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당진시 면천면 성하리 510에 소재한 영탑사. 해발 210m의 차령산맥에서 뻗어나간 상왕산 동쪽 산기슭에 자리를 잡고 있는 고찰이다. 영탑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7교구 본사인 수덕사의 말사로서 사적기가 없어서 자세한 역사는 알 수 없으나, 통일신라 말 풍수지리설로 유명한 도선국사가 창건했으며, 고려 충렬왕 때 보조국사 지눌이 중건했다고 한다.

 

영탑사라는 사명은 부처의 몸에서 나오는 빛과 지혜의 빛이 세상을 두루 비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영탑사에는 부처의 진신을 이르는 비로자나불을 본존불로 모시고 있으며, 유리광전 뒤에는 바위 위에 7층 석탑이 서 있어 이름과 잘 맞아 떨어지는 절이라는 느낌을 받는다. 당진군사에는 조선 정조 22년인 1798년 연암당 지윤스님이 유리광전을 보수하면서, 그 뒤 바위에 5층탑을 세운 후 절 이름을 영탑사라 하였다는 기록이 보인다.

 

 

운치있는 절 영탑사

 

영탑사를 찾은 것은 9월도 다 지나가고 가을 기운이 돌 때쯤이었다. 절 입구에 있는 늙은 고목 한 그루가 땀을 흘리며 찾아든 나그네에게 그늘을 내준다. 잠시 쉬고 있으려니 눈앞에 영천이라는 샘이 보인다. 하지만 물을 먹을 수 없다는 안내판이 걸려있다. 지금은 먹을 수 있으려는지.

 

천천히 걸음을 옮겨 경내로 향한다. 가람은 말끔하게 정리가 되어있으며 이미 꽃을 떨군 연꽃들이 커다란 물그릇에 가지런히 놓여있다. 연꽃이 피었을 때 왔으면 더 좋았을 것을. 보물 제409호로 지정된 금동삼존불을 보관하고 있는 영탑사를 한 바퀴 돌아본다. 어느 곳 하나 눈에 거슬림이 없다.

 

 

전설 가득한 절 영탑사

 

대웅전으로 찾아들어가 예를 올린다. 언제나 절을 찾아가면 가장 먼저 하는 일이다. 땀을 식힐 겸 천천히 108배를 한다. 아직은 날이 더워 잠시 주춤했던 땀이 다시 흐른다. 아랑곳하지 않고 108배를 마친 후 고개를 들어 앞을 바라본다. 불단 위에서 내려다보고 있는 부처님들의 상호가 한 없이 자비롭다.

 

영탑사에 있는 범종과 금동삼존불, 7층석탑은 모두 가야사에서 옮겨왔다고 한다. 대원군이 부친인 남연군의 묘를 쓰고자 가야사를 불태웠다고 한다. 그 때 이곳으로 옮겨왔다고 하니, 이곳으로 옮겨온 것은 그리 오래전 이야기가 아니다. 부친의 묘를 쓰고자 절을 태웠다고 했으니, 그 성정이 올바른 것일까?

 

 

무학스님의 마애불 조성솜씨는?

 

절 뒤편으로는 계단을 오르는 길이 있다. 그 초입에 서 있는 유리광전. 유리광전 안에는 무학스님이 조상했다고 하는 마애불이 좌정을 하고 계시다. 커다란 바위에 조각을 한 것인데 약사여래불상이라고 한다. 그런데 무학스님이 조각에는 별로였는가 보다. 지방에서 흔히 만날 수 있는 고려말기의 형태를 지닌 마애불이다.

 

그리고 그 유리광전의 뒤편에는 칠층석탑이 자리한다. 이 석탑 역시 가야사에서 무너져 있던 것을 수습해 이곳으로 옮겼다고 한다. 이 탑에는 설이 많이 전한다. 절집 한 곳을 들려 많은 문화재들을 만날 수 있다는 것은 행복이다. 그러한 행복을 느낄 수가 있기 때문에 답사를 계속하는 것이나 아닌지.

 

당진을 답사하면서 들린 영탑사. 새롭게 오늘 이 이야기를 하는 것은, 부처님의 가피가 온 세상에 떨쳤으면 하는 바람에서이다. 갑오년 정월 초하루. 힘들기 때문에 고해(苦海)라고 세상을 표현하였다지만, 올해는 고해가 아니기를 바란다. 그리고 모든 사람들이 마음에 먹은 서원을 이루는 해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에서이다.

 

신라 제41대 헌덕왕은 조카인 40대 애장왕을 폐위시키고 즉위했다. 당시 숨진 원혼을 달래며 왕의 참회를 돕고, 나아가 나라와 백성의 안녕을 위해서 창건한 사찰이 은해사의 시초가 되는 해안사이다. 운부암으로 가는 길 부근인 해안평이 당시 해안사 절터이다.

 

해안사 창건후 고려 원종 11년인 1270년에 홍진국사가 중창하였고, 1275년 충렬왕 때 원참스님이 중건하였다. 조선시대에도 성종 16년인 1485년에 죽청스님과 의찬스님이 묘봉암을 중창하였으나, 1545년 인종 원년에 큰 화재가 발생해 사찰이 전소되었다.

 

 

이듬해 명종 원년인 1546년에 나라에서 하사한 보조금으로 천교화상이 지금의 장소로 법당을 옮겨 새로 절을 지었다. 이 때 법당과 비석을 건립하여 인종의 태실을 봉하고 은해사라고 이름을 짓게 되었다. 1563년 화재로 소실된 것을 이듬해에 묘진 스님이 중건하였으며, 1589년 선조 22년에 법영대사가 법당을 현재의 자리에 크게 중창하고 사찰의 규모를 확장하였다.

 

임진왜란 때도 전화를 입지 않아

 

그 후 1592년 임진왜란이 있었지만 큰 피해는 입지 않은 듯하다. 숙종 38년인 1712년에는 은해사를 종친부에 귀속시켰고, 1714년에는 사찰 입구 일대의 땅을 매입하여 소나무를 심었다. 지금의 은해사 앞 금포정의 아름드리 소나무들이 그때에 심어진 것으로, 300년 가까운 세월동안 이 자리를 지키고 있는 소나무들이다.

 

그러나 헌종 13년인 1847년에 은해사 큰불이 나 극락전을 제외한 천여 칸의 전각이 모두 소실되었다. 인종의 태실 수호사찰이며 영조의 어제수호 완문을 보관하고 있는 사찰인 은해사를 중창하고자, 당시 영천 군수 김기철이 300궤미의 돈을 시주하였으며, 대구감영과 서울 왕실의 시주가 계속 답지하였다.

 

대한불교 조계종 제10교구 본사

 

그리하여 수만 냥의 재원을 확보하여 3년여 간의 불사 끝에 헌종 15년인 1849년에 중창불사를 마무리 지을 수 있었다. 이 때 지어진 건물이 대웅전, 향실, 고간, 심검당, 설선당, 청풍료, 보화루, 옹호문, 안양전, 동별당, 만월당, 향적각, 공객주 등인데 이 중에서 대웅전과 보화루, 불광의 삼대 편액이 김정희의 글씨로 채워졌다.

 

그후 현재에 이르기까지 은해사는 말사 39개소, 포교당 5개소, 부속암자 8개소를 관장하고 있는 대본사이다. 1943년까지만 하더라도 은해사에는 건물이 35245칸에 이르러 대사찰의 위용을 자랑했지만, 현재 은해사 본사내에는 19개 건물만이 자리를 지키고 있다.(자료 은해사)

 

 

소나무가 하늘을 찌르는 금포정을 들어서다

 

은해사를 다녀온 지도 꽤 시간이 흘렀다. 금포정은 소나무와 금강송이 우거진 소나무 숲길이다. 2km나 되는 이 길은 1714년 조선조 숙종 때 일주문 일대의 땅을 매입하여 소나무를 심었다. 수령이 300년 정도에 10m가 넘는 송림이 우거져 있는 길이다. 2007년과 2008년도에는 금강송 1080주씩을 이곳에 식재하였다.

 

은해사에는 보물인 괘불탱을 비롯하여 지방문화재로 지정이 된 대웅전 등 많은 문화재들이 부속암자와 은해사에 소재하고 있다. 은해사 한편에 자리하고 있는 쌍거북바위는 팔공산 갓바위 부처님과 함께 쌍벽을 이루는 것으로, 일제강점기에 왜구들이 의해 훼손이 되었던 것으로 전해진다.

 

 

이 주변을 정비하던 중 목이 달린 한 마리를 발견하여 지역 주민들의 고증을 거쳐 현지에 마애삼존불과 함께 복원을 하였다. 은해사 거북바위는 무병장수와 가정의 안녕을 기도하면 좋은 결실을 맺는다고 전해지고 있다. 특히 과거에는 유생들이 이곳에서 기도를 한 후 과거시험을 보기 위해 길을 떠났다고 한다.

 

영천시 청통면 치일리 479에 소재한 천년고찰 은해사. 다녀온 지가 오래되어 기억조차 가물거린다. 답사란 항상 다녀온 후 바로 기록을 해야 하는 것은, 그 느낌을 잊지 않기 위함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