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 답사를 하다가 보면, 어려운 점이 한 두 가지가 아니다. 일기도 좋아야하지만, 적지 않게 들어가는 답사 경비로 인해 늘 주머니가 가벼워 지기 때문이다. 지난 6일 돌아본 보령시의 문화제를 답사할 때도, 비는 간간히 뿌렸지만 걸음을 재촉했다. 하나라도 더 돌아보아야 하기 때문이다.

 

보령시에는 많은 문화재들이 있다. 그 중에도 남포면 읍내리에 소재한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65호인 남포관아문을 만났을 때는 신이 난다. 이렇게 읍성과 함께 있는 문화재를 한 곳에서 만났기 때문이다. 한 곳에서 진서루와 내삼문, 외동헌 등을 만날 수가 있고, 거기다가 충남 기념물 제10호인 읍성까지 돌아보았으니.

 

 

한 곳에서 만난 많은 문화재들

 

남포관아문은 조선시대 남포현의 관아 건물이다. 앞에는 중층 누각인 진서루가 서 있고, 그 뒤편에 내삼문을 들어서면 동헌 마당을 지나서 외동헌을 만나게 된다. 빗방울이 떨어졌지만 무리를 해서 찾아간 곳이다. 진서루 옆 은행나무에서 많은 은행들이 떨어져, 은행나무 특유의 냄새가 난다. 날이 궂은 날에는 냄새가 더욱 심하다.

 

진서루는 외삼문으로 옛 남포현의 출입문이다. 낮은 기단 위에 세워진 2층 문루인데, 정면 3. 측면 2칸 규모이며, 지붕 옆면이 팔작지붕집이다. 아래층은 삼문을 달았고, 2층은 누마루를 깐 후 사면에 난간을 세웠다. 그 위에 올라서면 주변이 훤히 내려다보인다. 이 누각에서 남포현감은 주변 경관을 돌아보았을 것이다.

 

 

동헌의 출입문인 내삼문은 정면 7, 측면 1칸 규모의 건물이다. 가운데 1칸은 출입문으로 큰 대문을 달고 나머지 칸은 방으로 꾸몄다. 중앙 칸은 한단 올려 맞배지붕으로, 좌우의 방은 지붕 옆면이 여덟팔자 모양인 팔작지붕으로 지었다. 이 문은 출입문 앙 옆을 살창으로 꾸민 특이한 형태이다.

 

남포현의 업무를 보던 외동헌은 대청으로 정면 7, 측면 3칸 규모의 팔작지붕건물이다. 앞면 중앙에 2칸의 대청이 있고 좌우는 온돌방으로 꾸몄다. 이렇게 외삼문인 누각과 옥산아문, 동헌 등은 화려하지는 않지만, 옛 동헌답게 고졸한 멋을 풍기고 있다. 조선왕조 시대에는 중앙집권적인 권위의 상징으로 전국의 아문이 똑 같은 형태로 축조되었다. 남포관아를 돌아보고 난 뒤, 읍성으로 걸음을 옮겼다. 읍성은 동헌 뒤편에 성곽이 이어진다.

 

 

왜구의 침입을 막기 위해 쌓은 읍성

 

충청남도 기념물 제10호인 남포읍성은 현의 주민을 보호하고, 군사적, 행정적인 기능을 함께 하는 성이다. 남포읍성은 차령산맥 서쪽 끝자락의 구릉에 돌로 쌓은 성으로, 남포는 백제 때 사포현이라고도 불리었다. 이 읍성은 고려 우왕 때 서해안을 침범하는 왜구를 막기 위해 쌓았던 성이었는데, 공양왕 2년인 1390년 군대가 머물 수 있는 진영을 추가하여 완성하였다.

 

남포읍성의 성벽은 비교적 잘 남아 있다. 성의 바깥쪽 벽은 돌을 이용하여 직각으로 쌓았고, 성벽의 안쪽은 흙으로 쌓아올렸다. 동쪽과 서쪽, 남쪽 세 곳에는 성문을 보호하기 위해 4m의 높이로 성 바깥에 설치하는 또 하나의 성벽인 옹성을 둘렀는데, 1m이상의 큰 돌로 축성하였다.

 

 

남포읍성은 성벽이 꺾이는 부분에는 적의 접근을 빨리 관측할 수 있도록 성벽의 일부를 튀어나오게 치성을 쌓았으며, 그 양쪽 성벽에 몸을 숨기고 적을 공격할 수 있도록 한 시설도 보인다. 성 안에는 세 채의 관아건물인 진남루와 옥산아문, 외동헌 등이 보존되어 있으며, 동서에 80높이로 배수시설이 마련되어 있다.

 

가을이 열리고 있는 성벽

 

기록에 의하면 읍성 안에 우물이 세 곳에 있었다고 한다. 남포읍성은 서해안의 요충지로 왜구를 경계하는 한편, 해상 교통을 보호하고 감시하는 역할을 하던 곳으로 여겨진다. 아문과 성안에서 읍성을 돌아보고 난 뒤, 성 밖으로 향했다. 비는 멈췄지만 바람이 세차게 분다. 누렇게 익어가는 벼이삭과 함께 조화를 이룬 남포읍성이 한 장의 그림을 방불케 한다.

 

 

성을 따라 조금 걸어본다. 아직도 복원이 되지 않은 남포읍성. 한 곳에서는 마을주민인 듯한 여인이 밭에서 무엇인가를 수확하고 있다. 그리고 그 뒤편 성벽에는 늙은 호박들이 주렁주렁 달렸다. 이 읍성에 살던 사람들은 다 어디로 언제 떠난 것일까? 답사를 하면서 괜한 질문을 하는 버릇이 생겼다. 물론 그 답도 내 멋대로 지만 말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