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광주시 중부면 산성리 산1에 소재한 사적 제57호 남한산성. 북한산성과 함께 수도 한양을 지키던 조선시대의 산성이다. 남한산성은 신라 문무왕 13년인 673년에 한산주에 주장성晝長城(일명 일장성日長城)을 쌓았다는 기록이 있는데, 현재의 남한산성으로 보인다. 고려시대의 기록은 없으나 조선세종실록지리지에 일장산성이라 기록되어 있다.

 

남한산성이 현재의 모습으로 갖춘 것은 후금의 위협이 고조되고 이괄의 난을 겪고 난 인조 2년인 1624년이다. 인조 14년인 1636년에 일어난 병자호란 때 왕이 이곳으로 피신하였는데, 강화가 함락되고 양식이 부족하여 인조는 세자와 함께 성문을 열고 삼전도에서 치욕적인 항복을 하였다. 그 뒤 계속적인 보수를 거쳐 오늘에 이르고 있다.

 

 

백제 때의 성으로도 알려진 남한산성

 

현재 남아있는 시설은 동, , 남문루와 수어장대, 돈대, 보 등의 방어시설과 비밀통로인 암문, 우물, 관아, 군사훈련시설 등이 있다. 이곳에는 백제 전기의 유적이 많이 있어 일찍부터 백제 온조왕 때의 성으로도 알려져 왔다. 남한산성은 각종 시설이 잘 정비되어 우리나라 산성 가운데 시설이 잘 정비된 곳으로 손꼽힌다.

 

한강과 더불어 남한산성은 삼국의 패권을 결정짓는 주요 거점이였다. 백제가 하남 위례성에 도읍을 정한 이후 백제인들에게 있어서 남한산성은 성스러운 대상이자 진산으로 여겼다. 남한산성 안에 백제의 시조인 온조대왕을 모신 사당인 숭열전이 자리 잡고 있는 연유도 이와 무관하지만은 않을 것이다.

 

 

수많은 아픔을 당한 남한산성

 

남한산성의 축성은 인조 2년인 1624년부터 오늘의 남한산성 축성 공사가 시작되어 인조4년인 1626년에 완공하였다. 산성 내에는 행궁을 비롯한 인화관, 연무관 등이 차례로 들어서 수백 년의 역사를 갖고 있는 문화유산으로 자리 잡았다. 이러한 문화유산은 1894년에 산성 승번제도가 폐지되고, 일본군에 의하여 화약과 무기가 많다는 이유로 19078월 초하루 아침에 잿더미로 변하고 말았다.

 

작금에 들어 다시 재조명되고 있는 남한산성. 연차적인 복원공사를 통해 지금은 많은 구조물과 성벽 등이 옛 모습을 다시 찾아가고 있다. 남한산성은 주봉인 청량산(497.9m)을 중심으로, 북쪽으로 연주봉(467.6m), 동쪽으로 망월봉(502m)과 벌봉(515m), 남쪽으로 몇 개의 봉우리를 연결하여 쌓았다. 남한산성은 사시사철 물이 마르지 않는 천혜의 전략적 요충지이다. 남한산성의 총 길이는 11.76km에 달한다. 본성은 9.05km이며 옹성이 2.71km이다.

 

 

남한산성 제1암문을 돌아보다

 

남한산성의 축성 때 승병들이 묵었던 9개소의 사찰 중 유일하게 옛 모습을 보존하고 있다는 장경사. 그 주차장 한편에 성 밑으로 내려가는 암문이 있다. 남한산성에는 모두 16개의 암문이 있다. 암문은 본성에 11, 봉암성에 4, 그리고 한봉성에 1개가 설치되어 있다. 암문이란 적의 관측이 어려운 곳에 설치하는 비밀통로라고 생각하면 된다. 적에게 들키지 않고 은밀하게 적의 배후를 교란하거나, 식량을 은밀히 운반하는데 사용하기도 한다.

 

장경사 암문이라고도 부르는 제1암문은 형태가 특이하다. 딴 암문들은 성곽을 돌출시키고 그 안에 암문을 숨겼지만 이 암문은 좌우의 성벽이 돌출되어 있지 않다. 성벽에 아취모양을 구성하고 그 안에 문을 달았다. 문의 기둥을 고정시키는 돌출부는 아래와 위 양편에 조성한 것으로 보아 이 암문은 작지만 두 짝의 문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1암문은 성벽에서 안으로 들어갈수록 높아진다. 이곳은 경사가 급하고 성벽이 가장 높은 곳에 있으며, 주변의 성벽에는 몇 개의 수로가 나 있다. 바닥에는 돌을 깔았으며 천정도 커다란 장대석을 이용해 덮었다. 암문을 들어서면 바로 장경사로 통하게 되어있어, 비상시에는 많은 승병들이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경기도 광주시 중부면 남한산성로 676에 소재한 장경사는 경기도문화재자료 제15호로 지정이 되어 있다. 남한산성은 북한산성과 더불어 도성을 지키던 산성으로, 장경사는 남한산성을 쌓을 당시인 조선 인조 2년인 1624년에 세웠다. 전국8도의 승려들을 모집하여 산성 짓는 것을 도왔는데, 이때 승군들이 훈련을 받으며 머무르던 9개의 절 중 지금까지 온전히 보존되어 있는 유일한 절이다.

 

장경사 경내에는 대웅전, 진남루, 칠성각, 대방, 요사채 등이 있다. 대웅전의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팔자 모양인 팔작지붕으로 꾸몄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만든 공포는 기둥 위와 기둥 사이에도 있는 다포 양식이다. 조선시대 승병들이 나라를 위해 활동한 일면을 엿볼 수 있는 좋은 예가 되고 있다.

 

 

승도청을 두고 승군들이 노역에 가담해

 

인조 2년인 1624년 남한산성의 축성이 시작되어 8도의 많은 승군들이 축성 역에 가담하게 된다. 인조 3년인 1625년에는 승도청을 두고 각성대사를 8도도총섭절제중군주장에 임명하여 각도의 승국을 동원케 하고 이들을 감독하며 보살피게 하였다. 남한산성 축성 당시 남한산성에는 모두 9개소의 사찰이 자리하고 있었다.

 

남한산성 축성을 마친 후에도 이곳에 승군을 주둔시키고, 항시 수성에 필요한 훈련을 계속하게 하였다. 이 승군들을 위하여 전부터 있던 망월사, 옥정사 외에 개원사, 한흥사, 국청사, 장경사, 천주사, 동림사, 남단사 등 새로운 사찰들을 세웠다. 9개의 사찰 중 장경사만이 남아 있어 남한산성과 함께 호국의 의지를 보여주고 있다.

 

 

장경사를 돌아보다

 

남한산성을 찾은 것은 10일 아침이다. 사실 장경사를 돌아보러 오른 것이 아니라, 남한산성에 있는 암문들을 돌아보기 위해서 찾아갔다. 남한산성의 암문과 수원 화성의 암문에 대해 비교하여 글을 쓰고 싶어서였다. 마침 장경사 곁 성곽에 제1암문이 자리하고 있었기 때문에 겸사겸사 장경사까지 돌아본 것이다.

 

장경사는 역사적인 절이다. 지금의 대웅전은 당시의 건물이라고 하는데 그동안 많은 보수 등을 한 것 같다. 절의 문 안으로는 모두 추위를 막기 위해 철골 구조물로 문을 만들어 달았기 때문에 예스러움은 많이 반감되었다. 거기다가 종각 등의 건물도 근자에 지은 것들이기 때문에, 과거 축성 당시의 모습을 유추하기에는 힘이 든다.

 

 

대웅전을 바라보고 약간 우측으로 비켜서 조성을 한 석탑도 낯이 설다. 우리나라의 많은 고찰을 찾아다니면서 괜한 버릇이 하나 늘었다. 전통성을 지키지 않았다는 생각이 들면 어째 영 신심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이다. 고찰은 고찰로서의 품위를 지키고 있다. 그런 품위를 느낄 수가 없으니 어찌하랴.

 

여장을 끼고 성벽을 돌아보다

 

대웅전을 비켜서 옆으로 난 계단을 오르면 가장 높은 곳에 삼성각이 자리하고 있다. 그 위에 올라 경내를 돌아보니 그때서야 절집다운 분위기가 풍겨온다. 그래서 절은 높은 곳에서 보아야 한다고 한 것일까? 삼성각을 돌아 남한산성 축성을 한 곳으로 돌아보기 위해 내려오니, 아직은 날씨가 쌀쌀한데도 성의 여장을 끼고 걷는 사람들이 꽤나 많이 보인다.

 

 

과거 이 남한산성을 쌓을 때 팔도에서 모인 많은 승군들이 이 장경사에 머물며 얼마나 많은 땀을 흘렸을까? 나라가 위태로울 때마다 분연히 떨치고 일어나 구국의 선봉에 섰던 수많은 승병들. 과거 오랜 시간을 그렇게 자신을 돌보지 많았던 승병들이다.

 

장경사 주차장 앞에 세워진 돌탑에 누군가 장난감 하나를 놓아두고 갔다. 아마도 이곳을 찾았다가 놓을 것이 없어 그것이라도 한물로 바친 것은 아닐까? 그 마음이 얼마나 아름다운가? 그 마음 하나만으로도 오늘 답사는 느낌이 큰 것이려니.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