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나이가 지금 86세인데, 어린 시절에 그러니까 17~18살 때 편수 노릇을 했어요.”

 

행궁동 생태교통 시범지역, 화성옥 옆에 있는 쌈지공원에서 짚공예 체험을 지도하고 있는 이원근옹은 고향이 화성이라고 하신다. 현재의 오산인데 수원으로 옮겨 자리를 잡은 지가 30년이 되었다고 하신다.

 

편수란 초가지붕을 이을 때 우두머리를 말하는 것이지. 어린 시절에 이미 편수노릇을 햇지. 예전에는 집들이 모두 초가를 이었으니까, 일도 상당히 많았고

 

그렇게 많던 초가집들이 박정희 전 대통령 때 새마을운동을 시작하면서 지붕개량을 하는 바람에 일감이 줄었다는 것이다. 오늘(92)부터 쌈지공원에서 생태교통을 찾아오는 관람객 중에서, 짚공예를 배우고 싶어 하는 사람들에게 가르쳐 준다는 것이다.

 

짚공예에 대해서는 전문가

 

이원근 옹은 곁에 서 있는 짚으로 만든 허수아비(경기도당굿에서 화랭이가 놀리는 의딩이)를 며칠이 걸려서 만들었다고 하신다. 짚으로 만드는 것은 무엇이나 다 할 수 있다고 하시면서

 

예전에는 한양을 올라갈 때 짚신을 신고 다니잖아. 그럼 밤새 짚을 꼬아서 새끼를 꼬고, 그 다음에 짚신을 만들어야지. 짚신이란 것이 그렇게 오래 신을 수가 없는 것이거든. 한 이틀 신으면 다 헤어져 버리는 것이야

 

그래서 한양에 과거를 보러 가려고 하면 하루 종일 걷고, 잠을 자러 들어간 집에서 불을 켜놓고 짚신을 삼는다고 한다. 그렇게 몇 날 며칠을 걸어서 한양에 도착하려면 많은 짚신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사람들은 짚신을 오래 신을 수 있는 것으로 아나본데 그렇지 않아. 짚신을 아무리 잘 삼아도 이틀이 안가. 많이 걸으면 하루에도 떨어지거든. 그래서 괴나리봇짐에 짚신을 달고 다니는 거야. 그것이 떨어지기 전에 다시 짚신을 또 삼아야하거든.”

 

짚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자 끝이 없이 이야기를 하신다. 터주가리와 업가리 이야기가 나오자 소리까지 곁들여가면서 설명을 하신다.

 

 

예전에는 장독대 곁에 터주가리나 업가리를 만들어 놓았어. 터주가리는 집을 지키는 터주신이 있는 곳이고, 업가리는 가운데를 비워 놓으면 그 안에 족제비나 구렁이 등이 기어들어가 업이 되는 것이지. 그래서 소리도 전하는 거야. 족제비업은 뛰어들고 구렁이 업은 기어들고 하면서 부르는 소리가 있지

 

이원근 옹의 이야기를 듣다가 보니 시간이 가는 줄을 모르겠다. 예전에는 짚이 상당히 많이 이용이 되었지만, 지금은 이렇게 체험으로 밖에는 만날 수가 없다는 것이다. 새끼를 꼬는 체험을 해야 하는데, 구해 놓은 짚이 없어 걱정이라고 하신다.

 

초가지붕도 용어부터 알아야 헤

 

초가지붕 위에 올리는 이엉을 엮을 때도 많은 공부를 해야 한다고 하시는 이원근 옹.

 

사람들이 내가 이엉을 엮는 것으로 보고 어떻게 배웠느냐고 물어보는 거야. 배우긴 무엇을 배워. 그저 어르신들이 하는 것을 보고 따라한 것이지. 그래서 이런 것을 만드는 사람은 머리가 좋아야 해. 머리가 나쁘면 아무리 알려줘도 소용이 없어

 

초가지붕 한 칸을 잇자면 엮어서 만든 짚더미 7마름이 필요하단다. 열 칸이면 70마름의 발이 필요하다고. 10칸의 지붕을 잇는다고 하면, 트럭으로 한 차 분량의 짚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초가지붕의 제일 위인 용마루 위를 덮는 것을 용두재라고 하지. 그것은 4겹으로 덮어야 해. 그리고 짚을 덮은 다음에 고사새끼라는 것으로 잘 동여야 하거든. 그래야 바람에 날아가질 않지. 고사에는 속고사와 겉고사가 있는데 겉고사는 지붕을 덮은 후 밖으로 새끼줄로 엮는 것을 말하는 것이지. 그래야 바람에 날아가지 않고 단단히 고정이 되니까

 

끊임없이 이야기를 풀어내시는 이원근옹. 아직은 정정하시다고 하시면서 체험을 하러 온 사람에게 새끼를 잘 꼬는 법을 가르치신다. 생태교통 지역을 돌아보는 한 무리의 외국인들이 그런 이원근 옹을 유심히 바라본다. 이원근 옹의 손놀림은 점점 더 빨라지고.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