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소리의 구분은 흔히 ‘제(制)’로 구분한다. 정노식은 『조선창극사』에서 판소리의 대가닥을 중고제(中高制), 동편제(東便制), 서편제(西便制 )로 구분하고 있다. 이 판소리는 서민들의 애환을 달래주고, 멍든 가슴을 치유하는 효과가 있어 급속히 확산이 되었다. 판소리는 조선조 숙종 때 처음으로 독립된 예술형태로 발전이 되었다. 그 후 정조와 순조대에는 이미 전기 8명창이 배출되어 전국의 소리판을 누볐다.

명창은 어떻게 배출이 되는가? 많은 사람들은 이런 물음에 선뜻 대답을 하지 못한다. 그는 명창마다 ‘득음(得音)’의 과정이 다르기 때문이다. 누구는 폭포에서, 누구는 동굴에서, 또 누구는 산중에서 각각 그 소리를 얻는 과정이 다르다. 이런 힘든 수 년 간의 과정을 거쳐 소리를 얻게 되면, 이른바 소리판으로 나서게 된다.


정응민 명창의 ‘득음 길’이 위험하다

보성에서 연락이 왔다. 정응민 명창이 득음을 얻었다는 곳이 있다는 것이다. 보성군 회천면 영천리에 소재한 길지 않은 이 길 끝에는, 최근에 지은 득음정(得音亭)이란 정자가 서 있다. 그 옆으로는 작은 폭포가 있어, 소리공부를 하기에는 제격인 곳이다. 지금도 철이되면 소리를 얻기 위한 사람들이 찾아드는 곳이다.

정응민 명창은 박유전 명창의 제자로 소리가 탁해지는 것을 안타깝게 여겨 고향인 이곳 보성군 회천면 도강재 마을로 돌아와 소리에만 전념하면서 제자들을 배출했다. 정응민 명창의 보성소리를 잇는 명창으로는 성우향, 조상현, 성창순 등이 있다.



영천리의 소리 길은 마을 입구에서 주차장까지 거리가 100m 정도, 그리고 득음정까지의 거리가 230m 정도의 비포장 길이다. 그 뒤로는 아름다운 산길이 있어, 이 길을 찾는 사람들이 꽤 있는 곳이다. 주민 한 분이 이런 내용을 제보를 해오셨다. 12월 3일, 한 달음에 달려간 득음 길은 아름다운 자연 그대로의 길이다.

이 길을 보성군에서 포장을 하겠다고 했다는 것, 주민들이 ‘불가’를 이야기했지만, 보성군에서는 비가오거나 하면 걷기에 어려움이 있어, 포장을 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다는 것이다. 그런 득음 길을 포장한다는 것에 대해 주민들이 이의를 제기하고, 보성군에서는 주민들과 대화를 통해 좋은 방법을 찾도록 노력을 하자고 제의를 해왔다.

회천면 영천리 373번지에 거주하는 주민 이성래(남, 43세)는

“득음 길은 소리의 역사를 잇는 길입니다. 꼭 이 길을 포장을 하지 않는다고 해도, 그 길 자체만으로도 깊은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자연적인 비포장 길이고 조금 걷기에 불편하다고 해서, 이런 길을 포장을 하는 것만이 능사는 아니란 생각입니다”

라고 한다. 마을 주민들과 대화를 통해 의견을 조율하겠다는 보성군에서는, 이외로 주민들의 의사를 100% 받아드렸다. 주민들의 편의를 위해 길을 포장하겠지만, 자연친화적인 득음 길을 훼손하지는 않겠다는 것이다.



역시 ‘소리’는 마음을 열어주는 것

‘보성소리’의 본고장답게 사람들의 마음은 시원하게 열려있었다. 포장을 하겠다는 보성군에서도, 주민들의 의사를 100% 반영하여 계획을 바꾸었다. 즉 주차장까지 100m는 잔디블럭으로 교체하고, 주차장부터 득음정까지의 득음 길은 자연 그대로 놓아두기로 한 것.

주차장까지 포장을 하는 이유는 농사를 지을 때 농기구들이 이동을 하다가 보면, 자칫 논두렁으로 빠지기도 하고 길이 무너져 내리기도 해 불편을 겪어왔다. 그곳을 잔디블럭으로 조형을 하겠다는 것이다. 그 대신 주차장서부터 득음정까지의 길은 공유공간으로, 자연친화적인 길 그대로를 살리겠다고 가닥을 잡았다.

다만 중간에 물이 나는 곳은 자연적인 배수시설을 조성해, 인위적인 것들을 최소한으로 줄이겠다는 것이다.

“보성군에서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해, 이렇게 빠른 결정을 내려주신 것에 대해 감사를 드립니다. 역시 보성소리는 사람의 마음을 열어주는데 제격이란 생각입니다. 득음 길이 더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져, 많은 사람들이 자연친화적인 이 길을 찾아와 주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결과가 좋다며 환하게 웃는 주민들의 모습에서, 닫히고 응어리진 마음을 소리로 풀어주던 명창들의 판의 모습이 떠오른다. ‘자연이 자연을 부른다.’고 했던가? 자연의 소리는 자연의 길에서 이루어져야 한다는 생각이다.


전남 담양군 대전면 대치리에 소재한 한재초등학교. 이 교정에는 딴 곳에서 볼 수 없는 것이 두 가지가 있다. 그 중 하나는 수령 600년이 넘었다는 천연기념물 제284호로 지정이 된 ‘대치리 느티나무’와, 그 옆에 서 있는 석불이다.

이 석불은 민간신앙의 산물로 여겼던 것으로, 제작 시기는 후백제 당시로 추정한다. 원래 이 석불은 땅 속에 묻혀 있었으나, 파내 한재초등학교 교정으로 옮겨져 온 것이다. 이 석불이 이 자리에 옮겨진 것은 지역주민의 꿈에 나타나서라고 한다. 오래도록 땅 속에 묻혀있기가 답답했던가 보다.


현재도 아랫부분은 땅 속에 묻힌 듯 보이는 이 석불은 그 남은 형태로 보아 입상인 듯하다. 머리에는 상투모양의 육계가 크게 솟아있으며, 얼굴은 둥글게 조각하였는데 전혀 알아볼 수거 없다. 팔은 떨어져 나간 듯 하나 흔적이 남아있다. 목에는 삼도가 뚜렷하고 법의는 양 어깨에 걸쳐 있다.

오랜 풍화에 마모가 심하게 되었으나, 전체적으로 볼 때는 섬세하지가 않다. 아마도 후백제 당시 미륵신앙의 산물로 여겨진다. 초등학교 교정에 서 있는 석불입상. 그 서 있는 자리 하나만으로도 눈여겨 볼만하다.





머리위에는 상투와 같이 솟아있으며 귀는 목까지 내려져 있다. 얼굴은 둥근편이나 모모가 되어 알아볼 수가 없다




목에는 삼도가 있으며, 법의는 양 어깨에 걸쳐있다. 팔은 훼손이 되었으며 손은 형체를 알아볼 수가 없다


 


얼굴부분이 떨어져 나간 것을 다시 붙여 놓은 듯하다. 담양군 대전면 대치리 한재초등학교 교정에 서 있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