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 가까이에서 산다는 것이 그렇게 행복일 수가 없다. 마음만 먹으면 언제나 화성을 한 바퀴 돌아볼 수 있기 때문이다. 그것만이 아니다. 일부러 화성을 찾아가지 않아도 일을 보러 드나드는 길에 늘 만나는 것이 화성이고 보면, 화성과 함께 살아간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화성의 동편 마을, 마음이 따듯한 곳 지동에 살고 있다는 것은 행복 그 이상이다.

 

눈이 오고나면 화성은 변화를 시작한다. 사철 어느 계절에 화성을 돌아보던지 화성은 늘 새롭다. 철에 따라 느끼는 바가 틀리기 때문이다. 누군가 화성을 백번만 돌아보면, 숨어있던 화성의 모든 것을 알 수 있다고 했던가? 엊그제 꽤 많이 내린 눈이 녹기 전에, 화성을 한 바퀴 돌아보려고 마음을 먹었다.

 

 

남수문을 지키던 동남각루

 

각루란 성곽의 비교적 높은 곳에 설치한다. 주변을 잘 살필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우리는 흔히 정자와 같은 건물을 지을 때 ()’()’로 구분을 한다. 정은 땅의 지면에 붙여지은 건물을 말하고, 루는 아래로 사람들이 이동을 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든 중층으로 된 건물을 말한다.

 

남수문에서 가파른 계단을 오르면 동남각루가 있다. 이 동남각루는 남수문을 지켜내기 위한 구조물이다. 동남각루는 남공심돈(지금은 유실되어 버린 화성의 구조물 중 하나이다)과 마주하고 있으면서 주변을 감시하고 휴식도 취할 수 있는 곳이다. 화성에는 모두 4곳의 각루가 있으며, 그 중 동남각루가 가장 규모가 작다. 동남각루는 화성에 설치한 각루 중에서 가장 시야가 넓은 곳으로, 비상시에는 군사지휘소로도 사용한 곳이다.

 

 

동남각루에 깃든 정조의 애민정신

 

화성을 돌아보면 정조의 애민정신을 알 수가 있다. 화성을 축성할 때 정조대왕은 성을 일부러 설계번경까지 해가면서 주민들을 성 안으로 끌어들였다. 또한 화성을 쌓는 노역자들에게 인건비를 지급한 점이나, 척서단. 제중단 등의 환약을 내려준 것 등은 모두 정조의 애민정신이 얼마나 대단했는가를 알 수가 있다. 심지어 무더위와 인건비 미지급으로 인한 공사의 일시 중지 등도 정조의 애민정신의 하나이다.

 

노역자들이 더위에 일을 한다고 더위를 물리칠 수 있는 척서단이라는 환약을 지어 공사를 하는 인부들에게 나누어 줄 수 있는 왕이 어디 있단 말인가? 정조대왕의 애민정신은 그런 하나하나에서 엿볼 수가 있는 대목이다. 동남각루라는 건조물 하나를 보아도, 정조대왕이 얼마나 화성을 지키는 장용외영의 군사들을 자식처럼 생각했는가를 알 수 있다.

 

 

온돌방을 드린 동남각루

 

남수문에서 가파른 계단을 올라 동남각루로 향했다. 요즈음은 동남각루의 중층 누각의 문을 열어놓기 때문에 안을 자세히 살펴볼 수가 있다. 사방을 돌면서 동남각루를 촬영한 후 그 밑에 있는 벽돌로 쌓은 곳을 살펴본다. 동남각루 한 편에 굴뚝이 서 있다. 연도는 땅에 묻혀 보이지가 않지만, 그렇게 벽돌로 삼면을 쌓은 곳이 바로 온돌방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으로는 아궁이도 보인다. 여름철에는 시원한 누각 위에서 쉴 수가 있고, 날이 찬 겨울이 되면 온돌방에서 장용외영의 군사들이 따듯하게 보낼 수 있도록 마련을 한 것이다. 화성의 건축물들은 대개가 이렇게 온돌방이 마련되어 있다. 지금과 같은 시절에도 생각해 내지 못한 것을, 정조대왕은 꼼꼼하게 따져 계절에 따라 병사들이 편하게 쉴 수 있도록 마련한 것이다.

 

화성을 다 돌지 않아도, 동남각루 하나만 보아도 정조의 애민정신을 알 수가 있다. 모처럼 돌아보려고 마음먹은 화성. 가장 먼저 눈에 띤 동남각루 앞에서 한참을 머무른다. 과연 이 시대에 정조대왕과 같은 지도자가 있다면, 모든 사람들이 얼마나 행복할 것인가를 생각하면서.

사람들은 겨울이 되면 화성을 돌아보기를 그다지 반가워하지 않는다. 길이 미끄럽기도 하거니와, 찬바람이 많이 불어대기 때문이다. 아마도 이렇게 화성을 돌 때 딴 곳보다 더 춥다는 생각을 갖게 되는 것은, 수원천과 방화수류정의 용연과 같은 물이 있기에 조금의 영향을 미쳤을 수도 있다. 하만 그보다 더한 이유는 바로 바람을 막아 줄 건물이 많지 않기 때문이다.

 

지금은 옛날보다 겨울이 많이 춥지 않다고 한다. 하지만 지금도 화성을 돌아보는 사람들을 보면, 봄부터 가을까지에 비해 현저히 줄어든 것을 볼 수 있다. 아마도 과거 장용영의 군사들이 화성을 지키기 위해 순례를 돌고, 초소 등에 머물고 있었을 당시는 지금보다 몇 갑절은 더 추웠을 것이다.

 

 

몸에 밴 정조대왕의 백성 사랑

 

이번 19일에 대선이 있다. 가끔 휴대폰에 낯모르는 번호가 뜬다. 그리고는 이번 대선에서 누굴 찍겠느냐고 물어온다. 또한 주변의 지인들과 자리를 함께하면, 으레 묻는 것이 이번에 누굴 찍을 것이냐고 묻는다. 내 대답은 언제나 한결 같다. ‘정조스타일’이 답이다. 정조와 같은 사람이 있다면 두말 않고 찍겠다고 한다.

 

사실 어려서 부친인 사도세자의 억울한 죽음을 보아야했던 정조로서는, 역대 임금들 중에서도 가장 포악한 폭군이 될 수도 있었다. 하지만 정조는 근본이 백성을 자식처럼 사랑한 임금이었다. 화성을 축성 할 때만 보더라도 임금을 꼬박꼬박 지불을 한 것은 물론, 수시로 상품을 지급하고 축성을 하는 백성들을 위해 잔치를 열어주었으며, 더운 여름에는 몸을 보호하는 척서단과 제중단이란 약을 직접 조제해 내려주기까지 했다.

 

 

내가 항상 ‘정조스타일’을 찍겠다고 고집을 부리는 이유는 그것만이 아니다. 정조는 막대한 국고를 소비하는 화성을 축성하면서도, 인건비가 미쳐 지급이 되지 않으면 공사를 중단하기도 했다. 그만큼 철저하게 백성을 사랑한 임금이다. 수원이 화성유수부로 승격되고 성을 쌓으려고 보니, 많은 민가들이 성 밖으로 밀려나게 되었다. 

 

축성의 책임자들이 어떻게 해야 할지 주저하고 있을 때, 정조는 그런 연유를 듣고 과감히 결정을 내린다. 바로 성을 세 번 구부렸다 폈다 해서라도 모두 수용하라는 것이었다. 기존의 성을 구부렸다 폈다를 반복하면 그만큼 많은 비용이 들어간다. 하지만 정조는 국고가 더 들어가는 것보다 백성들의 불편함을 더 생각한 것이다.

 

동북공심돈(위)과 문을 들어서 우측에 마련한 온돌방

 

겨울철 화성에서 만나는 정조의 마음

 

12월 5일 수원에는 3시간 여 만에 10cm가 넘는 눈이 쌓였다. 27년 만에 이렇게 눈이 많이 내렸다고 한다. 믈론 12월 초에 이렇게 왔다는 뜻이다. 다음 날 일부러 화성을 걸었다. 눈이 온 다음날은 칼바람이 불었다. 옷깃으로 파고드는 바람으로 인해, 체감온도는 영하 10도 밑으로 내려갔다고 한다.

 

이렇게 추운 겨울, 눈이 내리고 난 뒤 일부러 화성을 돌아본 것은 그만한 이유가 있어서이다. 바로 이 겨울에 화성에서 정조의 마음을 읽고 싶어서이다. 겨울이라고 해서 화성에 무슨 정조의 마음을 읽을 수 있느냐고 사람들은 반문을 한다. 하지만 화성의 일부라도 돌아본다면, 그곳에서 정조의 마음을 충분히 알아낼 수가 있다.

 

화성에는 많은 구조물들이 있다. 그 구조물 안에 바로 정조의 ‘애민정신(愛民精神)’을 만날 수가 있다. 소라각이라고 하는 동북공심돈 안으로 들어가면, 우측에 온돌방이 보인다. 밑에는 아궁이까지 있는 온돌방이다. 아무리 추워도 이곳을 들어가면 추위를 거뜬히 이겨낼 수가 있다.

 

봉돈(위)과 문을 들어서면 우측에 마련한 온돌방

 

그곳에서 다시 걷기 시작한다. 창룡문을 지나 구조물들을 하나하나 돌아보면서 걷는다. 바람은 점점 세차게 불어온다. 하지만 정조의 따듯한 마음을 읽어서인가, 처음보다 한결 걸음도 가벼워지고 추위도 덜 느끼게 된다. 봉돈 안으로 들어서 본다. 좌측에는 무기고가 있고, 우측에는 역시 온돌방이 마련되어 있다.

 

47,000명 정도의 장용영 군사들이 화성에 주둔을 했다. 하지만 평상시에는 그들 모두가 성을 지킨 것은 아니다. 아마도 각 시설물마다 적은 인원들이 주야 교대로 성을 지켰을 것이다. 그들이 눈과 비바람을 피할 수 있도록, 곳곳에 그런 시설물들이 있다. 남수문 쪽으로 가다가 만나게 되는 동남각루, 그 아래에도 온돌방이 있다. 크지 않아 많은 사람들은 들어가지 못한다 하더라도, 겨울철 몇 명 정도의 군사들이 들어가 몸을 녹일 수 있는 공간이다.

 

동남각루와 그 밑에 마련한 온돌방. 화성에는 구조물 곳곳에 온돌방이 있어 군사들이 겨울을 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온돌방이 화성의 구조물 곳곳에 마련되어 있다. 여름철이면 시원한 포루 등의 마루를 이용해 더위를 피할 수 있고, 겨울이면 온돌방을 이용해 몸을 녹일 수 있도록 마련한 화성. 그 하나만으로도 정조의 마음을 충분히 알 수가 있다. 백성을 사랑하는 정조의 마음, 바로 이런 점이 우리가 ‘정조스타일’을 고집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