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름다운 정자가 있다. 정자야 다 경치 좋은 곳에 자릴하고 있으니 아름다울 수밖에. 그러나 수많은 시인과 묵객들이 찾아들어, 정자의 아름다움을 적은 게판들이 정자 안에 빼곡히 걸려 있는 모습을 보면 조금은 남다르다. 그만큼 정자 주변의 경치가 아름다웠던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정작 그 아름다웠던 주변 경치를 잃은 정자는 슬프다. 전라북도 임실군 운남면 입석리. 운암호를 내려다보고 있는 정자, 양요정은 현재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137호로 지정이 되어 있다.


500년 세월을 뛰어넘은 정자

양요정은 임진왜란이 일어나던 해인, 조선 선조 25년인 1592년에 양요 최응숙이 지은 정자이다. 이곳으로 난을 피해 낙향을 한 최응숙은, 강물이 산을 휘감아 흐르다가 폭포를 이루는 곳에 양요정을 지었다고 한다. 그 당시에는 양요정이 자리하고 있는 곳의 경치가 얼마나 좋았는지 정자 안에 걸린 게판들을 보면 쉽게 이해가 간다.

정자 안을 빼곡히 채우고 있는 수많은 시인 묵객들의 글들. 양요는 정자를 지은 최응숙의 호로, 당시 이 양요정이 얼마나 아름다운가는 수많은 편액 안에 잘 남아 있다.



원래 양요정의 원 위치는 지금 있는 자리에서 동쪽으로 강가에 자리하고 있었다고 한다. 섬진강 댐의 공사로 인해 양요정이 물속에 잠기게 되자, 1965년 이곳으로 이전을 하였다. 양요정은 지금도 주변 경치가 절경이다. 옮기기 전의 양요정은 산을 감돌아 흐르는 강과, 산 밑으로 낙수치는 폭포가 있었다고 한다. 강과 산, 그리고 폭포와 정자. 한 마디로 그런 모습을 상상만 해도 대단한 절경에 자리를 잡았다는 것이다.

절경 잃은 정자, 이름이 슬프다

그러나 지금 양요정은 운암호를 내려다보는 곳에 자리하고 있다. 산을 휘감아 도는 강도, 산 밑으로 낙하를 하는 폭포도 사라졌다. 그런 인위적인 공사로 인해 멋진 절경을 잃어버리고만 양요정. 왠지 쓸쓸해 보인다는 생각을 갖게 만든다.



양요정은 여느 정자와는 다르다. 정자 가운데에 방을 두었다. 이런 형태의 정자는 남쪽 자방에서 많이 보이는 방들임의 모습이다. 하지만 이 이야기는 곧, 사방 어디를 둘러보아도 절경이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그만큼 정자는 처음 그대로 자리에 있어야만 한다.

정자 가운데 들인 방의 벽면에는 각종 그림이 그려져 있다. 홀로 먼 산을 바라보는 노인, 친구들과 바둑을 즐기는 모습. 그리고 가마를 타고 어디론가 가는 행렬. 아마 양요 최응숙의 마음이 그랬을 것이다. 난을 피해 이곳으로 낙향을 했지만, 늘 임금을 그리고 있었는지 모른다.


세상은 변한다고 한다. 그러나 이 양요정에 올라 운암호를 내려다보면서 문득 걱정이 된다. 개발이란 명목으로 또 어떤 절경을 이렇게 슬프게 만들지나 않을까 걱정스럽다. 자연과 잘 어우러지는 전국의 수많은 정자들. 아름다운 절경과 함께 어우러지는 그런 정자 들이, 이 양요정처럼 또 다른 슬픔을 만들지 말았으면 하는 바람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