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풍습에 ‘매향(埋香)’이란 의식이 있었다. 이 의식은 하늘과 땅의 신을 모시기 위한 의식으로, 향나무를 땅에 묻거나 피우는 의식을 말하는 것이다. 이 때 이러한 의식을 행하는 과정과 시기, 그리고 관련된 집단이나 사람들을 기록한 돌을 <매향비>라고 한다. 매향비는 다듬은 돌에 기록하는 것이 아니다. 커다란 바위에 기록을 해 놓는 형태이다.

 

미륵의 세계를 그린 민초들의 염원

 

매향의식은 내세에 미륵불의 세계에 태어날 것을 기원하며 향을 땅에 묻는데, 매향 의식은 고려 때도 성행하였으나, 그 후 불교에 대한 억제가 강화되던 조선조 초기에 극락정토로 갈 것을 기원하면서 비를 세우던 비밀 종교행위의 하나이기도 하다. 매향은 주로 민초들이 즐겨했으며, 순수한 민간신앙의 형태로 이루어졌다.

 

 

지금까지 발견된 매향비로는 1309년 8월에 세운 고성삼일포 매향비를 비롯하여, 1335년 3월에 세운 정주 매향비, 1387년에 세운 사천 매향비, 1405년에 세운 암태도 매향비, 1427년에 세운 해미 매향비 등이 있다.

 

보물 제614호 사천 매향비

 

경남 사천시 곤양면 흥사리 산48 소재한 보물 제614호 사천매향비는 보호각을 지어 보호를 하고 있다. 사천 매향비를 답사한 해가 2005년이었으니, 벌써 4년이 훌쩍 지났다. 하기야 벌써 20여 년을 전국을 돌아다녔다. 꽤 오랜 시간을 전국 방방곡곡을 돌았지만, 아직 갈 길이 멀다. 그래서 마음은 조급하고, 그 수많은 경비며 시간이 점차 부담스럽다.

 

자연석에 15줄 202자를 썼다. 매향은 민간들이 행한 의식이다

 

그래도 그동안 현장에서 담아 온 것을 정리하여 이렇게 소개를 할 수 있다는 것이 퍽이나 다행이란 생각을 한다. 사천 매향비는 거의 다듬지 않은 자연석을 사용하여 비문을 새겨 놓았는데, 표면의 굴곡이 심하다. 그저 바라보면 글자를 제대로 판독하기도 어려운 글자가 많은 듯하다. 글자 크기도 각자가 다르고 종횡도 잘 맞지 않아 보기가 힘들다.

 

전체 15줄 202자를 각인한 사천 매향비의 판독된 내용에 보면, 고려 후기 사회가 혼란하던 때에 불교 승려들을 중심으로 4,100여 명이 계를 조직하여, 왕의 만수무강, 나라의 부강, 백성의 평안 등을 기원하기 위해 이곳에서 매향의식을 치렀다는 것을 기록했다. 당시 매향의 주도집단은 주로 보(寶)·결계(結契)·향도(香徒)였다.

 

소중한 민간신앙의 형태를 알아 볼 수 있는 문화재로 가치가 높다

 

비문은 승려 달공이 짓고, 수안이 썼으며, 김용이 새긴 것으로, 고려 우왕 13년(1387)에 세워졌다. 건립목적과 세운 연대가 확실한 비로, 잊혀진 우리의 옛 민속을 알려주고 고려 후기 사회의 한 단면을 보여주는 귀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이 시대에 맞는 매향의식이 필요해

 

매향의식을 거행할 때 땅에 묻는 향은 주로 침향이란 희귀약재로 쓰이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가의 향을 땅에 묻는다는 것은 그만큼 민초들의 절박한 마음 때문일 것으로 보인다. 흔치 않은 문화재인 매향비. 사천 매향비를 답사한 지 오래 전이지만, 지금도 그 매향비 안에 깃든 민초들의 마음은 예나 지금이나 다름이 없을 것만 같다. 어차피 민초들이야 권력이나 금력을 가진 자들과 함께는 살아가기가 쉽지 않은 세상이니 말이다.

 

보물 제614호 사천 매향비

 

갑자기 사천매향비가 생각이 난 것은, 이 시대를 살아가는 민초들의 삶이 너무 절박하기 때문인지도 모른다. 굳이 매향의식이 아니라고 해도, 숱하게 많은 사람들이 살아가면서 지친 몸과 마음을 달래줄 수 있는 길은 없는 것일까? 정작 국민들을 위해야 할 위치에 있는 사람들은, 자신들만의 잔치에 빠져 있는 것이 요즈음의 현실이다. 과연 이네들을 믿고 살아야만 할까?  이제는 이 시대에 ‘매향의식’이 필요한 때일 것이란 생각이다.

한옥의 맞배지붕 양편에는 지붕 용마루 끝에서 벽을 따라 내려오는 구조물이 있다. ‘풍판’이라고 하는 이 구조물은 바람을 막는다는 것이다. 한 마디로 바람도 막고, 비바람에 건물의 벽을 보호하는 역할도 하고 있다. 이런 풍판은 대개 목재로 마련하고 칠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고창군 고창읍 모양성로 88번지. 이곳에는 단군성전이 자리하고 있다. 단군성전은 전국 어느 곳에서나 볼 수 있는 건물이기도 하다. 10월 23일, 고창군에 일이 있어 갔다가 길가에 한옥을 보고 올라갔는데, 계단 입구에 단군성전이라는 석비가 보인다. 비지정문화재인 이 건물은 계단 위에 솟을삼문과 그 안에 성전이 자리하고 있다.


학교 앞에 자리하고 있는 단군성전

단군성전이 자리하고 있는 이곳은 비탈진 곳에 계단을 놓고, 그 위에 마련하였다. 길가에 위치하고 있어 사람들이 찾기에 편할 듯하다. 맞은편에는 고창여고인가 학교가 자리하고 있다. 계단을 올라보니 문이 굳게 잠겨있다. 안으로 들어갈 수가 없을 때는 담장 밖을 몇 바퀴 돌아야한다.

그렇게라도 답사를 하는 것이 이제는 버릇처럼 되어 버린 지 오래이다. 뒤편으로 돌아가면서 사진을 찍다가 보니, 뒤 담장에 붙은 밭에서 노부부가 고구마 수확을 하고 있다. 어르신께 말씀을 드렸더니, 일 년에 한 번 개천절에 사람들이 모여 제를 올린다는 것이다. 예전에는 이 분이 열쇠를 갖고 있었는데, 이제는 직접 관리를 하는지 열쇠를 안 맡긴다는 것이다.




벗겨진 칠 속에 나타난 것은

“요 아래쪽에 낮은 담이 있어. 그리로 넘어가”

문이 잠겨 있더라고 말씀을 드리니, 어르신이 하시는 말씀이다. 딴 곳 같으면 월담이라도 하겠지만, 명색이 단군성전인데 어찌 담을 넘으랴. 이런저런 말씀을 듣고 나서, 다시 한 바퀴 돌아본다.

그런데 돌아보다가 보니 풍판이 영 이상하다. 칠이 벗겨진 것도 목재와는 다르다. 뒤편으로 돌아 칠이 벗겨진 곳을 바라보니 아무래도 양철인 듯하다. 앞으로 내려와 솟을문을 보았다. 벗겨진 칠 안으로 찍혀있는 글씨가 철판에 찍는 글씨이다. 풍판을 양철로 해놓았다. 비바람에 오래 견디어내도록 그리 했는지는 모른다. 그러나 명색이 단군성전인데, 그 건물의 풍판을 양철조각으로 해 놓았다니.




그래도 이 나라의 정신적인 지주인 단군이다. 그리고 우리는 늘 단군의 후손이라고 이야기를 한다. 그런 단군을 모신 사당의 건물, 양철로 마련한 풍판은 칠까지 벗겨져 흉물이 되었다. 문이 잠겨 있는 것이야 어쩔 수가 없다고 하지만, 양철 풍판을 보고는 울화가 치민다. 비지정문화재라고 해서 이렇게 대우를 하는 것일까?

지정, 비지정이 중요한 것이 아니다. 단군의 제를 모시는 곳을 이런 식으로 홀대를 했다는 것이 화가 나는 것이다. 아무리 의식이 없어도 그렇지, 어찌 풍판을 양철로 댈 생각들을 한 것인지. 큰 돈 들어가는 것도 아닌데, 제발 제대로 된 풍판하나 마련해주길 원한다. 앞쪽 학교의 학생들이 이런 몰골을 보았다면, 어떤 생각을 했을 것인지. 낯이 뜨거워 오래 지체할 수가 없다.



참 이런 정체성 없는 사람들이 이 나라에는 얼마나 많은 것인지. 도대체 이런 황당한 일을 만날 때마다, 답사고 무엇이고 다 집어치우고 싶은 것이 솔직한 심정이다. 아무리 상처를 받는다고 해도, 눈 하나 꿈쩍하지 않는 비한국적인 인간들이 판을 치고 있으니.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