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 중반 남자들의 우정이 무엇인지?
살다가 보면 가끔 황당한 일을 당하고는 한다. 그렇다고 나쁜 일은 아니다. 어제 저녁 잠을 설치는 바람에 아침에 게으름을 피우고 있는데 전화가 걸려온다. 모르는 번호지만 전화를 받았다.
“예”
“나다. 나 지금 공항인데 바로 수원으로 간다.”
“언제 나왔냐?”
“지금 도착했다니까”
“야. 그럼 형네로 가든지 누나네 집으로 가라”
“수원 가는 공항버스 벌써 탔다”
참 매년 이맘때가 되면 한국으로 나오는 친구 녀석이다. 걸음을 걷기 전부터 이웃에서 살던 친구와 나는, 네 집 내 집이 없었다. 그저 아무 집이나 가서 쓰러져 자면, 그 집이 바로 자기네 집이었으니까. 거기다가 부모님들도 친구고 심지어는 누나들까지도 서로 친구였으니, 남이라고 할 수도 없이 형제처럼 함께 자랐다. 심지어는 동네 분들이 ‘쌍둥이’라고 했으니.
‘그래도 친구밖에 없어’
이 친구가 찾아오는 것은 한 가지 이유이다. 어릴 때부터 형제와 같이 자랐으니 얼굴이라도 보고 싶어 먼 길을 달려오는 것이다. 하지만 꼭 ‘야, 밥해 놔라’라고 말을 그친다. 친구가 해 준 밥이 맛있다고 하지만, 정말 맛이 있어서 그러는 것은 아니다. 그저 친구와 함께 한 상에 앉아 밥이라도 먹고 싶기 때문일 것이다.
서둘러 집을 치우면서 혼자 투덜댄다. ‘이 녀석은 맨 날 내가 무슨 제 마누라인줄 아나 서방인 줄 아나’라면서. 하지만 그 투덜거림이 기분이 나빠서 하는 것은 아니다. 어찌 생각하면 눈물이 나도록 고맙기 때문이다. 내가 어려움을 당하고 있을 때도 혼자 나와서 고생을 하고 있을 때도, 무던히도 한국만 나오면 날 찾아와 귀찮게 한 녀석이다.
그 속마음을 알기 때문에 고맙기만 하다. 속초에 있을 때도 쉽지 않은 길을 달려와 밥 한 그릇 먹고는 바로 사라져버리고는 했다. 몇 시간을 달려와 고작 밥 한 그릇 먹겠다고 찾아 온 것은 아니다. 어릴 적 형제보다 더 많은 시간을 함께 했으니, 그리고 서로가 눈만 보아도 마음을 읽어낼 수 있으니 찾아오는 것이다.
친구를 위해 마련한 밥상
혼자 생활을 하면서도 다행이라고 생각한다. 늘 찬이 떨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주변에 있는 아우들이 항상 챙겨주기 때문에, 오히려 남들보다 찬이 더 많다. 이렇게 갑자기 누가 들이닥쳐도 비로 상을 차릴 수 있으니, 먹을 복은 타고났는가 보다. 이 친구 녀석 어릴 때부터 함께 잠을 자고 밥을 먹고는 했으니, 자연적으로 식성이 같아졌는지. 녀석은 음식도 같은 것을 좋아한다.
“야 역시 한국에 나와 밥은 너한테 와서 먹어야 제 맛이 나더라.”
“이젠 제발 그만 좀 와라, 아니면 나가서 사 먹든지”
“미쳤냐. 맛있는 밥을 두고 왜 나가서 먹어”
이렇게 만나서 함께 얼굴을 보는 시간이 불과 한 시간 남짓이다. 그 시간을 얼굴이라도 보고 가야겠다고, 그 먼 길을 달려온 친구다. 아마 이 친구가 없었다고 하면 내 생활이 엉망이 되었을지도 모르겠다. 멀리서도 무슨 일만 있으면 전화로라도 걱정을 해주고는 했다.
“요즈음 좋은 사람 안 생겼냐?”
“주변에 다 좋은 사람들이지”
“그런 좋은 사람 말고. 형님이 사람 하나 소개시켜줄까?”
“됐네, 이 사람아”
“오늘 밤에 제사 모시고 내일 새벽 비행기로 출국한다. 형님 없다고 슬퍼하지 말고 내년에 보자”
60 중반에 든 남자끼리의 우정이란, 아마도 다시 아이가 되어가는 것만 같다. “내년에는 오지 말고 누나네 집으로 바로 가라” 말은 그렇게 하지만 이 친구가 내년 이맘 때 연락이 없으면, 아마 불안해서 못 살 것 같다. 그렇게 얼굴 보여주고 밥 한 그릇 먹고 훌쩍 떠나버린 친구 녀석.
“그래 매년 괴롭혀도 좋으니, 그저 건강하게 오래도록 보자 친구야”
중국전통정원, 넌 중국서 보니? 난 수원서 본다.
수원 도심 한 복판에 중국이 있다. 중국 영남 정원의 조경 특징을 그대로 옮겨다 놓은 듯한 정원인 ‘월화원’. 이 중국식 정원은 수원시 인계동 경기문화재단 길 건너편 ‘효원공원’ 안에 자리하고 있다. 곁으로 지나면서도 신경을 쓰지 않으면 보이지 않는 이 정원은, 벌써 조성을 한지가 6년이나 되었다.
월화원은 중국의 전통 정원을 그대로 재현한 것이다. 경기도와 중화인민공화국 광동성이 2003년 10월 20일 양 도(道), 성(省)간 우호협력교류를 증진하고자, 각 국의 전통정원을 서로 상대국에 조성하기로 한 것이다.
효원공원 안에 자리한 중국
중국 광동성은 수원의 효원공원 안에 중국의 정원을 재현하기로 하고, 경기도와 수원시의 협조를 받아 2005년 6월에 착공하여. 그 해 11월에 공사를 마쳤다. 이 월화원을 조성하는 자재 등은 직접 조달했다고 하는데, 우리의 전각과는 사뭇 다른 모습이 특이하다. 지붕에는 용마름이 없으며, 처마 양편에는 깃을 세워 놓았다.
정원 안에는 산과 물, 호수와 꽃, 정자 등이 어우러지게 자리를 하고 있으며, 각종 드나드는 문과 건물 등에도 나름대로의 의미를 부여하였다. 중국 영남조경의 특징을 보이고 있는 월화원, 그 안에 들어가 찬찬히 둘러보면 우리의 정원과는 또 다른 세계를 접할 수가 있다.
연회장과 정자, 연못이 어우러진 월화원
남측의 입구를 들어서면 천정위에 걸린 등이나, 앞을 막고 있는 담장부터가 우리와는 사뭇 다르다. 우측으로 들어서면 그 한편에 ‘옥란당’이 자리하고 있다. 옥란당은 ‘옥란’이라는 식물 이름에서 따왔다는 접대와 휴식의 장소이다. 이 건물들은 지붕의 모습이 한번 꺾어 양편을 말아 올린 형태인 ‘헐산권봉’의 형태로 되어있다.
옥란당의 주변으로는 연못을 파서 시원하게 즐길 수 있도록 하였다. 옥란당 옆 복도를 지나면 좌측에 ‘부용사’가 자리한다. 부용사는 연꽃정자라고 하는데, 전시와 휴식공간이다. 부용사를 지나 밖으로 나가면 물과 돌이 어우러진 위에 정자가 하나 서 있다. ‘우정’이라고 이름을 붙인 이 정자는 친구와 만나 담소를 하며 여유를 부릴 수 있는 가산의 정자이다.
그리고 우정을 지나 연못 주변으로 난 길을 걷다보면 배와 같은 모양을 한 또 한 채의 전각이 보인다. 이 전각은 물에 접한 앞부분을 들어 올려 배의 형태로 축조를 하였다. ‘월방’, 달빛을 인공호수에 담아내는 곳이라는 뜻이다. 연못 안에는 갖가지 색의 물고기들이 여유롭게 유영을 하고 있다.
문 하나에도 의미를 둔 월화원
월화원을 걷다가 보면 문마다 위에 글자를 새겨 놓았다. 아마도 드나드는 문이지만, 나가고 들어올 때 그 의미가 다른 것은 나름대로의 아름다움을 나타낸 듯하다. 옥란당을 지나 밖으로 출입하는 문은 나갈 때는 ‘통유’, 들어올 때는 ‘입아’라고 하였다. 통유는 아름다운 경치가 통하는 문이란 뜻으로, 중국의 구름담장을 의미한다. ‘입아’란 우아한 경치가 있는 월화원으로 들어가는 문이라는 뜻이다.
배 모양의 전각인 월방을 지나 다시 남측 입구로 나가는 문 위에는 ‘신운’이라 적고 있다. 운치있는 경관의 문이라는 뜻이다. 그리고 그 너머에는 ‘일쇄’라 적었다. 안락하고 상쾌한 곳으로 들어간다는 뜻이다. 아마도 이쪽 일쇄에서 들어가면 바로 연못의 달을 담을 수 있는 월방을 만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으로 보인다.
우리와는 전혀 생소한 중국 남방식의 정원인 ‘월화원’. 우리와는 문화가 다르다고는 하지만 이렇게 도심의 한 복판에서 만나보는 중국식의 정원은, 또 다른 감흥을 주기에 충분하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