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북도 기념물 제16호인 이목대와 오목대는 전주시 완산구 교동 산1-3번지에 소재한다. 교동 한옥마을의 동편 언덕 위에 자리한 이 이목대는 조선 태조의 5대조인 목조(穆祖) 이안사의 출생지로 전하여 오는 곳이다. 전하는 바에 의하면 전주이씨의 시조인 이한 공 이후 목조에 이르기까지 누대에 걸쳐 이곳에서 살았으나, 목조대에 이르러 관원과의 불화로 함경도로 이사하게 되었다고 한다.

 

아마도 이러한 이목대에는 사실 조선이라는 나라를 세운 이성계와는 땔 수 없는 많은 이야기가 전하고 있다. 이목대에서 밑으로 즐비하게 지붕을 맞대 잇고 있는 한옥촌들도, 그러한 이성계의 뜻을 정하는데 일조를 했을 것이란 생각이다.

 

‘풍운가’에 건국의 뜻을 담아

 

이목대는 잘 지어진 정자로 언덕 위에 서 있다. 이목대의 누각에 오르면 밑으로 전주한옥마을의 지붕들이 펼쳐진다. 그 또한 멋스럽다. 정자 안에는 두개의 현판이 걸려있다. 그 중 하나에는 '대풍가'라고 하여서 '풍운 속을 일어섰다. 위세천하에 떨치고 고향에 돌아오니 모두 수그려 우러러 맞네'라고 적혀있다.

 

이는 오목대가 이성계가 고려의 3도순찰사로 있을 당시 군사를 이끌고, 고려 우왕 6년인 1380년 금강으로 침입한 왜구가 퇴로를 찾아 남원으로 내려오자, 장군이 이들을 맞아 운봉싸움에서 대승을 거두고 돌아오는 길에 오목대에서 개선 잔치를 베풀었다고 전하는데 이것을 기념하기 위한 시문으로 보인다.

 

 

 

오목대는 누각 안에 고종황제의 친필로 썼다는 '태조고황제주필유지(太祖高皇帝駐필遺址)'라는 비석이 서있다. 이 비석은 고종황제에 의하여 광무 4년인 1900년에 건립된 것이다. 한옥마을을 돌아보고 나무로 만든 계단을 올라 찾아간 오목대. 비문을 촬영하려고 안으로 들어가니 경보가 울린다.

 

황당한 문화재 보호, 볼 수 있도록 해주어야

 

문화재를 답사하는 사람들이 안을 들어가 비문을 볼 수 없다고 하면, 그 친필을 확인조차 할 수 없는데, 그저 밖에서만 보라는 것인지. 요즈음 문화재를 과잉보호 하는 것을 보면 가끔은 짜증이 나기도 한다. 필요에 의해서 그것을 보려고 하면 복잡한 주문을 해야 하기 때문이다.

 

 

 

많은 문화재들이 이렇게 보지도 못하고 촬영도 못하게 한다. 시간을 내고 많은 경비를 들여가면서 하는 문화재 현장답사. 이런 일이 한 두 번이 아니다. 그래서 가끔은 막무가내로 촬영을 하다가 다투기도 한다. 보호를 한다고 무조건 막을 것이 아니라, 좀 더 노력을 하여 사람들이 충분히 보고 그 가치를 알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찾으면 좋을 듯하다.

 

이목대 누각 위에서 내려다본 한옥마을의 지붕들이 머리를 맞대고 이어져 있어 더욱 이곳이 아름답다. 긴 세월 이 근동은 전주이씨들의 터전이었다. 아마도 조선을 건국한 이성계가 이곳에서 깊은 뜻을 정한 것은 아니었을까? 밑으로 보이는 한옥마을에는 많은 사람들이 길을 누비고 즐거움을 느끼고 있지만, 정작 이 이목대에서 600여 년 전 무슨 일이 있었는가를 알고는 있을까? 바람 한 점이 땀을 씻어간다.

 

길은 어디나 있다. 그리고 사람들은 그 길을 이용한다. 지금이야 차를 갖고 다니기 때문에, 차를 타고 휑하니 달려가 볼일을 보고는 한다. 그러나 예전에는 걷거나 말을 타지 않으면 다닐 수가 없었다. 그렇게 다니던 길이 이제는 나름대로 멋진 이름을 붙여 다시 태어나고 있다. 그 길을 걷는 재미에 빠지면, 길이 다시 보인다.

전주 이목대는 조선 태조 이성계의 4대조인 목조 이안사가 살던 곳이다. 시조인 이한 때부터 누대에 걸쳐 살던 곳으로, 조선개국을 칭송한 「용비어천가」에 이에 대한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고려 우왕 6년인 1380년 금강으로 침입한 왜구는 군선 5백 척을 진포(군산)에 대놓고 백성들을 괴롭혔다. 우왕은 수군을 총지휘하던 최영에게 명하여 이를 무찌르게 하였는데, 패전한 왜군은 퇴로를 찾아 남원으로 내려왔다. 이성계는 이들을 맞아 운봉싸움에서 대승을 거두고 돌아오는 길에, 오목대에서 개선 잔치를 베풀었다고 전한다.


조선개국의 뜻을 품은 길

한옥마을에서 오목대를 오르는 길은 나무계단으로 조성을 하였다. 오목대길은 가끔 산책을 나가기도 하는 곳이지만, 하필 가장 찜통이라는 날을 골랐다. 그래도 나선 길이니 어찌하랴 천천히 계단을 오르면서 돌아보니, 한옥마을의 지붕들이 줄을 지어 보인다. 사람들은 연신 한옥마을을 촬영하느라 카메라를 들이대고 있다. 마을을 찍기 좋은 장소를 골라, 사진촬영을 할 수 있도록 한 마음이 따듯하다.




이목대로 오르는 길은 나무계단이다. 위로 오르면 한옥마을을 내려다볼 수 있다.
한옥마을이 옛날 이야기의 한 장면처럼 펼쳐진다.

낮은 야산이지만 숲이 좋은 길이다. 여기저기 산책로를 만들어 놓아, 사람들이 다닐 수 있도록 배려를 해놓았다. 오목대로 오른다. 그 옛날 이성계가 운봉으로 출동하여 황산에 진을 치고 적과 싸우다가, 왜장 ‘아지발도’를 죽이는 전과를 올렸다. 이성계는 승전을 하고 귀경 도중 전주에 있는 종친들을 모시고 승전축하연을 이 오목대에서 베풀었다는 것이다. 이성계는 이 자리에서 한고조가 불렀다는 ‘대풍가’를 불렀다. 대풍가는 유방이 항우를 물리치고, 고향에서 종친을 모시고 읊은 시가 아니던가. 바로 한나라를 세우겠다는 마음을 은연중 내비친 시이다.

오목대를 비켜서면 이목대가 있다. 보호책을 둘러놓은 이목대 전각 양편으로는 배롱나무 두 그루가 문지기라도 된 양 꽃을 피우고 있다. 전각 안에 비석은 바로 고종황제가 친필로 썼다는 「태조고황제주필유지」라 쓰여 있다. 결국 이곳 이목대와 오목대는 조선이라는 한 나라가 출발하는데 있어, 그 뜻이 모인 곳이다.




오목대와 이목대. 오목대는 이성계가 승전을 하고 잔치를 벌인 곳이며,
이목대는 이곳이 이씨들이 살던 곳임을 알려주는 표지이다.

매미소리 시원한 당산 길

이목대를 지나면 아래로 내려가는 길이 있다. 나무계단을 따라 내려가면 시원한 숲길에서 매미소리가 시끄럽다. 아마 마지막 더위를 아쉬워하는 듯하다. 내리막길에 커다란 당산나무 한 그루가 보인다. 500년 동안 전주 한옥마을의 안녕을 기원해 온 나무이다. 매년 음력 정월 보름에 이곳에서 정결하게 제를 올린다는 것이다.



마을의 안녕을 비는 제를 올리는 당산나무

다시 한옥마을 들어가기 전에 양산재 길로 향한다. 여기저기 목책의자들이 정겹게 놓여있다. 이 찜통더위에 잠시라도 숨을 돌려야겠다는 생각이 들어 자리에 않는다. 여기도 역시 낙서는 빠지지 않는다. ‘윤진아 사랑해 - 남편’이란 글이 시야에 가득찬다. 얼마나 사랑하고 있을까? 이런데 낙서를 하면 그 사랑이 깊어지는 것일까? 괜한 헛웃음만 허공에 날리고 있는데, 더위에 날기를 지친 나비 한 마리 나뭇잎에 숨을 고른다.



쉴수 있도록 마련된 나무의자. 이 길에는 나무의자들이 많이 있다.
누군가 한 낙서와 따라오던 나비 한 마리가 같이 날개를 쉰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