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이 변해도 너무 변했다. 언제부터인가 주민센터들이 변화를 하기 시작했다. 아주 작은 변화이긴 하지만, 주민들을 위해 무엇을 해 줄것인가를 고민하기 시작한 것이다. 요즈음 수원시는 주민센터를 찾아가면, 시민들을 위해 무엇을 해줄 것인가를 고민하는 행정의 변화를 볼 수가 있다.

 

주민센터마다 열리고 있는 문화강좌도, 주민들의 건강과 복지를 위한 것이지만, 꼭 그것이 아니라도 해도 주민센터에서 느끼는 행복이 여러 가지이다. 일례로 주민센터가 행하고 있는 것 중 하나가 바로 민원실을 개방해 ‘주민센터 갤러리’라는 것을 운영하고 있는 것이다. 자칫 딱딱한 주민센터의 분위기가 달라지고 있는 갤러리 운영이다.

 

 

‘일석삼조(一石三鳥)’의 주민센터 갤러리

 

사실 이 갤러리 운영은 잘 모르고 지나치기 일쑤이다. 입구에 간단한 새워놓은 안내판 하나가 고작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 앞에는 항상 전시작가의 프로필이 담긴 작은 엽서형 전단이 함께 있다. 민원을 보러갔다가 주변을 돌아보는 사람들은, 처음에는 이것이 무엇이지 하고 의문을 갖게 된다.

 

주민센터 갤러리는 민원실 벽을 이용한다. 작가들에게는 무료로 전시공간을 내어주기 때문에 좋고, 주민들은 작가의 작품을 일을 보러 들린 주민센터에서 만나니 좋다. 또한 주민센터는 큰 돌 들이지 않고, 유명작가의 작품을 주민들에게 감상할 수 있는 기회를 줄 수 있어좋다. 일석삼조란 바로 이런 것이 아니겠는가?

 

 

행궁동 주민센터, 주민 위해 갤러리 운영

 

‘생태교통 2013’의 시범지역인 팔달구 행궁동. 요즈음 밀려드는 민원과 주변의 소음 등으로 공무를 보는 사람들이나, 이곳을 찾는 주민들이나 모두 피곤하기는 마찬가지이다. 거기다가 날씨까지 후텁지근해 불쾌지수는 날마다 상승일로에 있다. 이럴 때는 그저 무엇인가 색다른 것을 찾기 마련. 그런데 주민센터 한 편 벽에 그림들이 걸려있다.

 

민원을 보기 위해 찾아 온 주민들도, 한 바퀴 돌아본다. 그림이야 전문가가 아니면 그 뜻을 제대로 해석하기 힘들다. 하지만 무엇인가 무료한 시간에 볼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잠시 무더위를 잊게 해준다.

 

“처음 알았어요. 주민센터에 이런 그림 전시를 하고 있다는 것을. 틈이 나는 시간에 이렇게 그림 감상도 할 수 있고, 더욱 작은 설명을 하고 있는 전단지도 함께 있어서 좋아요.”

 

주민센터에 볼 일을 보라 나왔다가 미술전시까지 볼 수 있어 좋다는 주민 신아무개(여, 39세)의 말이다. ‘생태교통 수원2013’의 공사로 인해 조금은 불편하지만, 이렇게 노력을 하고 있는 공무원들에게 감사를 드린다는 말도 잊지를 않는다.

 

 

육경란 전 ‘날개달린 씨앗’ 전시

 

행궁동 주민센터에서 열고 있는 그림전시는 육경란의 ‘날개달린 씨앗’전이다. 이 전시는 현대사회의 사람들이 서로 다른 모양으로 삶을 살아가듯, 작가의 작품 속 씨앗 또한 다양한 형태의 모습으로 표현을 하였다 씨앗의 생성과 성장, 결실의 과정을 반복하며 생명을 이어가고 있는 것이다.

 

육경란 작가는 “기호로 상징화한 씨앗의 이미지는 본인에게 의미 있는 상징적 이미지이듯이, 작품을 관람하시는 분들에게 긍정적이고 의미 있는 존재로 전달되기를 바란다. 특히 씨앗이 나와의 싸움에서 이기는 상징적 모티브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라고 했다. 홍익대 마술대학원 판화과를 졸업한 작가는 2009년 제1회 개인전을 시작으로 2012년 제5회 개인전을 가졌다.

 

주민센터를 찾아 일도 보고, 잠시 머리도 식힐 수 있는 주민센터 갤러리. 이미 수원의 많은 주민센터들이 갤러리 운영을 하고 있어, 이 복잡한 시대를 살아가는 시민들에게 잠시나마 청량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전남 무안군 심향면 유교리 698에 소재한 나상열 가옥은, 중요민속문화재 제167호이다. 마을에서는 이 집을 ‘천석지기의 집’ 이라고 부른다. 천석지기라는 실감이 나지 않는 나로서는 그것이 어느 정도의 부를 말하는 것인지 알 수가 없다. 대농의 집이라고 부르는 이 집을 돌아보고 나서야, 그 부의 척도를 알았다.

나상열 가옥을 찾아가 보았다. 약 90여 년 전에 지은 안채와 일제 때 지은 창고, 그리고 문간채와 중문채가 자리를 하고 있다. 나상열 가옥은 전체적으로 3단의 구조로 축조되었다. 맨 위에는 안채가 있고, 계단을 내려 맞은편에 창고와 중문채가 자리하고 있다. 마지막 맨 아래편 3단에는 대문과 행랑채가 자리하고 있다. 부호답게 많은 일꾼들을 거느리고 있었다고 하는데, 집의 전체적인 구조로 보아 예전의 건물에서 사라진 부분이 있는 듯하다.


대문도 창고로 사용한 부호의 집

나상열가옥의 대문은 일반적인 집과는 다르다. 커다란 대문을 갖고 있을 경우, 그 양편은 문간채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높고 큰 나상열 가옥의 대문은 다르다. 문 앞과 안 편이 모두 판자문을 만들어 놓았다. 담벼락 위에 낸 들창으로 안을 들여다보니, 바닥 등이 이것도 곡식창고로 이용했음을 항 수 있다.

그렇다면 이 집에는 여기저기 곳곳에 곡식창고를 만들어 놓았다는 소리다. 그만큼 천석지기의 집에는 다양한 창고가 필요했다는 이야기이기도 하다. 아마도 이 대문에 붙은 창고는 원 곡식창고에서 곡물을 밖으로 운반하기 전에 사용한. 중간 창고 역할을 했던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


행랑채는 대문 안을 들어서면서 좌측으로 나 있다. 이곳도 너른 광을 만들고 그 한편 구석에 방을 들여 놓았다. 너른 공간을 최대한으로 확보를 한 형태다. 나상열 가옥이 오밀조밀한 멋을 벗어나 시원하게 보이는 이유이기도 하다.

부엌과 연결된 마루의 용도는?


나상열 가옥에서 눈에 띠는 또 한 가지는 바로 안채에 딸린 부엌이다. 이 부엌은 안쪽과 문쪽에 작은 방을 두었다. 아마 안채에서 일을 하는 집안의 부녀자들이 이용한 듯하다. 그런데 그 방 사이에 마루가 있다. 앞을 문을 단 것으로 보아 대청은 아니다. 마루방의 한편에는 벽에 붙여 계단식으로 짠 것이 보인다.

가만히 보니 그곳을 부엌에서 사용하는 용기를 보관하는 곳인가 보다. 집에서 일을 하는 많은 식솔들을 거느리고 있었을 테니, 그만큼 집안에서 사용하는 용기도 많았을 것이다. 많은 용기를 보관하기 위해, 부엌과 방 사이에 별도로 장식장처럼 꾸며놓았다. 그런 것들을 보관하기 위한 마루방을 만들 정도로 세심한 배려를 하고 지은 셈이다

안채 뒤편에 있는 석빙고

나상열 가옥에서 볼 수 있는 또 하나의 특징은 집안에 석빙고가 있다는 점이다. 이런 축대 안에 만들어 놓는 석빙고는 많은 인원이 기거하는 절집 같은 곳에서 볼 수 있다. 일을 하는 사람들이 많다보니, 그만큼 음식을 만들 때도 많은 양의 재료를 사용해야 한다. 그 많은 양의 음식재료를 날마다 사들이는 것도 한계가 있다.

그러한 음식물을 보관하기 위해 안채의 뒤편에 굴을 파고 석빙고를 만들었다. 이 석빙고는 음식을 보관하는 용도로만 사용되는 것이 아니고, 음식의 적당한 숙성까지도 도왔을 것이다. 결국 이 집안의 음식은 항상 신선한 것을 먹을 수 있었다는 이야기다.

우물 안에서 자라나는 나무의 정체는?

우물에는 도르래를 달아서 사용을 한 흔적이 보인다. 사람들이 많으면 그만큼 많은 음식을 준비해야 하고, 많은 음식을 준비하기 위해서는 물의 사용양도 많았을 것이다. 그러다보면 음식을 조리하는 집안 아낙네들이 많은 노동력을 필요로 하게 된다. 그런데 사용하는 힘을 낭비하지 않기 위해, 우물의 양편에 기둥을 세워 도르래를 달았다.


우물을 보기 위해 가까이 갔다. 안을 들여다보다가 깜짝 놀랐다. 우물 안에 등나무와 같은 나무가 자라고 있다. 왜 이 안에서 나무가 자라고 있을까? 저 나무는 어떻게 저곳에서 자라게 된 것이고, 언제부터 저렇게 자라고 있는 것일까? 무성한 잎이 싱싱해 보인다. 그 밑에는 물이 있다는 소리다. 나상열 가옥을 돌아보면 여기저기 수수께끼와 같은 질문을 하게 된다.


반전의 미학, 아름다운 돌담장

집안의 전체를 돌담장으로 쌓은 나상열 가옥. 그래서 전체적으로 무거운 집의 분위기를 반전시킨다. 또한 그 무거움을 덜어내는 하나는 담장의 한편이 열려있기 때문이다. 안채를 보고 좌측의 담장 앞으로는 계단이 아닌 비탈로 조성을 하였다. 곡식을 나르기 위한 수레가 다니던 길이기 때문이다.

전체적으로 너른 대지위에 시원하게 조성된 나상열 가옥에서, 정감이 가는 유일한 축조물이 바로 돌담장이다. 이 담장은 담장에 붙은 대문과 행랑채까지도 이어진다. 그리고 그 끝에는 수레를 끌 수 있는 비탈로 여유를 부렸다. 천석지기 집이라는 나상열 가옥에서 보이는 전체적인 여유. 그것은 생활의 여유이기도 하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