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단을 치고 피리를 분다. 사람들은 길게 늘인 흰 소창을 어깨에 메고, 성주지경다지기를 부른다. 지경다지기란 땅을 단단하게 다진다는 뜻이다. 집안의 액을 물리치고 안과태평과, 동티가 나는 것 등을 사전에 예방하는 것이다. 4일 오후 오산시 세교동 모회사에서 벌어진 경기안택굿 보존회(회장 고성주)의 무격들이 주관을 한 재수굿 한마당.

 

오후 5시 경부터 상을 차리기 시작해, 이 회사의 재수를 빌어주는 경기안택굿이 시작을 한 것은 오후 6시가 조금 지나서였다. 그리고 굿이 끝난 시간은 5일 오전 2시가 조금 안돼서이다. 그 재수굿 중 집안에 성주신(城主神)을 놀리는 성주굿은 밤 11시가 넘어서였다. 이날 굿 중 정말 잔치다운 굿거리였다.

 

 

성주신은 가신 중의 으뜸

 

성주굿(혹은 성주거리)은 안택굿 등의 제차에도 나타나지만, 집안의 가장의 나이가 27, 37, 47, 57, 67세 등과 같이 7의 수가 드는 해 10월에 택일하여 별도로 성주굿만 따로 제차를 행하기도 한다.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는 ‘10월에 집집마다 무당을 데려다 성조신(成造神)을 맞이하여, 떡과 과일을 베풀어 놓고 빌어 집안의 편안함을 바란다.’고 적고 있다.

 

성주는 가신 중의 으뜸이다. 어떤 형태의 집이 되었던지 그 집에는 성주가 좌정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가신 중의 으뜸인 성주는 대개 대들보나 안방의 문설주에 자리를 잡는다. 하지만 이것은 성주를 받을 때의 경우이고, 일반적인 안택굿이나 재수굿 등에서는 성주를 별도로 모시지 않는다.

 

 

열린 축제의 진수 보여주는 성주굿

 

성주굿은 재담과 해학, 춤과 소리, 그리고 신성(神性)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열린 축제의 가장 흥겨운 제차이다. 먼저 성주올리기라고 하여 동쪽으로 뻗은 솔가지를 꺾어, 소지로 묶는다. 그리고 쌀을 담은 그릇에 솔가지 성주대를 꽂아 조무(굿을 도와주는 무당) 한 사람이 그 자리를 붙들고 앉는다. 주무는 징을 치면서 성주신은 청배한다.

 

성주가 내리면 성주대가 움직인다. 성주대는 성주가 뜬다고 하는 경우에는 밖으로 뛰쳐나간다. 집안에 좌정해야 할 성주가 집을 나갔다는 것이다. 그 성주를 모셔 집안으로 들어와야 하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애를 먹는 경우도 허다하다. 이날은 마침 성주가 바로 회사의 이층으로 올라가 대표 권아무개(, 46)의 집무실로 들어가 자리를 잡았다.

 

그곳에서 신탁인 공수를 주고 난 후, 다시 굿청에서 내려와 권대표와 함께 신바람 나게 춤을 춘다. 성주굿의 재미는 바로 이런 놀이판에 있다. 우리 굿은 그냥 축원을 하고 신탁인 공수만을 주는 것이 아니다. 그 안에 질펀한 춤과 소리, 그리고 놀이가 함께하기 때문에 열린 축제라고 부르는 것이다.

 

 

성주굿의 백미 지경다지기

 

성주굿의 백미는 성주지경다지기이다. 집안의 대들보에 흰 소창을 길게 묶어 내리지만, 이날은 회사의 공장과 사무실을 겸한 곳에서 굿이 이루어져 2층으로 올라가는 계단 끝에 소창을 묶고 길게 늘여놓았다. 그리고 고성주회장과 무녀들이 그 끈을 어깨에 메고 지경다지기를 했다.

 

지경다지기는 성주축원을 한 다음에 경기 창으로 소리를 한다. 소리를 하는 사람도 듣는 사람도 흥겹다. 절로 춤이 나온다. 그렇게 소리를 주고받으면서 땅을 밟는 것이다. 춤을 추면서 땅을 밟는 행위는 기본이 잘 다져져 회사가 잘 되라는 뜻이 담겨져 있다. 한 시간 여를 그렇게 소리를 하고 난 뒤, 성주상에 실타래와 함께 묶어 놓았던 북어를 집안의 높은 곳에 모셔놓는다.

 

성주굿이 끝났다. 이미 시간은 자정을 넘기고 있다. 그래도 누구하나 피곤한 기색이 없다. 또 이야기보따리가 열렸다. 굿판은 웃음과 해학이 넘친다. 그런 열린 축제 마당인 굿이 있어 경기안택굿은 전승이 되어야 한다. 그 마지막 제차를 혼자 지켜가고 있는 고성주회장의 존재가, 굿판에서 더욱 빛을 발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