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조 정조시대에 한양에 살던 이희평이라는 사람이 쓴  ‘화성일기‘에 보면 을묘년 정조대왕이 수원으로 내려와 공식적인 활동을 하는 첫날, 화성에서 치러지는 특별 과거시험을 어머니인 혜경궁 홍씨의 회갑연을 축하하기 위해 화성, 광주, 과천, 시흥 등 4개 읍의 선비들만 과거시험을 볼 수 있도록 했다. 조선시대 과거에 합격하는 일은 낙타가 바늘구멍 통과하는 것보다 더 어려웠는데 그런 시험을 화성과 그 주변 부에 사는 선비들에게만 특혜를 준 것이다.

 

28일, 제50회 수원화성문화제 첫날 오전 10시 30분에 화성 행궁 봉수당 앞에서는 정조대왕 친림 과거시험이 재현되었다. 왕이 친림해 과거시험을 치루는 것은 나라에 큰 경사가 있을 때인데, 217년 전인 1995년 을묘년 화성 원행시 진행이 되었던 낙남헌 문과와 별시를 근거로 재현한 것이다. 유일하게 화성 행궁에서만 치룬 것이다.

 

 

과거를 치루는 유생들

 

염태영 수원시장은 인사말을 통해

“과거 정조대왕께서 친히 이곳 화성 행궁에 행차하시어 주변에서 모인 유생들에게 과거를 볼 수 있도록 하셨다. 217년 전에 이곳에서 열린 과거시험을 오늘 재현하는 행사이다. 유생들이 글을 잘 쓸 수 있도록 큰 박수를 쳐주자.”며 과거시험 재현에 대한 의미를 되새겼다.

 

정조대왕 분의 수원시 한의사 협회 윤성찬 회장과 장용영의 군사들, 문무대신들이 입장을 하자 옛날과 같이 과거시험의 시제가 나붙었다. 시제는 <積善堂前無限樂 長春花下有餘香(적선당전무한락 장춘화하유여향)>으로 ‘부모님 살아 계실 때는 부모인 줄을 모르더니, 부모님을 여윈 후에야 부모인 줄을 아노라. 이제야 이 마음 가지고 어디에다 베푸리요.’라는 뜻이었다.

 

 

시제는 이날 과거시험을 위해 미리 내주었다고 한다. 참가한 유생들은 공부를 하고 온 것이다. 시제가 나붙고 난 뒤 참가한 유생들에게 시제를 풀어 쓸 시험지인 한지를 나누어주자, 유생들은 연습을 해온 글들을 써 내려가기 시작했다.

 

밀려드는 인파로 인해 진행에 어려움 겪어

 

화성문화재는 항상 많은 인파들로 붐빈다. 하지만 이날 과거시험 장에 여느 때보다 더 많은 인파가 몰려들었다. 화성문화제 촬영대회에 참가한 사진동아리 사람들로 인해 온통 북새통이었다. 진행을 하는 사람들이 진행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목소리를 높이는 모습도 보이고.

 

“정말 너무 심하다는 생각이 드네요. 물론 좋은 사진을 찍겠다는 욕심은 이해를 합니다. 하지만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구경을 하려고 앉아있는데 꼭 저렇게 사람들의 시야를 가리면서까지 난리를 쳐야 하나요.”

 

 

과거시험 구경을 하던 한 관람객은 도저히 이런 상태로는 볼 수가 없다면서 자리를 뜬다. 정조대왕 분의 윤성찬 회장은 과거를 치루는 유생들을 돌아보면서 격려를 하기도. 정조대왕이 시험장을 떠나자 사진을 찍기 위해 모인 사람들은 다시 한 번 난리들을 쳤다.

 

“내년부터는 이런 행사를 할 때 포토라인을 설정해 그 안에는 일체 출입을 자제했으면 좋겠습니다. 이건 과거시험을 치루는 모습을 재현하는 것인지, 저 사람들 난리 통을 보러 온 것인지 구별이 안 되네요.”

 

관람을 하기 위해 화성 행궁을 찾아 온 시민들의 불만이 커져간다. 축제는 이렇게 사람들이 많이 모여 왁자해야 제 맛이지만, 이런 문제는 앞으로 진행을 하는데 대비를 해야 할 것 같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