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진안군 마령면 강정리 248-1에는 일제강점기에 지어진 것으로 보이는 2층집이 있다. 현재 등록문화재 제191호로 지정이 되어있는 이 집은, 한식 민가의 건축기술을 기반으로 한 2층 집이다. 근대에 지어진 농촌지역의 집으로는 드물게 보이는 2층집으로, 당시의 농촌 건축문화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5월 3일 찾아간 진안군. 마령면 소재지를 지나 전주 방향으로 가다가 만난 강정리 길가에, 진안 전영표 가옥이라는 안내판이 보인다. 고택답사를 연재하는 나로서는 이런 안내판이 보이면 그보다 더 반가울 수가 없다. 마을 안으로 들어가 집을 찾는데, 영 고택다운 집이 보이지를 않는다. 마을 주민들에게 물러 겨우 집을 찾았다. 담장이 아니라면 그저 지나칠 듯한 집이다.


꽁꽁 닫힌 철문, 담 밖으로만 돌아

전영표 가옥은 일제강점기 지역의 민간인 목수에 의해 지어진 집으로, 당시 지방 목수들의 기능을 살펴 볼 수 있는 집이다. 당시에 이렇게 2층으로 집을 지을 수 있었다는 것은, 상당한 재력을 갖고 있음을 뜻한다. 담 밖에서 안을 들여다보니 원래는 기와지붕이었을 것이나, 현재는 슬레이트 지붕으로 이어 놓았다.

최근에 담장을 새로 조성한 듯한 이 집은, 전통 돌담에 철 대문을 달아놓아 보기에도 이상하다. 안을 마주하면 중앙 뒤쪽으로 이층으로 올린 안채가 서 있고, 우측에는 사랑채가 있다. 사랑채의 맞은편에는 헛간채가 서 있는데, 블록 담으로 꾸민 것으로 보아 나중에 다시 지은 듯하다.




이층은 유리창을 넓게 달아내

일제강점기에는 지역에도 2층집을 많이 지었다. 이런 유풍은 대도시나 지방의 작은 도시나 다를 바가 없었던 것 같다. 한식으로 짓기도 하고, 일본식의 건물도 상당수가 건축이 되었다. 이 집은 궁이나 사찰 등을 짓는 대목수가 지은 것이 아니라, 지역에 있는 일반 목수들이 지은 집으로 당시 목수들의 기능을 살펴 볼 수 있는 집이다.

진안 전영표 가옥은 1924년에 지은 것으로 추정이 된다. 이 집을 지은 건축주인 전영표는 집을 크게 지으면 안된다고 하였다고 하지만, 이집은 마을에서는 눈에 EL게 큰 집이다. 집 앞으로 가니 밭에서 일을 하고 있던 주민 한 분이, ‘문화재라고 하는데 담장만 새로 해서 멀쩡하지 볼 것이 없다’라고 하신다. 아마 그 분들이야 등록문화재라는 것이 얼마만한 가치를 갖고 있는지 모르는 듯하다.



안채는 정면에서 바라보면 좌측에 부엌을 내고 옆으로 안방을 드렸다. 중앙의 두 칸은 앞에 툇마루를 놓았으며, 우측으로는 반 칸 정도의 누마루를 깔았다. 안으로 들어갈 수가 없으니 담장 밖으로 이리저리 다니면서, 집안을 살펴 볼 수밖에.

이층은 세 칸으로 되었으며 좌측 한 칸은 담벼락을 구성하고, 우측의 두 칸은 커다란 유리창을 달아냈다. 아마도 이렇게 커다란 유리창문을 앞뒤로 달아낸 것은, 주변의 경치를 보기 위함이었는가도 모르겠다. 이층으로 오르는 계단은 안에 있는지 밖에서는 찾을 수가 없다.

평범한 2층 집은 당시의 유행이었을 듯

일제강점기에 지어진 전영표 가옥. 당시 지역 목수들의 기능이 어느 정도였는지를 알아볼 수 있는 집이라고는 하지만, 특별한 꾸밈은 보이지를 않는다. 다만 그 당시에 2층집들이 많이 지어졌고, 이런 시골의 소도시에서도 이런 집이 있는 것으로 볼 때 그 당시에 유행하던 가옥의 형태가 아니었을까 생각한다.


안으로 들어가 꼼꼼히 살펴볼 수가 있었으면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안채 뒤편에 장독대가 있고, 사랑채의 앞으로는 작은 연못도 보인다. 건축주인 전영표는 당시 이런 집을 지을 정도의 재력가였던 것 같다. 정원에는 각종 꽃나무들이 아름답게 꽃을 피우고 있다. 기와 대신 올린 슬레이트가 조금은 부담을 주기는 하지만.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