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담양군 월산면 용흥리 574에 소재한 용흥사. 용구산에 자리한 용흥사는 서기 384년인 백제 침류왕 1년에 인도승 마라타 존자가 초암을 지어, 5차에 걸쳐 중창과 복원은 한 사찰이다. 용흥사는 임진왜란 때 전소가 된 것을, 일옥 진묵대사의 발원으로 응중, 쌍인, 혜증대사가 20여 년 간의 대 역사로 48동을 중창하였다.

 

용흥사는 영조의 생모인 최숙빈이 이곳에서 기도를 하여 영조가 탄생하였다고도 한다. 영조가 즉위를 한 후에는 일체의 세금을 감해주고, 원래의 이름인 몽성사를 임금과 나라를 위한다는 뜻인 용흥사로 사명을 바꾸었다고 한다.

 

 

용흥사는 한일합방 직전 48동이 거의 전소되다시피 한 것을, 모정선사가 1930년부터 10여 년에 걸쳐 11동을 복원하였으나, 19501229일 불행하게도 아군에 의해 완전히 전소가 되었다.

 

외로움을 느끼는 절 용흥사

 

순창, 담양군의 문화재 답사를 하던 날 용흥사에 들렸다. 주차장에 차를 세우고 보니 커다란 느티나무 한 그루가 외롭게 서 있다. 아마도 한때는 이 일대에도 많은 전각들이 서 있었을 것이다. 계단으로 오르니 전각들이 보인다. 대웅전을 향하다가 좌측을 보니 작은 전각 하나가 서 있다.

 

 

한 평 남짓하게 지어진 산신각이다. 옆에는 커다란 고목 한 그루가 산신각에 드는 햇볕을 가리고 있다. 저리도 혼자 서 있는 산신각을 동무하느라, 그렇게 비바람을 막아주고 있는가보다. 왜 이 절은 이렇게 외로움을 느끼게 만드는 것일까? 과거 그 화려했던 호남제일의 가람이었다는 곳이다. 그런데 몇 동 안 되는 전각들이 듬성듬성 자리했기 때문에, 외로움을 느끼게 하는 것인지.

 

용뉴에는 힘찬 네 마리의 용이

 

대웅전 한편에 자리하고 있는 동종. 보물 제1555호로 지정이 된 이 종은, ‘순치원년명 동종으로 불린다. 그것은 이 종을 만든 연대가 순치 원년인 1644년이기 때문이다. 높이가 102인 이 종은 조선시대 주종장 김용암이 주가 되어, 인조 22년인 1644년에 주성한 종이라고 명문이 새겨져 있다.

 

 

종은 규모도 비교적 클 뿐만 아니라, 비례감과 조형성이 뛰어나다. 종을 붙들고 있는 용뉴는 일반적인 범종들이 쌍룡으로 조형을 하는데 비해, 활력이 넘치는 네 마리의 용을 채용하였으며 음관을 생략한 특이함을 보이고 있다. 종신에 시문된 각종 문양의 표현도 범상치가 않다. 종신에는 인동당초문, 보살상 등이 새겨져 있다.

 

범종은 중앙 윗부분에 4개의 유곽이 있으며, 유곽 내에는 각각 9개의 유두를 표출하였다. 유곽사이로는 전후좌우로 두광을 선각한 보살상을 정교하게 새겼으며, 상대에는 두 줄의 가로줄에 범자를 양각하였다. 그 중에는 육자대명왕진언(六字大明王眞言)’이라 명문 한 글씨가 보인다.

 

 

종의 밑면에는 굵은 두 줄의 가로줄을 두고, 그 안에 두 마리의 용을 양각하였다. 뛰어난 용의 모습은 3개의 발톱과 입에서 불을 내뿜는 불꽃무늬를 조성하였다. 몸체 중앙부에는 형의 4각 선곽을 조식하고 그 안에 순치원년 사월일 창평현 용구산 용구사 신주종기(順治元年 四月日 昌平縣 龍龜山 龍龜寺 新鑄鐘記)……라는 명문이 표기되어 있다.

 

하나의 종을 만들면서도 이렇게 정성을 다한 선인들. 그 마음을 읽어내지 못하고, 우리 것에 대해 지독히도 무관심한 사람들. 아마도 이곳 용흥사가 이렇게 외롭다는 느낌이 드는 것도, 그러한 선인들의 예술혼을 미처 깨닫지 못한 후손에 대한 서운함인가 보다. 뒤돌아 나오는 발길이 무거운 것도, 나 역시 그런 부류에 지나지 않는다는 죄스런 마음이 들어서이다.

경기도 의왕시 청계동 산11에 자리하고 있는 청계사. 2012년 첫 답사를 청계사로 정하고, 오후에 길을 나섰다. 청계사에는 조선조 때의 유명한 종장인 사인비구가 주조한 사인비구 동종이 남아있기 때문이다. 사인비구의 종은 보물 제11호로 지정이 되어있으며, 청계사 동종은 보물 제11-7호로 지정이 되었다.

 

경기도 문화재재료 제6호로 지정이 되어있는 청계사는, 신라시대에 처음으로 창건이 되어 고려 충렬왕 10년인 1284년에 크게 중창이 되었다고 한다. 조선조 연산군이 도성 안에 절을 폐쇄하였을 때는 봉은사를 대신하여 선종의 본산으로도 정해졌던 절이다. 청계사에 소재하고 있는 동종에 보면, 현재의 청계산은 숙종조 당시에는 ‘청룡산’으로 불렀다고 적고있다.

 

 

주종장 사인비구의 독특한 동종

 

사인비구는 18세기의 뛰어난 승려이자 종을 만드는 장인이다. 사인비구는 전통적인 신라 종의 제조기법에, 자신만의 독창성을 합친 종을 만들었다. 현재 보물 제11호로 지정된 8구의 사인비구의 범종은, 각기 독특한 형태로 제작이 되어 서로 다른 특징을 보이며 전해지고 있다. 청계사 동종도 그 중의 하나이다.

 

사인비구의 동동 중에서 초기 작품세계를 엿볼 수 있는 것은, 보물 제11-1호인 포항 보경사 서운암의 동종이다. 서운암 동종은 종신에 보살상이나 명문이 아닌, 불경의 내용을 새긴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보물 제11-2호 문경 김룡사 동종과 제11-3호 홍천 수타사 동종은, 종을 치는 부분인 당좌를 딴 종과는 다르게 독특하게 표현했다.

 

 

전통적인 신라 범종 형태로는, 보물 제11-4호인 안성 청룡사동종과, 제11-8호로 지정된 강화 동종이 있다. 보물 제11-6호로 지정이 된 양산 통도사 동종은 팔괘를 문양으로 새겨 넣어 딴 사인비구의 종과는 다른 모습이다. 용뉴 부분에 두 마리 용을 조각한 보물 제11-5호인 서울 화계사 동종과, 보물 제11-7호인 의왕 청계사 동종이 있다.

 

사당패의 내력을 적은 시인비구 동종

 

사인비구 동종의 면문에는 사당패가 언급되어 있다. 이는 조선조 후기에 사찰의 경제적인 면에 유랑집단인 사당패가 깊숙이 관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유랑집단은 조선조 말에는 ‘절걸립’이라고 하여, 절에서 발행한 신표를 갖고 걸립을 하기도 했다. 아마도 청계사의 동종을 주조할 당시에도 이러한 사당패의 도움을 받은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청계사 동종은 청계사에서 만들어진 것이다. 그러나 한 때 서울 봉은사로 이전되었다가 다시 돌아왔다. 이 청계사 동종은 사인비구가 명간, 계일, 여석, 수강, 귀선, 임선 등과 함께 60세 이후에 제작한 종이라고 명문에 기록하고 있다. 전통적인 특징을 벗어난 이 종은 사인비구의 또 다른 주종의 형태를 볼 수 있다.

 

쌍룡으로 조성한 용뉴

 

청계사 동종의 특징은 종을 매단 용뉴를 쌍룡으로 조성을 하였다는 점이다. 이런 쌍룡으로 용뉴를 조성하는 것은 중국 종의 특징이기도 하다. 대개는 용뉴에 음통을 만들어 함께 붙이지만, 청계사 동종은 음통을 두지 않고 공기구멍을 뚫어 소리를 조절한 것으로 보인다.

 

 

종신에는 상대와 하대에 굵게 두 줄로 띠 장식을 둘렀는데, 상대에는 당초문으로 하였으며 하대에는 보상화문을 둘렀다. 상대 밑으로는 유곽을 내었으며 9개의 꽃에는 중앙에 유두가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그 유곽의 사이에는 보살상을 새겨 넣었다. 유곽의 아래에는 시주자들의 이름 등을 명문으로 적어 넣었다.

 

사인비구의 다양한 주종형태를 볼 수 있는 동종. 그 중에서도 청계사 동종은 또 다른 모습을 볼 수 있는 동종이다. 그 소리가 얼마나 아름다운지를 들을 수 없음이 아쉽기도 하지만, 종의 아랫부분에 깨진 듯한 흔적이 보인다. 오랜 세월 인간의 억압된 영혼을 번뇌에서 구하기 위해 울렸을 청계사 동종이, 더욱 소중하게 느껴지는 이유이기도 하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