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물로 지정이 된 채제공의 초상화 3

 

아마 우리나라에서 역대 군왕을 제외하고 한 인물을 그린 초상화가 세 점이나 보물로 지정된 경우는, 조선 후기의 문신인 번암 채제공 한 사람뿐일 것이다. 채제공은 10여 년을 정조와 함께 했다. 홀로 재상의 지위에서 그 오랜 세월을 지낸 것이다. 영조가 사도세자를 폐위시키려 하자 채제공은 그에 반대를 했다. 아버지에 대한 효심이 지극한 정조임금이 채제공을 중용을 한 것은 당연한 일이다.

 

지난 달 28일부터 20142월까지 수원시 팔달구 매향동 49에 소재한 화성박물관 특별전시실에서 개막을 한 번암 채제공전. 이곳에 가면 자신의 속한 정파의 주장을 충실히 지키면서, 정조의 탕평책을 추진한 핵심적 인물인 채제공의 초상화 3점을 만날 수가 있다. 이 초상화들은 3점 모두가 보물 제14771-3호로 지정이 되어있다.

 

 

부채와 행낭을 든 시복본

 

수원시 소장 시복본1792년에 그려진 것으로, 채제공이 73세에 그려진 초상화이다. 사모에 관대를 한 옅은 분홍색의 관복 차림에, 손부채와 향낭을 들고 화문석에 편하게 앉은 전신좌상을 그렸다. 초상화의 우측 상단에는 聖上 十五年 辛亥(1791) 御眞圖寫後 承 命摸像 內入 以其餘本 明年 壬子(1792) 이라고 쓰여 있고, 그 아래 그림을 그린 화가는 이명기임을 밝히고 있다.

 

이어서 우측 상단에 채제공이 직접 쓴 자찬문도 있다. 시의 내용을 보면 정조임금으로부터 부채와 향낭을 선물 받은 것을 기념하기 위한 것이다. 선물을 표시하기 위해서 손을 노출시켜 부채와 향낭을 들고 있는 모습으로 그려졌다. 이 시복본은 보물 제1477-1호로 지정이 되어있다. 시복본 초상화는 120x79.8cm이며, 전체 크기는 173x90cm이다.

 

 

사실적인 묘사가 뛰어난 금관조복본

 

보물 제1477-2호로 지정이 된 금관조복본1784년 작으로, 65세 때 그린 초상이다. 초상의 왼편에는 채제공의 자찬문을 이정운(1743- ?)이 썼다. 이 금관조복본은 서양화법을 따른 명암법을 적절히 구사하여 얼굴을 사실적으로 묘사했다. 금관조복을 금박과 선명한 채색, 명암법 등으로 화려하게 표현했다.

 

이 금관조복본은 사실성과 장식성을 어우러지게 하여, 조선 초상화의 뛰어난 수준을 잘 보여준다. 그림을 누가 그렸는지 화가는 밝혀지지 않았으나, 입체감이 두드러진 안면과 옷주름의 표현, 그리고 바닥의 화문석 표현기법으로 볼 때 이 금관조복본 역시 당대의 화공인 이명기가 그렸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금관조복본은 그림부분 145x78.5cm, 전체영정은 202.9x 91.6cm이다.

 

 

부여 도강영당에 모셔진 흑단령포본

 

보물 제1477-3호로 지정이 된 흑단령포본은 오사모에 쌍학흉배의 흑단령포를 입은 전신의좌상이다. 이 흑단령포본은 본래 부여 도강영당에 모셔져 있던 것이다. 그 안면의 기색으로 볼 때 부여본은 앞에 살펴본 73세상과 흡사하다. 안면과 옷주름의 입체감 표현, 투시도법에 의한 화문석과 족좌와 의자의 사선배치는 이명기의 초상화법으로 보인다. 흑단령포본은 그림 크기 155.5x81.9cm이고, 전체길이는 210x94cm이다.

 

이렇게 조선 후기에 그려진 번암 채제공의 초상화는, 조선후기 채제공이 차지하는 역사적 위상을 알 수 있다. 또한 초상화를 그린 화가 이명기의 회화적 수준이 당대 최고임도 알 수 있다. 채제공의 3점의 영정은 조선후기 문인 초상화의 각종 유형을 다 갖추고 있다는 점에서, 유지초본까지 전하여 조선시대 초상화 연구에 학술적 가치도 높다.

 

화성박물관 특별전시실에서 만날 수 있는 보물로 지정이 된 채제공 초상화. 정조시 10년간이나 재상의 위치에 있으면서, 강한 국권을 형성하기 위해 애쓴 정조를 도와 화성축성 등에 혁혁한 공을 세운 인물이다.

한산섬, 그 이름으로 만도 가슴이 설렌다. 어릴 적 가장 존경하는 이를 쓰라고 하면 언제나 ‘이순신장군’을 써 오던 나이기 때문이다. 꼭 한번은 가고 싶었던 곳. 10월 14일 한삼섬을 돌아볼 기회를 얻었다. 한삼섬은 세종 1년인 1418년 삼군도제찰사 이종무가, 병선 227척과 병력 1만 7천 285명을 이끌고 대마도 정벌의 대장정에 오른 출전지이기도 하다.

 

1592년에는 이순신 장군이 전라좌수영 행영으로 이곳에 제승당을 설치하였고, 이듬해인 1593년에는 삼도수군통제영을 설치하였다. 1597년 정유재란 때는 원균의 참패로 제승당이 소실되었다. 1739년 조경 통제사가 유허비를 세우고 제승당을 중건하였다. 한산도 이충무공 유적은 사적 제113호로 지정이 되어있다.

 

 

퉁영유람선터미널을 떠나 인근으로 가는 유람선(위)과 한산섬으로 가는 도중 만나는 남해안의 섬들(아래)


 

유람선을 타고 한산섬으로

 

10월 14일 오전 10시 30분. 통영유람선터미널을 출발하여 뱃길로 20여분. 한산섬으로 들어가는 길에 바라다 보이는 남해안의 크고 작은 섬들. 그리고 얼마 지나지 않아, 저 멀리 한산대첩 기념비가 서 있는 봉우리와 거북등대를 지난다. 이곳은 물이 빠지면 암초가 많이 솟아있다고 한다. 한산대첩은 바로 그런 자연적인 지형을 최대한 이용했다는 것.

 

선착장에 배가 닿자 사람들이 부지런히 걷기 시작한다. 주어진 한 시간 안에 더 많은 것을 돌아보기 위함이다. 하지만 아무리 바빠도 둘러볼 것은 둘러보아야지. 바다를 끼고 반원을 그리고 있는 적송이 한편으로 우거진 갈을 걷는다. 호흡을 깊게 해본다. 오염되지 않은 맑은 공기가 가슴 깊이 바닷내음을 전해준다.

 

매표소인 한산문을 지나 걸어서 5분. 과거 이순신장군이 사용을 했다는 우물이 나온다. 그곳을 지나치면 제승당으로 오르는 길이다. 천연기념물 제63호인 팔손이나무가 길 양편에 넓은 잎을 벌리고 손을 맞이한다. 조금 걸어 올라가면 계단 위에 충무문이 있고, 그 안에 이순신장군의 혼이 깃든 많은 유적들이 자리하고 있다.

 

장군의 충정을 느낄 수 있는 유적지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오는 것은 제승당이다. 제승당은 1593년 7월 15일부터, 1597년 2월 26일 간적들의 모함으로 장군이 한양으로 압송될 때까지, 3년 8개월 동안 진영을 설치했던 곳이다. 1,491일분의 난중일기 중, 1,029일의 일기가 이곳에서 쓰여졌다. 제승당을 바라보고 우편에는 그 유명한 장군의 시에 나오는 수루가 서 있다.

 

 

제승당으로 오르는 길에 서 있는 팔손이나무(위)와 제승당(아래)

 

수루 위에서 바라다 본 한산만의 모습이 아름답다. 하지만 임진왜란 당시 이곳에 얼마나 많은 포화가 터졌던 곳일까? 수루를 내려오다가 보면 좌측에 충무공의 후손들로 통제사와 부사로 부임을 했던 이들의 공적을 기념하기 위해 세운 송덕비가 전각 안에 나란히 서 있다. 이 비들은 240년 ~ 130년 전에 세워진 것이라고 한다.

 

제승당의 뒤편으로는 바닷가에 서 있는 한산정이 있다. 한산정은 충무공이 장병들과 함께 활쏘기를 하던 곳이라고 한다. 한산정에서 바다를 건너 과녁이 보인다. 과녁까지의 거리는 145m. 충무공이 이곳에 활터를 만든 것은 밀물과 썰물의 교차를 이용해, 해전에서 실전거리를 적응시키기 위해서라는 것이다.

 

 

 사적지 안에 한산만을 바라보고 서 있는 수루(위)와 장군의 후손들의 덕을 기리는 송덕비들(아래) 

한산정에서 바라다 본 바다 건너편에 보이는 화살을 쏘는 과녁

 

난중일기에는 이곳에서 활쏘기 시합을 하여 진편에서 술과 떡을 내어 배불리 먹었음을 여러 차례 기록하고 있다. 이 모든 것이 장군의 탁월한 전술로, 병사들의 사기진작을 위한 것이었을 것이다.

 

장군의 영정 앞에 서다

 

한산정을 벗어나 충무사로 향한다. 외삼문인 솟을삼문을 지나면 한편에 제승당유허비가 서 있다. 1597년 정유재란 때 타버린 것을, 1739년 제107대 통제사인 조경이 제승당을 다시 세운 것을 기념하기 위해 세운 비이다. 유허비를 지나 내삼문을 들어서면, 충무사가 나온다. 충무사는 이순신 장군의 영정을 모신 사당이다.

 

 

이순신장군의 영정을 모신 사당인 충무사


 

향을 한 개비 들어 불을 붙여 꽂고 머리를 숙인다. 왈칵 눈물이 흐른다. 가슴이 먹먹해지는 듯하다. 문화재 답사를 시작하면서 그렇게 찾아오고 싶었던 곳이다. 30년이 지난 오늘에야 이곳에 섰다. 그저 목석이 된 듯 서 있는데 사람들이 빨리 가야한다고 부산을 떤다. 일행이 없다면 하루 종일이라도 있고 싶었는데. 그렇게 잠시 장군을 보고 되돌아서야 한다니. 걸음이 떼어지질 않는다.

 

 

배를 타고 한산섬을 떠나오는데 갈매기 떼들이 배를 따르며 난리를 친다. 관광객들이 던져주는 과자를 받아먹느라고. 저 갈매기라면 언제나 그 곳 한산섬을 갈 수 있으련만. 언젠가는 혼자 시간을 내어 다시 이곳을 찾아야겠다. 저 갈매기들처럼 자유롭게.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