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나무가 춤을 춘다고 하면 남들은 조금 정신이 빠진 사람이 아닌가하고 의아해 할 것이다. 그러나 권선구 호매실동 629-2에 가면 춤추는 소나무를 만날 수 있다. 보호수호 지정되어 있는 이 소나무는 수령이 230년 정도가 된 우리 소나무인 육송이다. 19821015일 경기-수원-20으로 보호수 지정을 받았다.

 

소나무는 우리나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수종으로 높이는 20~35m에 이른다. 겨울에도 항상 푸른빛을 유지하는 상록수로 그림, , 노래 등에 소재로 우리에게 친숙한 식물이다. 껍질은 거북등처럼 세로로 넓게 갈라지며 줄기 밑은 회갈색이고 윗부분이 적갈색을 띤다. 바늘잎은 8~9cm 길이로 두 개가 한 묶음이 되어 가지에 촘촘히 붙는다.

 

나무줄기가 붉다고 하여서 적송(赤松)이라고 부르기도 하고, 주로 내륙 지방에서 자란다고 육송(陸松)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그 외에도 잎이 다른 나무에 비해 연하다고 하여서 여송이라고 하거나 여인의 지태를 닮았다고 해서 여송(女松)이라 부르기도 한다.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는 소나무들

 

우리나라에는 많은 소나무들이 천연기념물이나 보호수로 지정되어 보호를 받고 있다. 그만큼 전국적으로 소나무들은 다양하게 분포가 되어있다는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자라는 소나무의 품종에는 나무줄기가 곧추 자라는 금강소나무, 가지가 밑으로 처지는 처진소나무, 줄기 밑에서 많은 가지가 갈라지는 반송 등이 있다.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소나무 중에 그동안 답사를 하면서 만난 소나무는 보은 속리 정이품송(천연기념물 103), 청도 운문사 처진소나무(천연기념물 제180), 속초 설악동 소나무(천연기념물 제351), 고창 선운사 도솔암 장사송(천연기념물 제354), 이천 도립리 반룡송(천연기념물 제381), 장수 장수리 의암송(천연기념물 제397), 울진 행곡리 처진소나무(천연기념물 제409) 등을 만나보았다.

 

 

한 눈에 들어오는 아름다운 소나무

 

17일 칠보산을 오르기 전에 점심을 먹으려고 식당을 찾았다. 그런데 멀리서도 한 눈에 들어오는 소나무 한 그루가 보인다. 수원에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소나무가 없기 때문에 그 나무의 생김새로 보아 보호수임을 한 눈에 알아볼 수 있다. 소나무가 있는 곳으로 먼저 가보았다. 높이 15m 정도에 밑동둘레가 2.5m 정도이다.

 

껍질은 붉은색인데 이렇게 아름다운 색을 보이는 나무는 그리 흔하지가 않다. 거기다가 생육상태도 양호하다. 수령이 짧아 천연기념물이 지정되지 못했다는 생각이 든다. 그 정도로 멋들어지게 잘 자란 소나무이다. 앞으로 다가가 보기만 해도 절로 감탄이 쏟아진다. 이런 정도의 소나무를 만나기란 그리 쉽지가 않다.

 

 

20년 넘게 전국을 다니면서 문화재 답사를 하는 동안 많은 천연기념물과 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는 나무들을 만났다. 그 중에서 2년 전인가 경북 문경 동로면에서 충북 단양군 쪽으로 난 길을 따라가다가 동로면 적성리 965번지 도로변에, 수령 300년이 지난 소나무가 한 그루 서 있는 것을 본 적이 있다. 보호수로 지정이 되어있는 이 소나무가 서 있는 곳을 무송대(舞松臺)’라고 부른다. 춤을 추는 소나무가 서 있다는 곳이다. 그 나무와 비교해도 오히려 더 아름답게 가지들이 춤을 추고 있는 듯하다. 그저 앞에 서서 감탄만 할뿐 딱히 표현을 할 수가 없다.

 

옥에 티, 소나무 보호책 안에 무성한 잡풀더미

 

한참이나 소나무를 바라보고 감탄을 하고 있는데 눈에 띠는 것이 있다. 보호수로 지정된 소나무 주변을 둘러서 보호책을 설치했는데 그 안에 잡풀이 무성하게 자랐다. 옆에는 몇 기의 묘가 보이는데 주변을 말끔히 정리했기에, 보호수 철책 안에 잡풀들이 눈에 더 거슬려 보인다. 여름철이 지났는데도 불구하고 아무도 이곳에 신경을 쓰지 않았다는 이야기이다.

 

 

멋들어지게 춤을 추고 있는 보호수 한 그루. 나무줄기에 외과수술을 한 자국만 보아도 마음이 짠한데, 거기다가 잡풀까지 무성하게 자라나있는 것을 보니 더 마음이 아프다. 저렇게 잡풀들이 자라나 있어 혹 소나무의 생육에 지장이 있지는 않을까? 그저 한 시간 정도면 주변을 깨끗하게 정리할 수 있을 텐데. 앞으로는 답사를 다닐 때 낫이라고 한 자루 들고 다녀야 할까보다.

 

경기도 오산시 지곶동 162-1 외에 소재하고 있는 사적 제140오산 독산성과 세마대지’. 독산성은 다른 이름으로 독성산성이라고도 한다. 독산성은 선조 25년인 159212월 임진왜란 중에 권율 장군이 전라도로부터 병사 2만여 명을 이끌고 이 곳에 주둔하여, 왜병 수만 명을 무찌르고 성을 지킴으로써 적의 진로를 차단했던 곳이다.

 

독산성이 언제 만들어졌는지 분명하지는 않으나, 원래 백제 때 쌓은 성일 것으로 추측한다. 후에 통일신라시대나 고려시대에도 군사상 요충지로 중요한 거점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선조 27년인 1594년에는 백성들이 산성을 쌓고, 임진왜란이 끝난 선조 35년인 1602년에 당시 부사 변응성이 다시 보수하였다. 그 후 정조 16년인 1792년과 20년인 1796년에도 다시 공사를 하였다.

 

 

전통사찰인 보적사가 성내에 있어

 

독산성의 성내에는 전통사찰로 등록된 보적사가 자리하고 있다. 옛 암문으로 추정되는 곳에 해탈문이라는 작은 간판을 걸어놓은 곳으로 들어가면 보적사 경내가 되고, 그 뒤편에는 세마대지가 보인다. 지금은 세마대라는 누각 한 채를 지어놓았다. 보적사는 삼국시대 독산성을 축성한 후 현재의 터에 전승을 위해서 지은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이후 여러 차례 중건을 한 것으로 보이며, 조선조 22대 정조가 용주사를 건립할 때 재건되었을 것으로 전하는 약사전과 요사 3동이 있었다. 1987년 사적의 경관에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정면 3, 측면 2칸의 맞배지붕으로 증, 개축하였다.

 

 

독산성의 성 둘레는 3,240m이고 문도 4개소이나 성 안에 물이 부족한 것이 큰 결점이었다. 이런 점 때문에 이 곳에는 세마대의 전설이 전하고 있다. 권율 장군이 산위로 흰 말을 끌어다가 흰 쌀로 말을 씻기는 시늉을 해 보이므로, 왜군이 성안에 물이 풍부한 것으로 속아서 물러났다는 이야기이다.

 

독산성을 뒤덮은 잡풀

 

13일 오후, 독산성을 찾았다. 보적사를 둘러보고 난 뒤 성을 한 바퀴 돌아보았다. 독산성은 산 위에 축성을 한 산성이라 그런지 성벽이 그리 높은 편이 아니다. 성은 가파른 벼랑 위에 자리하고 있어서 낮은 성벽으로 쌓은 것인지, 아니면 원래의 성벽이 무너져 내린 것인지 모르지만 낮은 성벽으로 인해 사람들이 성벽을 타고 오를락 거리기도 한다.

 

 

사진을 촬영하면서 천천히 걸어도 한 시간이 채 걸리지 않는 독산성이다. 성은 지형에 따라 대문지와 암문, 그리고 치가 여기저기 보인다. 그런데 성벽 위로 걸으면서 보니, 성벽이 보이지 않는 곳이 상당부분이 있다. 도대체 어디가 성인지 구별이 되지 않는다. 성벽 주변으로는 넝쿨로 자란 잡풀이 무성하고, 그 넝쿨식물들이 성벽으로 타고 올라 성을 모두 덮어버리고 있다.

 

암문 앞에는 잡초가 무성하고, 그나마 암문 입구에는 나무까지 자라고 있다. 암문을 접근을 할 수가 없을 정도이다. 전혀 관리가 되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명색이 사적으로 지정이 된 문화재인데, 어찌 이렇게 방치를 한 것일까? 성이 낮아 사람들의 손으로 성벽을 가득 덮은 잡풀을 얼마든지 정리를 할 수 있는데도 말이다.

 

 

성벽에 가득한 잡풀 걷어내고 관리해야

 

여기저기 쓰인 우리 모두 문화재를 보호합시다-오산시라는 푯말이 무색할 지경이다. 이것은 성이 아니고 잡풀더미라고 표현을 해야 맞을 듯하다. 여름철에 비가 내려 잔뜩 자라버린 잡풀들이, 온통 성벽을 타고 올라 성이 보이지 않는 부분이 상당히 많은데도 불구하고 누구도 관리를 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다만 보적사가 자리한 주변에만 성이 깨끗하게 보인다. 높지도 않은 성벽에 가득한 잡풀들. “이렇게 문화재를 관리하면서 무슨 문화재를 보호하자고 하지”, 성을 돌던 관람객의 푸념어린 소리이다. 한 곳의 치에는 누군가 휴지까지 버려 볼썽사납다. 말로만 하는 문화재 사랑. 이런 모습으로 휴일을 맞아 독산성을 찾아 온 많은 사람들에게 무엇을 보여줄 것인가? 그리고 그들에게 과연 문화재를 보호하자고 할 수가 있을까? 관련 지자체의 반성이 아쉽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