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시 상광교동 산41에 소재한 수원시 향토유적 제4호인 창성사지. 창성사는 고려 말의 국사인 화엄종사였던 진각국사(1305~1382)의 사리탑과 함께 조성이 된, 보물 제14호 창성사지 진각국사탑비가 있던 곳이다. 진각국사의 탑비는 현재는 수원 화성 안 방화수류정 길 위편으로 옮겨져 있다.

 

상광교동 버스 정류장에서 광교산 방향으로 폭포농원이 있다. 창성사를 오르는 길이 따로 나 있지 않아 이곳을 통과해 안쪽 하천에 놓인 가교를 건너야 한다. 이곳에서 산으로 오르는 길은 그저 평범한 어느 산골마을을 찾아가는 길 같다. 길가에 쓴 몇 기의 묘를 지나 산길을 걷다보면 길이 양편으로 갈라진다. 좌측으로 난 길이 창성사지로 오르는 길이다.

 

 

누가 쌓아놓은 돌탑일까?

 

18일 오후에 오른 창성사지 오름길. 이곳부터는 길이 험해진다. 발밑에서 바삭하며 부스러지는 마른 낙엽들이 아파하는 소리가 난다. 물길과 산길을 따라 수북이 쌓인 낙엽들을 밟으며 걷다보면 때 늦은 단풍들이 손짓을 한다. 좌측으로 계곡 옆에 선 커다란 바위 덩어리들이 보인다.

 

천천히 걸어 조금 더 오르면 누군가 쌓다가 만 돌탑이 보인다. 막돌로 쌓아놓은 이 탑은 언제 누가 쌓은 것일까? 아마도 누군가 이곳에서 간절히 바라는 바가 있었던 것은 아니었을까? 길이 갑자기 험해진다. 낙엽이 쌓인 밑으로 뾰족한 돌들이 발바닥을 찌른다. 아마도 낯선 사람이 이 길로 들어선 것이 못마땅한 모양이다. 땀이 흐르는 것을 닦으며 조금 더 오르니 창성사지가 보인다.

 

 

창성사지 이렇게 대단했었나?

 

고려 때 쌓은 것으로 추정되는 옛 축대가 보인다. 높이 4 ~ 5m 정도의 축대로 보아, 이곳을 기점으로 아래 위에 전각이 들어서 있었을 것이다. 창성사지 주변에 온통 여기저기 줄을 늘어놓았다. 수원시 향토유적인 창성사지를 한신대학교박물관과 수원시에서 발굴을 하고 있다는 안내문이 붙어있다.

 

보물로 지정이 된 창성사지 진각국사 탑비는 이곳을 떠났다. 아마도 절이 사라져버린 산 중에 놓아두는 것이 불안했던 모양이다. 여기저기 발굴의 흔적이 보인다. 모두 3단으로 축대를 쌓고 전각을 지었을 것으로 추정이 되는 창성사지는, 발굴을 하면서 각종 와편과 석재들이 노출이 되었다.

 

그 뒤편에도 작은 축대 한 곳이 있다. 아마도 그 위에는 산신각이나 삼성각이 자리했을 것이다. 모습을 드러낸 석재들과 함께 몇 곳에 우물의 흔적도 보인다. 이렇게 발굴을 하고 있는 사지를 돌아보니, 창성사지가 적은절이 아니었음을 알 수 있다. 잘 다듬은 장대석을 보아도 이 절의 크기가 가늠이 간다.

 

 

많은 석재와 와편들, 창성사지 옛 역사 밝혀질까?

 

현재 발굴중인 창성사지는 장대석과 주초 등의 석재나 우물터, 축대 등으로 보아 모든 발굴을 마치고나면 사적이나 문화재자료로 지정도 가능하다는 생각이 든다. 그 정도로 장대석을 잘 다듬어 사용을 했다. 한창 발굴중인 창성사지를 돌아본다. 산 정상을 바라보고 있는 소나무 뒤편으로 문양을 한 사각형의 석재가 보인다.

 

가까이 다가가보니 우물인 듯하다. 삼면을 잘 다듬은 네모난 석재로 마감을 하고, 그 위에 네모난 문양을 곁들인 돌을 올려놓았다. 안에는 물이 고여 있다. 그동안 노출이 되어있던 우물터는 모두 막돌로 주변을 쌓아놓았었다. 그런데 이 우물은 왜 이렇게 정성들여 꾸며 놓은 것일까? 전문가가 아니니 이유를 알 수는 없지만, 이 우물은 특별하게 사용한 것은 아니었을까?

 

 

잠시 소나무 아래 그늘에 앉아 저 멀리 보이는 산을 바라본다. 마치 용트림을 하듯 굴곡진 산등성이들이 보인다. 옛날 진각국사도 이런 풍광 때문에 이곳에 창성사를 중창한 것은 아니었을까? 현재 드러난 잘 다듬은 장대석과 주초, 와편, 우물터와 전각 터 등을 보아도 예사 절이 아니었음을 알 수 있다. 발굴이 다 끝나고 나면 창성사에 대한 더 자세한 역사를 알 수 있지 않을까? 조급한 마음으로 기대를 해본다.

충북 충주시 신니면 문숭리에 소재한 사적 제445호 숭선사지.고려시대부터 이곳에 자리했다는 숭선사지, 이 거대한 절이 언제 사라졌는지 알길은 없다. 폐허가 되어 옛 영화를 찾아볼 수는 없지만, 절터 안에 널린 석조물로 보아 예전의 그 규모를 가늠할 수가 있다. 밤나무 아래 커다랗게 쌓아올린 와편 더미. 그 하나만으로도 오래전 영화를 찾아볼 수 있으니 말이다.

숭선사는 고려 광종 5년인 954년에 광종의 모후인 신명숭선황후의 명복을 빌기 위해 세워진 원찰이라고 전한다. 숭선사는 한강 이남에서 최초로 확인된 고려시대 원찰이라는 것에서 그 가치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절 곳곳에 들어난 석조물, 그것만으로도 대단해

숭선사지를 찾아가 보았다. 마을의 안길을 따라 들어가다가 낮은 산길을 조금 오르다가 보면, 여기저기 석재가 널려있는 모습이 보인다. 널려있는 석조물들을 보아도 예전의 그 그 규모가 짐작이 간다. 이렇게 거대한 사찰이 어떻게해서 흔적도 없이 사라져버린 것일까?

지금까지 확인된 것만 보아도 상당한 사찰이었음을 알 수가 있다. 금당터와 배수로, 남문지, 담장터 등이 확인이 되었다는 숭선사지. 사지 안을 조금만 둘러보아도 옛날의 화려했던 흔적이 그려진다. 더욱 왕의 모후의 명복을 비는 원찰로 창건하였으니 그 규모가 어떠했을까?



1980년 초 절터 아래 형성한 숭선마을에서 <숭선사>명 기와가 발견이 된 후 주목을 받은 숭선사지. 그 곳에서 금동보살두, 분청사기 장군 등 많은 유물이 발견이 되었다고 한다. 널려있는 수많은 석재들을 보아도 그 규모가 상당하다. 절터 곳곳을 돌아보다가 보니 머릿 속에 숭선사의 옛 모습이 조금은 그려지는 듯도 하다.

조선 성종 10년인
1497년과 명종 6년인  1551년, 그리고 선조 12년인 1579년에 중창을 한 것으로 밝혀진 숭선사지는 조선조까지도 그 대 가람으로서의 웅장한 모습을 지켜왔다고 한다.

 


세월이 아무리 흘렀다고 해도 그 폐사지가 된 절터 안에 남아있는 석조물들. 그리고 와편더미. 그런 것에서 찾아볼 수 있는 많은 이야기들은 숭선사지의 옛 영화를 그려보는데 부족함이 없다. 전국을 다니면서 만나보는 옛 절터 하나하나가 소중하개 다가오는 것은 바로 남아있는 옛 흔적 때문이다. 그런 모습이 있어 나그네의 발길은 더욱 빨라지는지도 모르는 것이고.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