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름다운 정자가 있다. 정자야 다 경치 좋은 곳에 자릴하고 있으니 아름다울 수밖에. 그러나 수많은 시인과 묵객들이 찾아들어, 정자의 아름다움을 적은 게판들이 정자 안에 빼곡히 걸려 있는 모습을 보면 조금은 남다르다. 그만큼 정자 주변의 경치가 아름다웠던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정작 그 아름다웠던 주변 경치를 잃은 정자는 슬프다. 전라북도 임실군 운남면 입석리. 운암호를 내려다보고 있는 정자, 양요정은 현재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137호로 지정이 되어 있다.


500년 세월을 뛰어넘은 정자

양요정은 임진왜란이 일어나던 해인, 조선 선조 25년인 1592년에 양요 최응숙이 지은 정자이다. 이곳으로 난을 피해 낙향을 한 최응숙은, 강물이 산을 휘감아 흐르다가 폭포를 이루는 곳에 양요정을 지었다고 한다. 그 당시에는 양요정이 자리하고 있는 곳의 경치가 얼마나 좋았는지 정자 안에 걸린 게판들을 보면 쉽게 이해가 간다.

정자 안을 빼곡히 채우고 있는 수많은 시인 묵객들의 글들. 양요는 정자를 지은 최응숙의 호로, 당시 이 양요정이 얼마나 아름다운가는 수많은 편액 안에 잘 남아 있다.



원래 양요정의 원 위치는 지금 있는 자리에서 동쪽으로 강가에 자리하고 있었다고 한다. 섬진강 댐의 공사로 인해 양요정이 물속에 잠기게 되자, 1965년 이곳으로 이전을 하였다. 양요정은 지금도 주변 경치가 절경이다. 옮기기 전의 양요정은 산을 감돌아 흐르는 강과, 산 밑으로 낙수치는 폭포가 있었다고 한다. 강과 산, 그리고 폭포와 정자. 한 마디로 그런 모습을 상상만 해도 대단한 절경에 자리를 잡았다는 것이다.

절경 잃은 정자, 이름이 슬프다

그러나 지금 양요정은 운암호를 내려다보는 곳에 자리하고 있다. 산을 휘감아 도는 강도, 산 밑으로 낙하를 하는 폭포도 사라졌다. 그런 인위적인 공사로 인해 멋진 절경을 잃어버리고만 양요정. 왠지 쓸쓸해 보인다는 생각을 갖게 만든다.



양요정은 여느 정자와는 다르다. 정자 가운데에 방을 두었다. 이런 형태의 정자는 남쪽 자방에서 많이 보이는 방들임의 모습이다. 하지만 이 이야기는 곧, 사방 어디를 둘러보아도 절경이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그만큼 정자는 처음 그대로 자리에 있어야만 한다.

정자 가운데 들인 방의 벽면에는 각종 그림이 그려져 있다. 홀로 먼 산을 바라보는 노인, 친구들과 바둑을 즐기는 모습. 그리고 가마를 타고 어디론가 가는 행렬. 아마 양요 최응숙의 마음이 그랬을 것이다. 난을 피해 이곳으로 낙향을 했지만, 늘 임금을 그리고 있었는지 모른다.


세상은 변한다고 한다. 그러나 이 양요정에 올라 운암호를 내려다보면서 문득 걱정이 된다. 개발이란 명목으로 또 어떤 절경을 이렇게 슬프게 만들지나 않을까 걱정스럽다. 자연과 잘 어우러지는 전국의 수많은 정자들. 아름다운 절경과 함께 어우러지는 그런 정자 들이, 이 양요정처럼 또 다른 슬픔을 만들지 말았으면 하는 바람이다

근 한 달간이나 답사를 나가지 못했다. 축제를 맡아하면서, 휴일이면 섭외와 이런저런 일로 바삐 다녔기 때문이다. 6일, 대전에 일을 보러갔다가 아이에게 진안을 거쳐 남원으로 데려다 달라고 했다. 아이와 함께 잠시 짬을 내어 달려간 진안군 마령면 강정리 산57번지. 이곳에는 지은 지가 315년이 지난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16호인 수선루가 자리하고 있기 때문이다.

수선루, 이 누정은 숙종12년인 1686년에 연안 송씨의 사형제인 진유, 명유, 철유, 서유 등이 힘을 합해 건립 하였다고 전한다. 선조의 덕을 기리고 심신을 단련하기 위해 지었다는 이 누각은, 그 뒤 고종21년인 1888년에 그의 후손 송석노가 중수하였고, 연재 송병선등이 재중수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자연바위 암굴에 축조한 수선루

<진안군지>를 보면 송병선이 지은 수선루 중수기가 게재되어 있다. 수선루 사변에는 '延安宋氏睡仙樓洞門' 이라는 아홉 자가 새겨져 있다. '수선루' 라는 명칭은 목사 최계옹이 이들 사형제가 우애와 학식이 두텁고 효심이 지극하며, 마치 신선이 노니는 것 같다고 하여 지은 이름이라고 한다. 이들 4형제는 나이 80이 넘어서도 이 정자에 올라 학문을 논하고, 바둑을 두기를 즐겼다는 것이다.

수선루는 자연암굴을 이용하여 2층으로 세워져 있고, 2층의 중앙에는 '수선루(睡仙樓)'라는 현판이 걸려있다. 수선루를 오르는 길은 우측으로는 숲이 우거져 있고, 좌측으로는 섬진강 줄기가 흐른다. 돌 축대를 쌓은 곳을 오르다가 보면 절로 입이 벌어진다. 어떻게 이런 곳에 누각을 지을 수가 있었을까? 2층으로 지어진 수선루는 1층의 문을 통하여 오르게 되어 있다.



앞으로는 나무들이 가려 밖에서는 수선루가 보이지를 않는다. 언젠가 이 누각을 찾아왔다가 결국 찾지 못하고 돌아간 적이 있다. 이번에는 사전에 수선루에 대해 조사를 하고 온 길이라, 머뭇거림 없이 수선루를 찾을 수가 있었다.

자연암벽을 이용해 지은 수선루. 그 앞에서 문을 열고 들어가지를 못한다. 밖에서 보는 경치만으로도 절경이기 때문이다. 어떻게 이런 암벽을 이용해 정자를 지을 수가 있었을까? 한참을 밖에서 서성이다가, 열려있는 문을 통해 안으로 들어간다. 머리에 닿을 듯 누마루의 바닥이 위에 놓여있다. 바위를 주춧돌로 이용해 멋대로 늘어선 기둥들. 그 또한 세상 격식에 매이지 않은 송씨 4형제의 마음을 닮았다.




한 철을 이곳에서 머물고 싶다

정자의 보이지 않는 뒤편은 바위 면과 처마가 맞닿을 듯하다. 그래도 꾸밀 것은 다 꾸며놓았다. 비스듬히 깎아진 바위 면에도 ‘송씨수선루’라고 음각을 해놓았다. 그 밑으로는 바위 틈에서 솟는 물이 고여 있다. 물을 떠 입안에 넣어본다. 싸한 기운이 목을 타고 흐른다. 이 물을 마시면서 4형제는 이곳에서 신선과 같은 생활을 한 것일까?

아마 나라도 이곳에서 떠나기 싫었을 것이다. 누마루 위로 올라본다. 앞으로 보이는 섬진강과 누렇게 익은 벼가 한 눈에 들어온다. 밖에서는 보이지 않는 누각이, 그 위로 오르면 이런 아름다운 절경을 만들어 내다니. 이곳이야 말로 비경이 아니겠는가? 한 철 이곳에서 살고 싶다는 생각이 간절하다.



절로 80수를 누릴 수 있는 곳아 아니겠나?

누각 안에는 수선루 중수기를 비롯한 게판들이 걸려있다. 작은 방 앞으로는 난간을 두른 쪽마루를 내었다. 방은 천정이 낮아 서서는 들어갈 수가 없다. 아궁이가 있는 것으로 보아, 겨울철에도 이곳에서 사방 경계를 바라보며 즐겼음을 알 수 있다. 그야말로 신선이 노니는 곳이 아니고 무엇이겠는가? 그 위에 서니 절로 신선이 되는 듯하다.



누마루에 철버덕 주저앉는다. 세상 모든 시름을 다 털어버릴 수 있는 곳이다. 인적 없는 이곳에서 한 철을 살면 안 되려나? 사람들은 어찌 이런 곳을 두고, 답답한 세상 속으로 들어간단 말인가? 이 수선루가 내 조상들의 것이 아님을 한탄한다. 떠나고 싶지 않은 수선루. 난 이 누각을 ‘호남제일암루’라고 이름하고 싶다. 아마 이곳에서 한 철을 난다고 하면, 절로 60수를 누릴 수 있으려니.


답사를 하다가 보면 가끔 그런 소리를 듣는다. ‘1박 2일이 다녀가면 지역에 많은 보탬이 됩니다.’라는 이야기다. 지난달인가 남원 답사를 할 때 ‘지리산 둘레길’을 1박 2일 팀이 다녀간 곳을 찾았다. 남원시 운봉읍이다. 문화재 답사를 하는데, 그 옆을 많은 사람들이 지나쳐간다.

나처럼 문화재 답사라도 하는 사람들인가 하여 기다렸는데, 그냥 지나쳐 산 밑으로 걸어간다. 어디로 가는 것인지를 물어보니 “여기가 1박 2일 사람들이 지나간 길이거든요. 그래서 걸어가는 갑니다.” 그 중에서도 가장 많은 사람들이 즐겨 찾아가는 곳이 이승기가 지나간 길이라는 것이다.


1박 2일이 촬영을 한 하조대

지역경제에는 얼마나 보탬이 되나?

“사람들이 많이 오나요?”
“말도 마세요. 처음에 방송 나가고 나서는 주말에는 사람들로 줄을 이었어요.”
“그러면 여기는 수입이 많아져서 좋겠네요?”
“그런데 꼭 그렇지는 않아요. 모두 준비들을 해오기 때문에요. 그리고 들려서 가버리니까요”
“괜히 부산하기만 한가요?”
“아무래도 도움은 되죠. 그런데 여기야 지역이 좁으니 그 많은 사람들을 수용할 만큼 다양한 것이 없으니까요. 그리고 지속적이라야 하는데, 반짝하고 마는 듯도 하고요”

어느 정도 보탬이 되기는 하나보다. 지역에서는 주말이면 몇 만 명이 다녀갈 정도라고 하니 말이다. 이번 양양 답사 길에서 하조대를 들렸다. 하조대는 조선의 개국공신인 하륜과 조준이 잠시 머물렀던 곳이다. 동해안의 절경에 자리 잡고 있는 하조대는, 평소에는 그렇게 많은 사람들이 들리는 곳이 아니다.


휴일에 몰려든 사람들로 인해 차들이 들어찼다.

잘나가는 TV프로는 사람들을 움직여

하조대를 자주 찾는 나로서는 이곳을 철마다 찾아보았지만, 주말에도 만나는 사람들은 불과 수십 명이었다. 주차장에도 차 몇 대가 서 있는 것이 다였고. 그런데 이번에 찾아간 하조대는 차를 댈 곳이 없어 차들이 길게 꼬리를 물고 있다. 들어가지도 못하고, 나오지도 못하는 차들은 길에 서 있기도 하도.

갑자기 날도 찬데 웬 사람들이 이렇게 이것을 찾았을까? 하고 의아해 하는데, 위에 걸린 현수막을 보니 ‘1박 2일 촬영지’라는 것이다. 바로 1박 2일이 주는 홍보효과가 이렇게 많은 사람들의 발길을 이리로 향하게 한 것이다.

하조대는 등대와 함께 새로 건축한 정자가 있다. 물론 인근의 경치가 절경이라서 사진을 찍는 작가들이 많이 들리는 곳이다. 특히 새해에 일출을 보기 위해서도 많은 사람들이 몰려온다. 하지만 평소에는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모이지 않는 곳인데도 불구하고, 차를 댈 수 없을 정도로 모여들었다.


등대에서 하조대를 배경으로 촬영을 하는 사람들(위), 바위를 때리는 파도가 시원하다
 
인기 TV프로의 영향을 실감하게 한다. 하조대에서 장사를 하는 사람에게 물어보았다. 1박 2일 촬영을 하고나서 장사가 어떠냐고. “사람들이 많이 오고 장사도 좀 되는 것 같다. 그러나 그렇게 대박이 날 정도는 아니다. 모이는 사람들에 비해서는 장사는 그렇게 잘 된다고는 볼 수없다.”라는 대답이다.

사람들이 많이 모이다가 보니 오히려 버리고 가는 쓰레기를 치우는 일이 더 귀찮다고 볼멘소리를 하는 사람들도 있다. 좋은 프로는 지역에 도움이 되어야만 한다. 많은 방문객에 비해 장사는 별로라는 지역사람들. 그보다는 정말 지역 경제에도 보탬이 되는 프로였으면 더 좋았을 것이라는 이야기다. 좋은 방송도 하고, 지역경제에 많은 도움이 된다면 그야말로 금상첨화가 아니겠는가? 방송이야 한번 하고 가면 그만이지만, 그것을 잘 활용하는 것은 지자체의 몫일 것이다. 가평 남이섬과 같은 곳처럼 지속적으로 사람들이 찾아올 수 있도록.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