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당은 기본적인 학문을 가르치는 교육기관이다. 나라에서 운영하는 항교 등과는 달리, 서당은 지방의 선비나 백성들이 자녀들을 교육시키기 위한 교육의 장소로 설립을 한다. 경상남도 거창군 북상면 갈계리에는 경남 유형문화재 제295호로 지정이 된 ‘갈천서당’이 자리하고 있다.


서당은 대개 7 ~ 8 세의 어린 학동들인 남자 아이들이 입학을 하여, 15 ~ 16세가 될 때까지 공부를 하는 곳이다. 이곳에서는 현재 초, 중급 정도의 학습과정인 유교 경전을 주로 공부하게 된다. 19세기에 들어 근대교육이 도입되면서 점차 쇠퇴의 길을 걷던 서당은, 그 기원을 삼국시대부터로 보고 있다.



임훈이 세운 갈천서당


서당이 사회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한 시기는, 사림파가 등장하여 향약을 보급하고 마을마다 지역민의 교화에 힘쓰던 16세기 초반부터이다. 갈천서당은 선조 6년인 1573년에 갈천 임훈이 처음 문을 연 서당이다. 임훈은 벼슬에서 물러나 고향인 이곳 갈계리로 내려와, 아우인 임운과 함께 갈천서당을 열고 학동들을 가르치는데 여생을 바쳤다.


처음으로 갈천서당이 문을 연 것은 1573년이지만, 현재의 건물은 고종 15년인 1878년에 후손들이 다시 지은 것이다. 지난 5월 20일 무주, 거창의 답사 길에 만난 갈천서당. 옆으로 내가 흐르는 곳에 세우진 갈천서당은 참으로 단아한 모습이다. 크지 않은 이 서당에서 글을 배우는 학동들은 자연을 만끽하며 살았을 것이다.




아마도 공부를 하다가 머리라도 식히고자 했다면, 냇가에 발을 담구고 앞으로 펼쳐진 갈계숲을 거닐지는 않았을까? 강당과 대문으로 구성된 이 서당은 참으로 아담하기 그지없다. 그러나 주변의 아름다운 자연과 함께, 절로 학습의 효과가 뛰어날 것만 같다.


조선시대 서당연구에 좋은 예


갈천서당은 조선시대 서당연구에 좋은 예로 꼽힌다. 정면 다섯 칸, 측면 한 칸 반의 크지 않은 맞배지붕으로 꾸며진 서당은, 앞으로 솟을대문을 두고 있다. 대문을 들어서면 좌측에 두 개의 비가 보인다. 임훈과 임운 두 형제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후손들이 세운 신도비이다.





서당을 바라보면서 좌측으로 한 칸의 방을 드리고, 두 칸 대청과 두 칸의 방이 이어진다. 집은 참으로 간소하고 장식을 하지 않아 겸손함이 배어있다. 자연석 주초를 이용하고 사각의 기둥을 세운 건물은, 역시 자연석으로 몇 단의 기단을 쌓았다. 지금은 주변이 너른 평지에 있어, 지나는 사람들이 찾기에 용이하다.


두 칸 대청의 뒤로는 판문을 달아냈으며, 몇 개의 현판이 걸려있다. 대청 좌측 위에는 향약과 서책 등을 보관하는 나무로 짠 보관함이 보인다. 방 정면 밑으로는 연도를 내고, 굴뚝이 없는 연기구멍을 내었다. 아담하고 선비의 모습처럼 단아한 갈천서당. 아마도 이곳에서 글을 읽던 학동들의 마음도 이처럼 단아하지 않았을까?





서당을 한 바퀴 돌아 나오면서 뒤를 돌아본다. 바쁜 농사철이라 그런지, 앞으로 지나는 경운기의 소리가 마치 학동들의 글 읽는 소리처럼 들린다. 예전 이곳에서 학습을 하던 학동들은 솟을삼문 앞 들판에서 모심기를 하던 농부들을 바라보며, 절로 글이 떠올랐을 것만 같다. 처음 문을 연지 450년, 지금의 서당이 지어진지 130여년. 갈천서당은 지금도 아이들이 공부를 하기에 딱 어울릴 듯한 장소이다.


경남 거창군 북상면 갈계리에는 양편으로 내가 싸고 흐르는 숲이 있다. 이 숲을 ‘갈계숲’이라고 하는데, 원래의 이름은 은사의 정원을 이르는 ‘임정(林亭)’이라고 한다. 거창의 절경 중 제3경에 해당하는 갈계숲은 수고 22m 정도의 2~3백년이 된 소나무와 물오리나무, 느티나무 등이 숲을 이루고 있는 곳이다.

거창군의 천연보호림 제2호로 지정이 되어있는 이 숲은, 덕유산에서 발원한 갈천이 동서로 나뉘어져 흐르고 있어 마치 섬과도 같은 분위기가 물씬 풍긴다. 조선조 명종 때 유현 석천 임득번과 그의 아들 효간공 갈천 임헌 등 삼형제와 문인들이 이 숲에 들어와 시를 짓고 노닐던 곳이라고 한다.



‘가선숲’안에 ‘가선정’이라니

이 숲 안에는 갈천 임헌의 호를 따서 지은 가선정이 있어 ‘가선림’이라고도 부르며, 청학교를 놓은 뒤에는 ‘청학림’이라고도 부른다. 또한 마을 이름을 따서 ‘치내숲’이라고도 부르는데, 현재는 갈계숲으로 통칭하고 있다.

다리를 건너 숲 안으로 들어가면 몇 채의 전각이 보인다. 그 중 가장 고풍스런 전각이 바로 가선정이다. 가선정은 정면 두 칸, 측면 두 칸의 팔작지붕 중층 누각으로 지어졌다. 갈천 임훈 선생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며 효자로 이름이 높았다. 이 갈계숲은 갈천 임훈 선생이 태어나 자라고 묻힌 곳이기도 하다.




고풍스런 가선정이 언제 지어졌는가는 확실치가 않다. 주변에는 조선 명종 때 육현신의 한 사람으로, 광주목사를 지낸 갈천 임훈이 후학 양성을 위하여 그의 아우 임운과 함께 1573년에 건립한 갈천서당이 있다. 이런 점으로 볼 때 가선정도 그 당시나 1878년 후손들이 각천서당을 중건할 때 짓지 않았을까 생각해 본다.

누각에 오르니 절경이로다

가선정 위로 올라본다. 여기저기 글을 적은 게판들이 걸려있다. 그리고 천정에는 그림이 그려져 있다. 바둑을 두는 신선들과 한 편에는 다구 등이 보이다. 학도 몇 마리 한쪽 구석을 차지하고 있다. 아마도 이 갈계숲의 가선정이 이들에게는 바로 신선의 세계였으리라는 생각이다.




중층으로 된 가선정은 자연석 주초에 치목을 하지 않은 목재를 사용해 기둥을 삼았다. 자연의 형태를 무너트리지 않겠다는 생각이었을 것이다. 아마도 이런 마음들이 있어, 이렇게 무성한 갈계숲이 남아있을 것이다. 나무계단을 밟고 누각위로 오르면, 난간을 사방에 두른 누마루 끝편으로 활주가 걸려있다.

누가 이런 곳에서 살고 싶지 않겠는가? 갈천 선생 당시나 지금이나 자연을 좋아하고 그것을 누릴 줄 아는 사람이라면, 이 가선정이나 갈계숲보다 적합한 곳은 없을 것이다. 심호흡을 해본다. 숲의 맑은 공기가 폐부 깊숙이 빨려드는 듯하다. 도심에서 답답한 가슴이 시원해진다. 아마도 이런 즐거움이 있어 이곳을 찾지 않았을까?


오늘 가선정 누마루에 털썩 주저앉아 옛 문인들의 정취를 느껴보고 싶다. 그리고 이 갈계숲에서 시간을 버려두고 싶다. 5월 20일의 늦은 오후, 길을 재촉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난 이곳에서 자리를 털 수가 없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