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문채에 마굿간과 방앗간, 그리고 다락이 있는 집. 제천시 수산면 지곡리 웃말에 있던 이집은, 지곡리 마을에서 볼 수 있는 일반적인 집이었다. 충주댐의 건설로 수몰이 되는 것을 1985년 제천 청풍문화재단지 안으로 옮겨 놓았다. 현재 충북 유형문화재 제89호로 지정이 되어있는 이집은, 대문채와 행랑채, 헛간과 안채로 구분이 되어있다.

 

생활의 지혜가 엿보이는 대문채

 

수산 지곡리 고가의 대문채만큼 특색 있는 가옥도 드물다. 우선은 대문채가 초가로 되어있는 것이야 일반 가옥에서는 많이 볼 수가 있다. 하지만 지곡리 가옥의 대문은 싸리문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문을 열면 바람벽이 있고, 우측으로는 다락이 있다. 다락의 밑으로는 작은 문을 만들어 놓았다. 다락에는 각종 농기구들이 쌓여 있다. 대문채를 최대한으로 이용을 한 지곡리 가옥의 특징이다.

 

 

대문채를 나서 안채 쪽으로 들어가 보면 외양간과 방앗간이 대문채의 다락 밑으로 구성이 되어 있다. 대문채의 밑으로 난 문은 외양간으로 바로 출입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밖에 나가 농사일을 하고 들어 온 소를 안으로 돌아 들어오지 않고, 이 문을 통하여 바로 외양간으로 들어 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생활의 지혜가 묻어나는 이러한 아름다운 집이 있어, 고택의 답사길은 늘 즐겁다.

 

초가로 된 행랑채

 

지곡리 고가의 대문 안을 들어서면 좌측으로 헛간채가 있고, 초가의 행랑채가 자리를 하고 있다. 행랑채는 사랑채로도 함께 사용을 하였다는 지곡리 고가를 찾았을 때, 한창 초가의 지붕을 새로 입히고 있었다. 초겨울이 되면 초가의 지붕을 덧입히는 것도 큰일이다. 일꾼들이 모여 짚단을 고르고, 그것을 잘 추려낸 다음 초가에 올릴 용마름을 틀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정리가 된 초가는 또 다른 모습으로 다시 태어난다.

 

 

 

맨위는 대문채의 문인 사립문. 가운데는 대문채 외양간 위에 조성한 다락. 농기구 등을 보관한다.

 

- 자형의 이 초가는 사랑채와 같이 사용을 했다고 하지만, 사실은 행랑채로 보아야 할 것이다. 판문을 달은 안채에 붙은 방이 사랑채 역할을 했을 가능성이 커 보인다. 행랑채와 마주하고 있는 판문 밖의 안채 방에 툇마루를 달아 놓은 것을 보면, 이 방을 사랑방으로 사용했다고 볼 수 있다.

 

판문으로 막은 안채

 

지곡리 고가의 또 다른 특징은 판문으로 만들어진 중문이다. 행랑채와 안채의 사이를 막고 있는 이 판문은 일각문 형태로 되어있다. 하지만 그 모습이 특이하다. 전체적으로 보면 솟을문으로도 보인다. 이 문을 판문이라고 부르는 것은 담벼락이 판자로 되어있기 때문이다. 판자로 담벼락을 만들고 그 위에 기와를 얹었다. 이런 형태의 모습이 지곡리 고가의 아름다움이기도 하다.

 

 

 

 

안으로 들어가면 대청을 가운데 놓고 ㄱ 자형으로 구성된 안채가 있다. 안채는 좌측으로부터 사랑방과 한 칸 대청이 있고, 꺾이는 부분에 윗방과 안방, 부엌을 달았다. 전체적인 집안의 구조로 보아 안채가 협소하기는 하지만, 나름대로 공간 구성을 잘 활용한 것을 알 수 있다. 안방의 뒤로 비교적 넓은 툇마루를 놓은 것도 이러한 협소한 공간을 활용한 좋은 예이다.

 

판자 담벼락이 아름다운 부엌

 

지곡리 고가의 가장 아름다운 곳은 바로 부엌이다. 부엌을 비교적 크게 둔 지곡리 고가는 아래 위를 흙으로 막고, 가운데를 전체적으로 판자로 막았다. 부엌이 이렇게 넓거나, 행랑채가 안채에 비해 방을 많이 들였다는 것은, 지곡리 고가의 주인이 비교적 부농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외양간과 방앗간, 그리고 대문채의 다락 등도 이 집의 농사가 많았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부엌의 벽은 집 뒤편으로 난 곳을 돌출시켰다. 그리고 돌출된 부분을 까치구멍을 내어 그릇 등을 보관하게 하였다. 까치구멍을 통해 들어 온 바람이 그릇 등을 건조시키는데 일조를 한 셈이다. 지곡리 고가를 돌아보면서 느낀 것은 생활의 지혜가 묻어나는 집이라는 점이다.

 

좁은 공간을 활용을 한 다양한 연출이 뛰어나다. 이러한 우리 전통가옥의 아름다움이 사라지고 있다는 것이 아쉽다. 고택 답사를 하면서 늘 느끼는 것이지만, 우리 것이 역시 좋은 것이란 생각이 든다. 삶에 정취가 묻어있기 때문이다.

 


 ‘방아간댁’ 혹은 ‘회령댁’으로 불리는 집이 있다. 기와의 명문에는 건륭27년인 1762년과 도광 5년인 1825년이 적혀 있는 것으로 보아, 아마도 1762년에 처음으로 집을 짓고 1825년에 개축을 한 듯하다. 그런 명문으로 볼 때 이 집이 처음으로 지어진 것은 250년 전이었던 것으로 추정한다.


속초시 도문동 1504호 김근수 가옥은, 현재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64호로 지정이 되어있다. 4월 23일 찾아간 김근수 가옥은, 한 마디로 옛 정취가 묻어있는 집이다. 집을 돌아보다가 만난 할머니는 연세가 80이 훨씬 넘어 보이신다. 이 집을 40여 년 전에 매입을 하였다고 하신다.



함경도 형 집으로 지어진 김근수 가옥


김근수 가옥은 함경도 형태로 지어진 집이다. 정면 네 칸, 측면 두 칸으로 지어졌으며, 사랑채와 안채가 한 몸에 붙어있다. 팔작 기와집으로 지어진 집을 돌아보면서 느낀 점은, 비좁기는 하지만 있을 것은 다 있다는 생각이다. 함경도식 온돌 겹집에 마루를 수용한 이 집은 안담과 바깥담을 두른 형태이다.


허리를 다치셨다고 말씀을 하시는 할머니는, 방문을 일일이 열어 주면서 잘 살펴보라고 하신다. 수많은 집을 돌아보았지만 이렇게 대접을 받기는 또 처음인 듯하다.




담벼락에 낸 굴뚝이 이채로워


김근수 가옥은 일반적인 고택의 형태는 아니다. 집을 바라보면서 몸채의 좌측 편에는 두 칸으로 된 사랑이 있다. 앞으로는 우물마루를 놓았으며, 방은 가운데에 문을 달아 두 개의 작은 방으로 꾸며졌다. 방문을 열어주면서 지금은 공부하는 학생이 묵고 있다는 할머니의 설명이시다.


사랑의 앞으로는 바깥담을 둘러놓았다. 그리고 담벼락에는 강원도 지방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담벼락 굴뚝이 보인다. 마루는 툇마루 형태로 놓았다. 안채는 안방과 뒷방으로 꾸며져 있어 이중 겹집으로 구성이 되었다.





부엌에는 본채의 지붕에서 이어져 내려 온 마구간이 붙어 있으며, 부엌문을 열어야 드나들 수 있는 뒤 사랑이 있다. 뒤 사랑은 정면 두 칸, 측면 한 칸으로 구성이 되었으며, 가묘를 모시는 벽장이 있다고 한다.


뱀의 형국에 해당하는 명당


원래 김근수 가옥은 현재의 몸채 앞에 사랑채와 행랑채가 별도로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8,15 광복을 전후해 집이 축소가 되었다는 것이다. 이 집은 풍수지리상 뱀의 형국에 해당하는 명당이라고 이야기를 한다.


“저 윗집과 저 아랫집까지 모두 내 집이야.”

“할머니 부자시네요”
“이 집에서 아들 딸 다 대학을 보냈어.”

“정말로 고생하셨네요.”

“부엌에 붙은 것이 외양간이야. 그런데 지금은 그냥 광으로 써”





귀가 어두우신지 말씀을 드려도 잘 알아듣지를 못하신다. 불편하신 몸을 이끌고 일일이 방문을 열어 볼 수 있도록 안내를 해 주시는 할머니가 고맙기만 하다. 허리를 다치셨다고 하시는 할머니, 오래도록 건강하셨으면 하는 바람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