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이 음력으로 정월 초4일 입춘이다. 이제 봄이 시작하는 날이다. 입춘은 24절기 중 가장 먼저 맞는 절기인데 그 해에 따라 드는 날이 많은 차이가 난다. 입춘은 어느 해는 섣달에 들기도 하고, 올해처럼 정월에 들기도 한다. 올해는 갑오년 정월 초사흘(24)에 들었다. 윤달이 끼면 12월과 정월에 입춘이 함께 들기도 하는데 이를 재봉춘(再逢春)’이라고 한다.

 

입춘은 24절기 중에 가장 먼저 드는 절기로 나름 중요한 의미를 갖는 날이다. 올해의 경우는 입춘이 갖는 의미가 색다르다. 정월 초하루에 설의 의식이 끝나고 나면 초이틀은 귀신날이라고 하여서 문밖출입을 삼갔다. 그리고 초사흘이 되면 하늘에서 토주의 신인 평신(坪神)이 내려오는 날이라고 해서, 각 마을마다 풍장패가 집집마다 돌아다니면서 일 년의 안과태평을 기원하는 지신밟기를 시작한다.

 

 

보리뿌리 점치기를 아세요?

 

농촌에서는 입춘이 되면 바빠진다. 일 년 농사의 준비가 시작되기 때문이다. 농촌에서는 입춘이 되면 보리뿌리를 캐 보아서 그 해의 농작물에 대한 풍년과 흉년을 점치는 풍습이 있었다. 보리가 세 가작이면 그 해는 풍년이 들고, 두 가닥이면 평년작, 그리고 한 부리면 흉년이 든다는 속설이 있다.

 

또한 입춘에는 오곡의 씨앗을 전이 낮은 솥이나 철판 위에 놓고 볶는다. 이렇게 곡식의 씨앗을 놓고 볶을 때 가장 먼저 솥 밖이나 철판 밖으로 튀어나가는 곡식이 그 해에 풍년이 든다고 하였다. 입춘에는 일 년 동안 가내의 안과태평을 발원하고 재복이 왕성하게 해달라고 굿을 하는데 이를 입춘굿이라고 한다.

 

 

입춘축(立春祝)’은 무엇인가?

 

입춘이 되면 경향의 각지와 가정에서는 대문이나 기둥에 춘축(春祝)이라는 글귀를 써 붙인다. 이를 춘첩자(春帖子)’라고도 하는데. 상중인 가정은 이를 붙이지 않는다. 예전 대궐에서는 내전의 각 기둥에다 연상시(延祥詩)’를 첩자에 써서 붙인다. 연상시란 승정원에서 시종 당하의 문신을 뽑아서 홍문관 교학에 운을 내어 오언(五言)이나 칠언의 율시로서 시를 짓게 하여 이 중에 뽑힌 글을 말한다.

 

이렇게 연상시에서 뽑힌 글을 써서 내전의 기둥에 붙이는 것을 춘첩자라고 한다. 이 축원은 한 줄로 되어있으면 춘련이라 하고, 두 줄로 되어 있으면 대련이라고 하였다. 이런 글귀 중에 많이 쓰이는 글귀를 보면 다음과 같다.

 

 

입춘대길 건양다경

국태민안 가치인족

소지황금출 개문만복래

부모천년수 자손만세영

천하태평춘 사방무일사

등을 써서 붙인다. 이는 모두 한 해 동안 좋은 일이 있기를 바라는 절구로 새로 짓는 경우도 있지만, 옛 사람의 글귀를 따다가 쓰기도 했다.

 

갑오년 입춘은 음 정월 4일 오전 73분에 들었다. 물론 옛 절기가 이 시대에 무슨 의미가 있겠는가?’ 라고 반문을 할 수도 있지만, 과거 우리의 풍습은 모두가 공동체를 창출해 내는 일이었다. 옛것을 소중히 여기면서 새로운 것을 만들어 나가는 일이야말로 우리가 해야 힐 일이 아닐까? 입춘을 맞아 그 풍습 알아본다는 것은 그래서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