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3년으로 기억을 한다. 태풍 매미가 한반도를 할퀴고 자나갔다. 당시 인명피해는 사망과 실종 132명에 이재민이 61천 명에 달했다. 재산피해만도 당시 화폐기준으로 47천 억 여원에 달하는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 태풍 매미가 지나갈 즈음을 전 후로 해 난 강원도 지역을 다녀왔던 것으로 기억이 난다.

 

201398일 경에 태풍 매미가 생성되었다는 발표를 들으면서 강원도로 향했던 기억이 난다. 난 강원도 속초나 양양을 갈 때는 원주에서 고속도로를 내려 회성으로 가쳐 청일면과 서석을 지나게 되는 19번 국도를 늘 이용한다. 서석에서 오대산을 지나는 명개를 거쳐 구룡령을 넘어 속초비행장 앞을 지나는 길을 이용하고는 했다.

 

이 길은 아마 나처럼 많이 다닌 사람은 사업을 하는 사람이거나 그 곳에 거주하는 사람 말고는 없을 것이다. 그만큼 이 길을 자주 다녔다. 우선은 길이 아름다워서 좋고, 가다가 계곡을 들어갈 수 있는 길이기 때문에 즐겨 다녔다. 매미가 영동지방에 하루에 400mm가 넘는 폭우를 쏟고 가기 전에도 이 길을 이용했다.

 

 

달라진 마을들에 놀랐던 기억이

 

지금은 그때의 악몽이 다 지워진 듯하다. 당시 매미가 휩쓸고 지나간 며칠 후 다시 이길을 들어섰다. 그런데 산사태로 인해 집이 완파가 된 집들과 물에 떠내려 온 차량들이 구겨진 휴지조각처럼 변해 있었다. 개울가에 서 있는 아름다운 집이 몇 채가 다 사라졌다. 길은 끊어지고 전신주는 자빠져 개울 가운데 처박혀 있었다.

 

지금도 그 당시를 기억하면 온 몸에 소름이 돋는다. 그처럼 처참하게 변해버린 길을 지나갔다. 그런데 그 길 가운데 닥 한 마음이 아무런 피해를 입지 않았다고 누군가 이야기를 했다. 어떻게 그럴 수가 있을까하고 생각을 했지만, “저 마을(춘당리)은 피해를 당하지 않았데요. 아마 장승님들이 도왔나 봐요라는 말을 들었다.

 

그 당시에도 춘당리를 지날 때는 당집 앞에 잠시 차를 세우고 그 발치 아래서 잠시 고개를 숙이고는 했다. 그리고 서낭당을 지나오다가 다시 길 우편에 있는 장승 앞에서 또 한 번 고개를 조아리고는 했다. 오랫동안 민속을 연구해 온 나로서는 당연한 행동을 한 것이다. 특이할 것이 없는.

 

 

춘당리 장승과 서낭당을 돌아보다.

 

그런데 이번 길에서는 이상한 것을 보았다. 서낭당 아래 장승과 누석탑이 있다. 분명 따로 있던 것인데 말이다. 내 기억이 잘 못 된 것인지, 정말 헷갈린다. 계단을 따라 서낭당 위로 올라가 보았다. 문이 걸려있다. 예전에는 이렇게 갈려있던 적이 없었는데. 문 앞에 걸어놓은 안내문구를 적은 쪽지를 보니 이해가 간다. 한 마디로 무당들이 이곳에 들려 함부로 서낭을 더럽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안내문 - 성황당은 마을에서 신성시하는 곳으로 예의를 다해야 함에도 개인적으로 활용함에 여러 문제가 있어 통제하오니 정성을 드리고 싶은 분은 아래 연락처로 전화주세요. 춘당2리 이장 010-53○○-10○○>이라고 적어놓았다. 전화를 걸어 안을 들여다보고 싶었지만 이렇게 비기 오는 날 이장님께 폐를 끼치고 싶지가 않아 발길을 돌렸다.

 

 

2011년에 장승을 옮겨 한 자리에 모아

 

장승공원을 조성한 것은 현 춘당2리 함영길 이장이다. 이장으로 부임하고 난 후 장승과 서낭을 한 곳으로 모아 놓는 것이 바람직하단 생각에 떨어져 있던 탑과 장승을 서낭당 앞으로 옮겨 놓았다고 한다. 18일 춘당리를 지났지만 함영길 이장과 연락을 못하고 있다가, 22일이 되어서야 겨우 전화로 인사를 나눌 수 있었다.

 

저희 춘당2리는 정말 태풍 매미 때 산에서 집중 호우에 떠내려 온 나무들로 조금 벽들이 망가지기는 했어도 큰 피해는 하나도 없었습니다. 저희 장승공원에는 서낭당과 장승을 모셨는데 서낭당에 제의는 매년 음력 2월 초하루에 마을 부락계에서 주관을 합니다. 그리고 장승제는 머슴날이라고 하는 음력 백중일(음력 715)에 마을에서 주관을 하여 잔치를 벌입니다.”

 

춘당2리는 현재 83호 정도가 되는 마을이다. 19번 국도를 따라 조성된 마을 중에서는 적지 않은 마을이다. 아직도 장승제와 서낭제를 끔찍하게 모시고 있는 강원도 횡성군 청일면 춘당2. 다음 이 19번 국도를 달려 구룡령으로 향할 때는 반드시 서낭당 문을 열고 제대로 서낭신에게 예를 올려야 할 것 같다.

 

마을의 입구나 혹은 사찰 입구에 보면, 부릅뜬 눈에 왕방을 코, 그리고 삐져나온 날카로운 이빨. 어째 썩 어울리지 않는 모습으로 서 있는 것이 있다. 흔히 장승이라 부르는 이 신표는 지역에 따라 그 이름도 다르다. 장승, 장성, 장신, 벅수, 벅시, 돌하루방. 수살이, 수살목, 수살 등 다양하게 부르고 있다.

 

장승은 나무나 돌을 조형 해 만들어 세운다. 나무를 깎아 세우면 ‘목장승’이라 하고, 돌을 다듬어 세우면 ‘석장승’이라 한다. 장승만 세우는 경우도 있지만, 솟대, 돌무더기, 서낭당, 신목, 선돌등과 함께 동제의 복합적인 형태로 표현이 되기도 한다.

 

 

통일신라시대에 처음으로 기록에 보인 장승

 

장승의 기원에 대한 정설은 아직 정확하지가 않다. 대개는 고대의 ‘남근숭배설(男根崇拜說)’과, 사찰이나 토지의 ‘경계표지’ 에서 유래되었다는 설 등이 있기도 하지만 그 어느 것도 정확한 것은 아니다. 일설에는 솟대나 선돌, 서낭당에서 유래되었다는 설 등도 전해진다.

 

통일신라시대에 세운 보물 제157호인 장흥 보림사의 ‘보조선사탑비’에, 장승에 대한 기록이 보인다. 이 탑비의 내용에는 759년에 ‘장생표주(長生標柱)’가 처음으로 세워졌다고 했다. 그 외에 <용재총화>나 <해동가요> 등에도 장승에 관한 기록이 보인다. 이로 보아 통일신라나 고려 때는 이미 장승이 사찰의 입구에 세워, 신성한 곳임을 알리는 경계표시로 삼았다고 생각한다.

 

 

이 외에도 장승은 성문, 병영, 해창(海倉), 관로 등에 세운 공공장승이나, 마을입구에 세운 수호장승 등 다양한 형태로 변화를 하면서 민속신앙의 대상물로 깊숙이 자리를 잡았다. 현재까지도 마을에서는 장승을 신표의 대상물로 삼고 있는 곳이 상당수가 있으며, 옛 지명 중에 ‘장승백이’나 ‘수살목’ 등은 모두 장승이 서 있던 곳임을 알 수 있다.

 

다양한 기능을 갖는 장승

 

장승은 설화나 속담 등에도 자주 등장한다. 그럴 정도로 우리와는 친숙하다는 것이다. 장승을 잡아다가 치죄를 하여 도둑을 잡았다거나. 판소리 변강쇠타령 등에 보이는 장승에 대한 이야기는, 장승이 민초들의 삶에 깊숙이 자리를 잡고 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구척 장승같다’거나 ‘벅수같이 서 있다’ 등은 모두 장승의 형태를 빗대어 하는 속담 등이다.

 

 

장승의 기능은 경계표시장승, 로표장승과 비보장승 등으로 구분이 된다. 하지만 이러한 장승의 기능은 대개 복합적으로 나타난다. 경계표시 장승은 사찰 등의 입구에 세워, 잡귀들의 출입을 막고 신성한 지역임을 표시하는 것이다. 로표장승은 길목에 세워, 길의 안내를 하는 기능을 갖는 장승을 말한다. 비보장승은 마을의 입구에 서서 마을로 드는 재액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장승나라 청양, '장승무덤'도 있네.

 

청양군 대치면 장곡사 입구에는 장승공원이 조성되어 있다. 이 장승공원은 칠갑산 주변 마을에서 매년 정월 대보름을 전후해 10여 개 마을에서 지내오는 장승제로 인해, 1999년 칠갑산 장승문화축제를 개최하면서 조성한 전국 최대의 장승공원이다. 칠갑산 주변에는 대치리 한터마을을 비롯하여, 이화리, 대치리, 농소리, 정산면 용두리, 송학리, 천장리, 해남리, 대박리, 운곡면 위라리, 신대리 등에서 장승제가 전해지고 있다.

 

 

장승공원 안에는 장승체험관을 비롯하여 전국 최대의 천하대장군과 지하대장군, 청양 마을의 장승과 각 지역별 장승, 시대별 장승, 창작 장승, 외국의 장승까지 두루 갖추고 있다. 약 300기가 넘는 장승공원에 서 잇는 장승들은, 그 수명을 다해 쓰러지면 ‘장승무덤’에 갖다가 놓는다.

 

이 많은 장승들, 비오는 날 더 괴이하네.

 

7월 14일 비가 쏟아지는 장마에 장곡사를 둘러보고 난 후, 장승공원 주차장으로 들어섰다. 다시 비가 내리기 시작한다. 우산을 들고 작은 카메라를 지참하고 공원 안으로 들어섰다. 비가 심하게 내리니 장승공원을 돌아보는 사람들이 보이지 않는다. 그저 편안하게 여기저기 아무렇게나 서 있는 장승들을 만나본다.

 

 

왕방울 눈에 매부리 코, 듬성듬성한 이빨을 보이며 희죽이 웃고 있는 장승. 그런가하면 새치름한 표정으로 비가 싫다는 듯 눈썹이 치켜 올라간 장승도 보인다. 허리가 휘어져 금방이라도 쓰러질 것만 같은 장승이 있는가 하면, 얼굴 가득 미소를 머금고 금방이라도 하늘을 향해 웃음보를 터트릴 것만 같은 장승도 보인다.

 

장승공원을 한 바퀴 돌아본다. 참으로 별별 장승이 다 있다. 그 많은 장승들이 하나같이 모습들이 다 다르다. 장승은 깎는 사람의 모습과 마음을 닮는다고 했던가? 아마도 이 장승을 조성한 작가들의 심성이란 생각이다. 우중에 돌아 본 청양의 장승공원. 속으로 되놰 본다.

“이 많은 장승들이 서 있는데 청양에 무슨 일이 있겠어?”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