솟대는 나무나 돌로 만든 새를 긴 장대나 긴 돌 위에 얹은 마을의 수호신이다. 솟대는 대개 마을의 입구에 세워, 마을에 들어오는 액을 미리 예방한다는 뜻으로 세운다. 솟대만을 세우는 경우도 있지만, 돌탑, 장승 등과 같이 세우기도 한다. 솟대는 정월 열나흩날 밤에 새로 깎아 세우고, 주민들이 모여 정성스럽게 마을제를 지낸다. 솟대를 부르는 명칭은 다양하여 솟대, 짐대, 돛대, 새대, 설대 등으로도 부르고, 그 기능으로 세분하여 수살, 진목, 추악대, 표줏대 등으로도 부른다.

 

이러한 솟대는 참나무로 만들어 마을입구에 세우고, 그 위에는 오리를 만들어 올려둔다. 대개는 솟대 위에 한 마리를 얹는 수도 있지만, 끝을 갈래지게 해 두 마리를 올리기도 한다. 이 위에 올리는 새는 마을마다 달라, 기러기나 까마귀를 올리기도 한다. 하지만 그 새의 종류가 중요한 것은 아니다. 그 위에 새를 올리는 것은 멀리 날고, 높이 날 수 있는 새를 올림으로써 먼 곳에서부터 오는 액을 막는다는 뜻이다.

 

5년 전부터 만들기 시작한 작은 솟대

 

▲ 솟대 잔가지로 만든 솟대는 섬세함이 요구된다.


김계용(남, 40세. 여주군 흥천면 외사리 282-7)이 대나무를 이용해 솟대를 만들기 시작한 것은 5년 전쯤이다. 원래 국악기 중에서 삼죽(三竹)이라고 하는 대금, 중금, 소금 중 중금연주자로 활동을 하는 김계용은 우연한 기회에 중금을 배우는 제자들이 갖다 준 대나무를 접하게 되었다.

 

"대나무는 강하면서도 약하다고 하죠. 대나무가 속이 비고 곧다고 하지만, 많이 굽어져 있는 것이 대나무 가지의 특성이기도 하고요. 이 대나무를 다듬고 불로 펴고, 자르고 하는 작업은 최대한 공을 들여야만 합니다. 작은 소품 하나를 만들어도 몇 시간씩 걸리거든요"

 

대나무의 잔가지를 갖고 솟대를 만드는 작업이 결코 쉬워 보이지 않는다. 한 개의 작품을 만드는 데도 서너 시간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처음 제자들이 갖고 온 잔가지를 갖고 만들기 시작한 솟대. 그렇게 하나하나 만들다보니 이제는 대나무 솟대를 만드는 장인이 되어 버렸다.

 

"제가 대나무를 갖고 솟대를 만드는 것은 바로, 사람과 대나무가 모두 자연이라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서입니다. 사람의 옷깃만 스쳐도 하늘거리는 대나무의 장점을 살리는 것이죠. 그래서 자연은 사람의 영향을 받고, 사람은 자연의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알리고 싶어서요. 이 솟대 하나가 자연을 소중히 생각하는 마음을 가졌으면 하는 바람으로 만들어집니다."

 

대나무 솟대작품도 만들고

 

▲ 잔가지 손질 대나무의 잔가지를 갖고 만드는 솟대. 휘어진 가지를 펴고 자르고 하는 솟대만들기는 3~4 시간이 필요하다.

 

그동안 많은 대나무 솟대를 만들었다. 대나무로 만든 솟대에 자신의 마음을 담아낸다고 하는 김계용. 경기통일미술전에 2008년에는 '통일로 가는 길'이라는 작품을 냈고, 2009년에는 '지금 우리는'이라는 작품을 내어 많은 사람들에게 호평을 받기도 했다.

 

이렇게 작은 솟대를 만드는 것은 나름대로 이유가 있어서다. 손가락 굵기만한 대를 갖고 만들 수도 있지만, 그렇게 큰 가지를 잘라내면 몇 년을 자라야 하는 대나무를 버릴까봐, 한 해 정도만 자라도 되는 잔가지를 이용하는 것이란다.

 

"처음에 대나무를 갖고 솟대를 만들었는데 사람들이 예쁘다고 하데요. 그래서 본격적으로 만들어보자고 생각을 했어요. 대나무를 이용해 솟대를 만드시는 분들은 대개 기러기를 대나무로 만들고, 대는 쪽동백나무 등을 이용하는데 저는 전체를 대나무로 만들죠. 그러다보니 작업도 오래 걸리고 작은 소품이라 섬세함이 필요한 것이죠."      

 

사람들에게 희망을 주는 솟대이고 싶어

 

"이렇게 작은 솟대를 만들어서 무엇을 하느냐고 하지만, 저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아요. 작은 솟대에 모든 염원을 담을 수 있다고 생각하거든요. 차 안에도 놓고 다닐 수가 있고, 아이들의 책상머리에도 놓아둘 수가 있거든요. 우리 솟대는 액을 막고 복을 불러들인다고 하잖아요. 그래서 입시철이 되면 입시생들에게 하나씩 만들어 주고는 하죠."

 

그동안 사람들에게 솟대만들기 체험을 하기도 했다. 어린아이들도 쉽게 만들 수가 있어서 부모님들과 함께 만들기 체험을 하러 온다는 것이다. 지금은 여주 명성황후 생가 앞 민가마을에서 솟대만들기 체험을 지도한다.

 

"어린아이들은 자신이 이런 솟대를 만들었다는 것을 즐거워하죠. 그리고 연세가 드신 어르신들께서는 솟대를 만들면서, 이런 것을 만들 수 있다는 자신감이 생긴다고 합니다. 가장 많은 체험을 하시는 분들이 30~40대 장년층입니다. 그 분들은 솟대를 만들면서 자신의 소망을 만들어 내는 것이죠."

 

▲ 솟대 때로는 대나무를 휘어서 대를 만들기도 한다. 다양한 모습의 솟대가 김계용의 손에서 탄생한다.

 

사람들은 작은 바람에도 흔들리는 솟대를 만들면서 나름대로의 의미를 부여한다는 것이다. 솟대를 만들 때 친구를 생각하면서 만들라고 한단다. 그러면 그 솟대가 친구의 의미로 다가온다는 생각이다. 자신이 느끼는 감정을 그 솟대 안에 부여하면, 솟대의 의미가 남다르게 표현이 된다는 것이 김계용의 주장이다.

 

"앞으로 이 솟대와 한지공예, 그리고 천연염색을 함께 곁들여 작품을 만들려고 합니다. 그리고 2010년에는 이 솟대로 작품전시회도 가지려고 하고요."

 

바람결에도 흔들리는 작은 대나무 솟대. 그 안에 자연을 사랑하는 마음을 심는다는 김계룡의 마음 씀씀이가 고맙다. 전설속의 대금인 '만파식적'을 만들고 싶다는 이야기를 하면서 밝게 웃는 김계용의 표정이 좋다. 그 웃음이 그저 자연이란 생각이다.  (출처 : 오마이뉴스 / 2010, 1, 22)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