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작스런 폭설로 답사가 중단되었다. 하늘이 검게 변하더니 커다란 눈송이가 떨어지기 시작한다. 어제 전북 지역은 많은 눈이 내렸다는 전갈을 받고 서둘렀는데도, 결국엔 답사를 중단하고야 말았다. 이번 답사에서는 마애불을 답사하기 위해 몇 날을 벼르고 떠났지만, 산 속에 있는 마애불을 찾아가기에는 역부족인 날씨다.

충북 진천지역을 돌아보다가 보니, 아침도 먹지를 않았다. 진천군 이월면으로 길을 잡아 돌고 있는데, 길에 ‘양푼이 생태’라는 현수막이 보인다. 갑자기 시장기가 돈다. ‘양푼이 생태찌개’는 도대체 어떻게 생긴 것일까? 궁금하기도 하다. 진천군 이월면 송림리 515-1, 이월 산내들 아파트 옆에 자리한 식당은, 가정집을 식당으로 꾸민 집이다.



밑반찬을 보고 음식을 말하지 말라

안으로 들어가 식사가 되느냐고 했더니, 추운데 어서 들어오라고 한다. 그냥 평범한 가정집을 방으로 꾸미고 식탁을 늘어놓았다. 안에는 한 사람도 없다. 점심시간이 조금 지나기는 했지만, 이렇게 사람이 없어서야 어찌하랴. 상 앞에 앉으니 밑반찬을 갖다 놓는다. 그런데 이 밑반찬이라는 것이, 파래김, 겉절이 김치, 감자볶음, 깻잎, 그리고 콩자반이 다이다.

이 정도 반찬을 주려고 그렇게 도로가에 현수막을 걸어 놓은 것일까? 내심 실망이다. 잠시 후 안주인이 휴대용 렌지를 갖다 놓더니 위에 양푼을 올려놓는다. 그 안에 생태와 두부, 파 등으로 요리를 한 것이 보인다. 아하! 이렇게 양푼에 생태찌개를 끓여주기 때문에, 이름이 양푼이 생태였는가 보다.




잠시 후 보글거리고 찌개가 끓는다. 맛은 어떨까 궁금하다. 시장이 반찬이라고 했는데, 웬만한 것은 다 맛있을 것 같지만 꼭 그렇지만은 않다. 전국을 답사를 하면서 입맛 깨나 까다로운 나이기 때문이다. 한참 찌개가 끓는데 또 양푼을 하나 들고 들어온다. 그 안에 갓 지은 밥이 있다. 찌개도, 밥도 모두 양푼에 하는 집이다.

그 맛 한 번 일품일세!

찌개를 떠서 잔 그릇에 담아 한 입 먹어본다. 시원하다. 밑반찬 맛을 본다. 생각 외로 깔끔하다. 분위기기 그저 집에서 밥상을 받은 것만 같다. 반참이 별로없기 때문에, 그것이 오히려 집에서 먹는 기분이 난다. 밥 한 그릇을 다 비웠다. 양푼에는 찌개도 별로 남지 않았다. 그만큼 입맛을 당긴다. 배도 고프고 지치고 허기도 졌지만, 그보다는 맛이 일품이기 때문이다.



밥을 다 먹을 때쯤 또 양푼이 들어온다. 이번에는 밥을 푸고 난 것을 끓인 누룽지다. 별로 화려하지는 않지만, 그저 마음 편하게 해주는 밥상이다. 매번 돌아다니다가 보니, 이런 밥상이 오히려 정겹다. 거기다가 맛까지 깔끔하니, 금상첨화가 아닐까? 오랜 답사 길에서 먹어본 음식 중 순위를 먹인다면 당연히 위에 둘만한 집이다.

난 음식전문가가 아니다. 맛집 블로거도 아니다. 그러나 눈발에 멈춰진 답사의 허전함을 달래기에 충분한 맛이다. 거기다가 주인들의 빠른 손놀림이 더욱 고맙다. 음식을 오래 기다리는 것은, 정말 그 시간이 아깝기 때문이다. 오랜만에 포식을 하고 나와서인가, 잠시 눈이 그친 틈을 이용해 또 몇 곳을 돌아보았다. 앙푼이 찌개의 덕이려니.


양푼이 찌개 : 진천군 이월면 송림리 515-1
가격 : 대(4~5인) 40,000원, 중(3~4인) 30,000원, 소(2인)20,000원
특징 : 양푼이 찌개집의 음식은 오직 생태찌개뿐.
전화 : (043)537-2869


충북 진천군 이월면 노원리 826에 소재한 신헌 고택. 현재 충북 문화재자료 제1호로 지정이 되어있다. 신헌(1810∼1884)은 조선조 후기의 무신이면서 외교가였다. 이 집은 신헌이 살던 집으로 과거에는 사랑채와 행랑채 등이 있었으나, 그 집을 허물어 길상사를 짓는데 사용하였다고 한다.

신헌의 자는 국빈, 호는 위당이며 평산인이다. 순조 28년인 1828년에 무과에 급제하여 훈련원주부에 임명 된 후, 고종 때에 이르기까지 중요 무반직을 두루 거쳤다. 고종 3년인 1866년 병인양요 때는 충융사로 강화의 염창을 수비하고, 난이 끝나자 좌참찬 겸 훈련대장이 되어 수뢰포를 만들기도 했다.

천사의 나팔이 집안 곳곳에 놓여있는 진천 신헌고택

병자수호조약과 한미수호조약을 체결한 신헌

고종 12년인 1875년 운양호 사건이 일어나자 이듬해 전권대관이 되어 병자수호조약을, 고종 19년인 1882년에는 한미수호조약을 체결하였다. 같은 해에 판삼군부사가 되었다. 이 집은 1850년경 신헌이 전통 한옥 형태로 지은 건물이다. 세울 당시에는 사랑채와 행랑채, 안채 등이 있었으나 현재는 안채와 광채, 중문채 만이 남아 있다. 신헌고택을 찾아갔다.

마침 문이 걸려있지 않아 집을 둘러보는데 어려움은 없었다. 현재 대문으로 사용을 하고 있는 문은 안채로 통하는 중문이다. 문은 중앙에 문을 두고 양 옆으로는 방과 헛간이 있다. 방 밖으로는 굴뚝이 서 있어, 이 방에서 안채의 일을 돌보는 여인들이 기거했던 곳임을 알 수 있다.




현재의 대문은 중문이었다. 사랑채와 행랑채는 없어지고, 중문이 대문이 되었다. 중문은 바람벽을 두어 안채를 보호하였다.

안채만 남아도 단아한 집

안채는 2층 기단 위에 세운 ㄱ자형 평면집이다. 오른쪽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자 모양을 한 맞배지붕이고, 왼쪽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팔자 모양인 팔작지붕이다. 한 집에 이렇게 지붕을 들인 것은 흔치가 않다. 안채는 꺾이는 부분에 마루를 놓고 양편으로 방과 부엌을 달아냈다.

사람이 거주하고 있는 신헌고택을 들어가니, ‘천사의 나팔’이라고 하는 꽃들이 여기저기 놓여있다. 집안 정원 가득 꽃이 심겨져 있어, 현재 이 집에서 거주를 하고 있는 사람들이 얼마나 꽃을 좋아하는가를 알 수 있다. 천사의 나팔이라는 이 꽃은 해가 지기시작하면 짙은 향을 풍긴다. 이 정도 꽃이면 집안 전체가 꽃향기로 가득할 것만 같다.


사랑과 안채를 통하던 일각문과(위) 안채의 한편. 천사의 나팔이 꽃을 피우고 있다.

안채에서 예전 밖으로 나가는 문은 중문 말고도, 중문채 끝에 일각문이 있어 그곳으로 통행을 했다. 현재 일각문 밖은 정원으로 꾸며져 있다. 남아있는 집의 전체적인 구조로 보아, 처음 이 집을 지었을 당시의 모습이 그려진다. 길상사를 짓기 위해 사랑채와 행랑채 등을 부수었다는 주민들의 이야기에, 조금은 아쉬움이 남는다.

안채의 앞에 길게 마련한 광채는 부속 건물이다. 이곳은 곡식이나 여러 생활용품을 보관해 두던 곳으로, 곳간, 헛간, 광 등을 마련했다. 담 밖에서 보는 광채는 10여 칸이나 되는 -자형으로 꾸며졌다. 이러한 광채의 크기로 보아도, 이집을 지었을 때는 정말 운치가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광채는 열칸 정도로 지어 곡식 등을 보관하였다.

밖으로 나와 안채의 뒤편을 바라다본다. 뒤편에는 낮은 굴뚝들이 연이어 나 있다. 뒤편의 길가로 난 담장이 높게 되어있고, 그 밑으로 차이를 두어 안채가 있는 것으로 보아, 예전에는 이 뒤편이 산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저 안채만 남았어도 단아한 형태로 지어진 신헌고택. 이 집의 밤은 온통 꽃향기로 뒤덮일 것이다.

언젠가 늦은 시간 막걸리 한통 사들고 다시 이 집을 찾아, 휘영청 밝은 달밤에 천사의 나팔에서 흘러나오는 향기에 취해보고 싶다.

안채의 뒤편으로는 낮은 굴뚝이 줄을 지어 서 있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