형상화한 광배는 연꽃무늬가 도드라지게 새겨진 머리광배와, 두줄의 선으로 표현된 몸 광배를 갖추고 있다. 하체는 지나치게 크게 표현하여 전체적인 균형을 잃고 있으며, 불상이 앉아 있는 좌대에는 연꽃무늬가 도드라지게 새겨져 있다. 상체의 표현이 사실적이고 박진감이 넘쳐나지만, 지나치게 커진 무릎이 균형이 잘 맞지 않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 무릉리마애여래좌상은 고려시대 영월지방의 대표적인 마애불상으로 보인다.

 

숙종의 어제시를 봉안한 요선정

 

어제시란 임금님의 시를 말한다. 조선조 숙종의 어제시를 봉안한 정자인 요선정. 마애불이 조각되어 있는 커다란 바위 하나가 주천강이 흐르는 절벽 위에 자리를 잡고 있고, 작은 정자에는 요선정이란 현판과 함께, 모성헌이라는 현판이 걸려있다. 아마도 임금을 그린다는 뜻인가 보다.

 

 

요선정은 조선 19대 숙종임금이 쓴 어제시를 봉안하고 있다는 것이, 역사적 가치를 갖게 만든다. 그래서 이 작은 정자가 더욱 의미가 크다고 하겠다. 요선정에 걸린 어제시는 숙종 임금이 직접 하사한 것이다. 원래는 주천면 서북쪽으로 흐르는 주천강 북쪽 언덕에 위치하였던 청허루(淸虛樓)’에 봉안하였으나, 오랜 세월이 지나는 동안 청허루가 붕괴되었다.

그 후 숙종의 어제시 현판을 일본인 주천면 경찰지소장이 소유하고 있었다고 한다. 요선계 회원들은 일본인이 숙종대왕의 어제시 현판을 소유하였다는데 거부감을 느끼고, 많은 대금을 지불하고 매입하였고, 이를 봉안하기 위하여 요선정을 건립하였다고 한다.

 

 

일개 촌부들이라고 하지만, 그만큼 나라사랑과 역사의식이 강했던 것이다. 자칫 일본으로 건너갈 뻔한 소중한 어제시 현판이, 수주면에 거주하는 원씨(元氏이씨(李氏곽씨(郭氏)3성이 조직한 요선계원들에 의해 지켜진 것이다.

어제시란 임금님의 시를 말한다. 조선조 숙종의 어제시를 봉안한 정자가 있다. 강원도 영월군 수주변 무릉리. 정자 앞에는 커다란 바위에 마애불이 있고, 작은 정자에는 요선정이란 현판과 함께, 모성헌이라는 현판이 걸려있다. 아마도 임금을 그린다는 뜻인가 보다.

요선정(邀僊亭)은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41호로 지정이 되어있다. 1915년에 무릉리에 거주하는 요선계 회원들이 지은 이 정자는, 앞으로는 저 아래 계곡으로 남한강의 지류인 주천강이 흐르고 있다. 경관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정자 앞 바위에는 마애불이 새겨져 있고, 석탑 1기가 있어 이 정자가 예사롭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일본인에게 빼앗길 뻔하다

더욱 조선 19대 숙종임금이 쓴 어제시를 봉안하고 있다는 것이, 역사적 가치를 갖게 만든다. 그래서 이 작은 정자가 더욱 의미가 크다고 하겠다. 요선정에 걸린 어제시는 숙종 임금이 직접 하사한 것이다. 원래는 주천면 서북쪽으로 흐르는 주천강 북쪽 언덕에 위치하였던 ‘청허루(淸虛樓)’에 봉안하였으나, 오랜 세월이 지나는 동안 청허루가 붕괴되었다.

그 후 숙종의 어제시 현판을 일본인 주천면 경찰지소장이 소유하고 있었다고 한다. 요선계 회원들은 일본인이 숙종대왕의 어제시 현판을 소유하였다는데 거부감을 느끼고, 많은 대금을 지불하고 매입하였고 이를 봉안하기 위하여 요선정을 건립하였다고 한다.



시골의 촌부들이 지켜낸 어제시

일개 촌부들이라고 하지만, 그만큼 나라사랑과 역사의식이 강했던 것이다. 자칫 일본으로 건너갈 뻔한 소중한 어제시 현판이, 수주면에 거주하는 원씨(元氏)·이씨(李氏)·곽씨(郭氏)의 3성이 조직한 요선계원들에 의해 지켜진 것이다.

숙종임금의 어제시 현판이 일본으로 건너갈 위기에 놓인 것을 많은 돈을 주고 돌려받은 무릉리 요선계원들. 그들이 진정한 우리 문화를 사랑하고 나라를 사랑하는 사람들이란 생각이다.



요선정으로 오르는 숲길 입구에 있는 작은 암자에 차를 대놓고, 주천강 옆으로 난 숲길을 오른다. 강바람인지 바람 한 점이 흐르는 땀을 닦으며 지난다. 예전에는 요선계원들이 지켜 온 어제시를 이제는 바위에 새겨진 마애불이 지키고 있는 것인지.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