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천시 장호원읍 선읍리 산110번지, 설성산성지로 올라가는 길목 좌측에는, 이천시 향토유적 제10호로 지정된 선읍리 석불입상이 자리하고 있다. 이 석불입상은 죽곡 마을 앞 시냇가에 묻혀 있던 것을, 신흥사 주지가 현 위치에 옮겨 놓은 것이라고 한다. 그러나 이 석불입상을 보면, 보개석과 몸체, 그리고 발을 딛고 있는 연화대좌는 예전의 것인데, 머리는 새로 만들어 놓아 이상한 모양을 하고 있다.

 

얇은 판석에 돋을새김으로 조각을 한 몸 부분엔 장신구 없이 법의와 손을 조각하였다. 그러나 법의의 굴곡을 보면, 그 부드러움이 돌이라는 것을 잊게 할 정도다. 또한 발밑을 받치고 있는 대좌의 연화문 등을 보아도, 뛰어난 조각이라는 점을 알 수가 있다. 몸의 형태를 보면 여래입상임을 알 수 있는데, 이 신읍리 석불입상은 왜 두상이 사라진 것일까?

 

네 개 부분으로 나눠진 입상?

 

이 석불입상은 대좌와 몸체, 두상과 보개의 네 부분으로 구분되어 조각을 한 후, 조성을 헸을 것으로 추정한다. 그러나 보편적으로 석불입상을 조성할 때, 몸과 머리 부분을 따로 떼지는 않는다. 거대한 석불도 아니고, 전체높이가 257cm 정도의 석불을 조성하면서, 머리를 떼어 조각을 한 후 신체에 올리는 경우는 드물기 때문이다.

 

이 석불입상을 자세히 살펴보면, 발과 밑을 받치는 연화대는 넓적한 돌을 이용하였다. 발과 연화대를 조각하기 위해서는, 판석으로는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그 위에 몸은 한 장의 판석으로 되었을 가능성이 짙다. 대개 얼굴과 몸은 한 장의 판석으로 조성하기 때문이다.

 

이 석불입상의 사라진 머리 부분과 연결되는 목 부분을 보면, 둥글게 올라가다가 사라진 목 부분이 있다. 이러한 형태의 석불입상을 조각하는데, 구태여 두 장의 판석에 조각을 해 붙일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그럼 점으로 보면 이 석불입상은 발을 받치고 있는 연화대좌, 그리고 몸과 보개석의 세 부분으로 되어 있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머리 부분이 잘려나갔다고 보아야

 

몸에서 머리를 올린 목 부분을 보면, 삼도를 표시한 목 부분 아래가 파손이 된 것을 볼 수 있다. 이것은 누군가에 의해 목이 훼손이 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1983년에 이 석불입상의 조각을 찾아 내 새롭게 조성을 할 때, 목 부분이 발견이 되지 않아 새로운 돌로 조성을 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 목 부분이 따로 조각이 되지 않았다는 것은 더욱 확실해진다. 만일 목 부분을 따로 떼어 내 조각을 한 후 붙이고자 했다면, 땅 속에 묻혀있는 목의 한 부분이라도 발견이 되었을 것이다. 목 부분의 훼손이나 목이 사라졌다는 것은, 이 석불입상의 머리 부분을 누군가 고의적으로 훼손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뛰어난 미적 감각을 지닌 조각기법

 

이 석불입상을 찬찬히 살펴보면 뛰어난 조각기법이 돋보인다. 어깨에서 흘러내린 법의는 오른쪽 어깨를 들어낸 우견편단으로 양팔에 걸쳐 자연스럽게 흘러내리고 있다. 법의를 표현한 것을 보면 그렇게 부드러울 수가 없다. 돌에 생명을 불어 넣은 듯한 이런 조각기법이라면, 기술이 뛰어난 석공에 의해서 조성이 되었을 것이다. 다만 두 손의 손가락 부분도 훼손이 되어 시멘트로 발라놓았는데, 그것이 오히려 이 석불입상의 아름다움을 반감시키고 있다.

 

 

 

수인은 오른손을 내려 복무를 감싸고 있으며, 왼팔을 들어 가슴에 대고 엄지와 장지를 마주하고 있다. 이러한 형태로 볼 때, 이 석불의 수인은 전법륜인과 시무외여원인의 복합적인 형태로 볼 수 있다. 전법륜인에서 손가락을 구부려 마주할 때, 엄지와 둘째 인지를 맞대면 법신불, 엄지와 중간 장지를 맞대면 보신불, 엄지와 무명지를 맞대면 화신불이라고 한다. 이 석불입상의 수인은 엄지와 장지를 맞댄 보신불로 보인다.

 

발가락을 돌출시킨 석불입상

 

이천 장호원읍 선읍리 석불입상의 발을 보면, 안성 석남사 마애불의 발과 동일하다. 그 조각 수법도 동일하게 표현을 하였다. 즉 아래는 연꽃대좌를 조각하고, 그 위에 법의가 발목까지 덮인 형태로 표현을 했다는 것이다. 그리고 발목서부터 밖으로 돌출을 시켜, 열 개의 발가락을 조각한 수법도 동일하다. 이런 점으로 볼 때, 이 선읍리 석불입상의 조성 시기는 통일신라시대로 보아야 할 것이다.

 

 

 

많은 문화재들의 훼손. 그것은 결코 남에 의해서가 아니라, 바로 우리들 스스로가 훼손을 하고 있다는 점이다. 문화재에 무관심한 것 자체가, 문화재의 훼손에 일조를 한 셈이기 때문이다. 목을 잃은 선읍리 석불입상. 과연 그 목은 어디로 갔을까? 그리고 그 얼굴은 어떻게 생겼을까? 새롭게 조성해 올려놓은 두상이, 조금은 불편한 듯하다. 좀 더 세심하게 조각을 해서 올릴 수는 없었을까?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