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끔 시골마을을 돌아다니면서 마을회관을 찾아가고는 한다. 옛소리라고 부르는 우리 소리를 듣기 위해서다. 우리 소리란 생활 속의 소리다. 예전에는 모든 작업이 소리와 함께 이루어졌다. 그것은 소리를 하면서 노동에서 오는 피로를 조금은 가셔보고자 하는 뜻도 있으나, 그것보다는 힘든 세상살이를 소리를 하면서 잊고자 하는 데 있었을 것이다.

  

슬픈 여인의 시집살이 죽음으로 끝나

 

진주난봉가라는 소리가 있다. 이 소리는 유명하다. 모 가수도 이 소리를 불렀고, 전문소리꾼들이 소리를 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렇게 꾼들에 의한 소리보다는, 연세가 지긋하신 할머니들의 곡조 없는 탄식조의 소리가 더 일품이다. 요즈음처럼 선율이 있는 노래로는 가치가 떨어질 수도 있지만, 자탄가조의 소리야말로 인생살이가 그 안에 있기 때문이다.

 

 

울도 담도 없는 집에 시집살이 삼년 만에

시어머니 하시는 말씀 애야 아가 며늘아가

진주낭군 오실 테니 진주남강 빨래가라

진주남강 빨래가니 산도 좋고 물도 좋아

우당탕탕 빨래하는데 난데없는 말굽소리

고개 들어 그곳 보니 하늘같은 갓을 쓰고

구름 같은 말을 타고서 못 본 듯이 지나간다

울도 담도 없는 집에 시집살이 삼년 만에

흰 빨래는 희게 빨고 검은 빨래 검게 빨아

집이라고 돌아와 보니 사랑방이 소요하다

시어머니 하시는 말씀 애야 아가 며늘아가

진주 낭군 오셨으니 사랑방에 들어가라

사랑방에 나가보니 온갖 가지 안주에다

기생첩 옆에 끼고 권주가를 부르더라

 

시집살이는 정말 어렵다. 그런데 그 시집살이 동안 낭군은 어디에 가 있었는가? 그리고 그 간 곳이 왜 하필이면 진주였을까? 이 소리는 우리나라 전역에서 나타난다. 그런데도 왜 하필이면 '진주낭군'이란 표현을 했을까?

 

예전 진주에는 교방청이 있었다. 교방청이란 관아에 속한 무기(舞妓)들을 교육시키던 기관이다. 이 교방청에 속한 무기들은 춤, 소리, 악기뿐만 아니라 글과 그림도 배웠다고 한다. 현재 진주팔검무, 진주교방굿거리, 진주승전무 등의 춤은 모두 이 교방청에서 배울 수 있는 기능 중 하나이다.

 

그런데 이 교방청이 진주에만 있었던 것은 아니다. 아마 이렇게 진주낭군이란 용어가 나오게 된 것은 <고려사 악지>에 보이는 진주의 사록 위제만과, 진주 기생 월정화의 이야기 때문이 아닌가 생각 든다. 고려사 71권 악지에 보면 '월정화는 진주 기생이다. 사록 위제만이 그녀에게 매혹되어 그의 부인이 울화가 나서 죽었다. 진주 사람들이 그 여인을 불쌍히 여겨, 살았을 때 서로 친하지 않았음을 안타까워하고, 사록이 여색에 빠졌음을 풍자한 것이다'라는 기록이 있다.

  

한사모시관에 전시된 베짜는 여인의 인형. 예전 여인들은 밤새 베를 짜 생계를 유지하기도 했다.

 

사랑방에 나가보니 온갖 가지 안주에다

기생첩 옆에 끼고 권주가를 부르더라

울도 담도 없는 집에 시집살이 삼년 만에

이것을 본 며늘아기 아랫방에 물러나와

아홉 가지 약을 먹고서 목매달아 죽었더라

이 말들은 진주낭군 버선발로 뛰어나와

내 이런 줄 왜 몰랐나 사랑사랑 내사랑아

화륫정은 삼년이요 본댁정은 백년인데

내 이럴 줄 내 몰랐다 사랑사랑 내 사랑아

너는 죽어 꽃이 되고 나는 죽어 벌나비 되어

남녀차별 없는 곳에서 천년만년 살고지고

 

이렇게 진주 낭군을 기다리던 본댁은 화류계의 여성으로 인해 죽어 버렸다. 여기서 이 진주낭군이란 소리가, 위제록과 월정화로 인해 창출된 소리라는 것이 믿음이 간다. 우리 여인네들이 부르는 소리에는 남편이 바람이 나면, 그 대상이 화류계 여성이 아닌 첩을 상징하는 '시앗'으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진주라는 지역과 화류계 여인으로 인한 죽음이었다는 것이 진주낭군(진주난봉가)의 이야기다. 이렇게 허무하게 본댁이 죽고, 그나마 그 죽음을 보고 진주낭군이 정신을 차렸다는 것으로 소리가 끝을 맺는다. 하지만 이미 죽고 나서 후회를 한들 무엇 하리. 아마 그 죽음에 대해 책임을 면해보려고 했던 것이나 아닌지 모르겠다.

 

할머니들이 들려주시는 대반전의 소리

 

그런데 이 진주난봉가를 뒤집는 소리가 있다. 반전도 이런 반전이 있다니. 한 마디로 소리의 극치란 생각이다. 이 소리는 진주낭군이 바람을 피웠다는 것은 동일하다. 하지만 진주난봉가처럼 사설도 많지가 않다. 그러면서도 할 말을 다했다. 여기서 나타나는 것은 화류계 여성이 아닌 '시앗'이다. 그 시앗에 미쳐 진주낭군이 돌아오지를 않는다는 것이다. 그래서 본댁은 날마다 모시삼기를 하고, 베를 짜면서 날을 지새운다. 그러다가 편지를 한 장 받았다는 것이다.

 

주야공산 긴긴밤을 전지바탕 마주보고

무릎일랑 걷어제쳐 뽀둑비벼 삼은모시

서울님을 줄것인가 진주낭군 줄것인가

오동잎이 누러질때 감골낭군 줄것인가

편지왔네 편지왔네 진주낭군 편지일세

한손으로 받아들고 두손으로 펼쳐보니

시앗죽은 편지고나 옳다그년 잘죽었다

고기반찬 비리더니 소금반찬 고습구나

 

한산 모시관을 찾아가면 직접 작업을 하는 모습을 볼 수도 있다.


서방인 진주낭군이 보낸 편지를 받아보니, 그 밉상이던 시앗이 죽었다는 편지다. 그래서 고기반찬도 맛이 없던 시집살이가, 소금반찬까지도 고소해졌단다. 참 시앗이 무엇인지. 그 시앗이 죽어 시집살이가 좋아질 것이란 기대와 함께 절로 콧노래가 나온다. 이 정도면 우리소리의 멋이 무엇인지 알만하다.

 

세태가 변하면서 퇴폐산업이 극에 달했다고 한다. 집안에 있는 여인들은 막장드라마를 보면서 은근히 걱정을 하기도 한다. '우리 남편도 나가서 저런 짓을 할까?'라는 걱정 말이다. 그런데 이 소리를 들어보면 그 걱정하던 속이 확 풀린다. 그래서 지난 세월, 우리 할머니들과 어머니들이 참고 살았던 것은 아니었을까? 이 한 소리로 진주낭군의 본댁은 한풀이가 되었을 것이다. 여인들은 그런 맛에 산다. 시앗이 죽었다는 소리를 듣고 싶기도 하고. 그런데 요즈음도 시앗을 보는 간 큰 남자들이 있으려나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