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당진군 정미면 수당리에는 고려 때의 절이었던 안국사지가 있다. 정확한 기록이 남아있지를 않아 언제 이 절이 창건되었는지는 모르지만, 발굴조사 시 발견된 유물 등으로 보아 고려시대의 절이었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그 후 조선시대에 폐사가 되었던 것을 1929년 승려 임용준이 중창을 하였으나, 다시 폐사가 되었다.

우리나라의 많은 절들이 이렇게 중건과 소실, 혹은 폐사의 과정을 거치면서 긴 시간을 전해진다. 그러나 다행한 것은 석불과 석탑 등이 남아 그 역사의 흔적을 가늠할 수 있다는 점이다. 물론 그 역사의 흔적이 그 자리에 남아 있을 때야 추정이 가능하지만, 지금처럼 이리저리 그 소중한 문화재들을 옮겨다니면 그도 힘들어질까 걱정이 된다.


불안정한 모습, 그러나 고려의 석불

안국사지에는 석불입상이 있다. 좌우에 협시보살이 서 있고 중앙에 본존불이 서 있는 삼존불의 형태다. 2003년 발굴 조사 때 출토된 연호를 보아 고려 현종 12 ~ 21년 때인 1021~1030년에 조성한 것으로 보인다. 중앙에 서 있는 본존불은 원통형의 관 위에 보개를 씌었는데, 그 형태가 몸에 비해 지나치게 크게 만들어 보기에도 불안정하다.

양편에 선 협시보살도 하나의 돌에 조각을 한 수법을 택했다. 조각을 한 수법이 소박한 것으로, 이러한 조각수법은 고려시대 충청도 지방에서 흔히 보이는 조각기술이다. 본존불의 두 손은 돋을새김을 하였는데, 몸에 비해 길고 빈약해 보인다. 전체적으로 균형이 잘 맞지가 않는다.



이러한 본존불의 형상은 이 지방에서 고려시대의 석불에 많이 나타나는 형태로 형식화 되고, 제작기술이 쇠퇴한 지방적인 특색을 보여주는 작품들이다. 현재 이 석불입상은 보물 제100호로 지정이 되어 있다.

몸돌은 어딜 가고

석불입상 앞에는 보물 제101호로 지정이 되어 있는 석탑 한 기가 자리하고 있다. 형태로 보아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이며, 5층 석탑이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이 석탑은 현재 1층에 1매의 몸돌만 남아 있고, 그 위에 4매의 지붕틀이 얹혀 있는 모습이다. 아마 몸돌이 사라져버린 듯하다. 많은 문화재들의 훼손이 안타까운 것은 이런 점이다.

원형의 형태를 제대로 파악할 수 없다는 점이다. 1층 몸돌의 형태는 매우 간단히 처리를 하였다. 3면에는 여래좌상을 돋을새김을 하였고, 한 면에는 문고리를 조각하였다. 이러한 형태는 보기 드문 모습이다. 대개 4면 전체에 좌불을 새기거나 양편에는 문고리, 남은 방위에는 창살 등을 조각하는 데 비해, 기본형식에서 벗어난 것으로 보인다.

고려탑의 형태를 잘 나타내고 있는 석탑은 추녀가 심하게 올라간 편이며, 지붕돌의 층급받침은 4단씩 조각되어 있다. 석불입상의 뒤에는 배모양으로 생긴 바위가 있다. 흔히 배바위라고 부르는 이 바위에는 암각문이 두 군데 새겨져 있다. 오랜 세월 비바람에 글씨를 알아보기도 힘들지만 판독을 한 결과, 바위를 바라보고 왼편에는 목공전설이 오른편에는 매향비문이 새겨져 있다. 현재 충남 기념물 제163호로 지정이 되어 있다.





안녕을 구하기 위한 자연석인 매향비

배처럼 생긴 바위에 적은 암각문을 판독을 한 결과 이 매향비문은 경오년 2월이라고 적혀있어, 1330년이나 1390년에 음각을 한 것으로 추정한다. 매향비문은 돌을 다듬어 적기도 하지만 자연석을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안국사지의 매향비문은 배처럼 생긴 바위에 음각을 하였다.



 

한 곳의 사지를 둘러보는 데는 길게는 한 나절에서 짧게는 두세 시간이 소요된다. 이렇게 찬찬히 들러보고 나와도, 후에 또 다른 것이 나타나면 늘 후회를 하는 것이 현지답사다.

언제나 하나하나 다시 둘러보는 것도 그러한 후회를 하지 않기 위해서다. 당진 안국사지. 그 형태가 어떠했는지는 모르지만, 남아 있는 유적에서 그 모습을 찾아본다. 머리속에 그려지는 절의 모습이 확연치가 않은 것은, 주변을 너무 바꾸어 놓았다는 점이다.

역사는 많은 것들을 변하게 만들지만, 그 모습이나마 기억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텐데 말이다.


가끔 바닷가를 지나다가 보면, 해안가에 작은 집이 있는 것이 보인다. ‘당집’이라고 하는 이 집들은 풍어와 바닷길의 안전을 비는 제의를 하는 곳이다. 대개 바다를 삶의 터전으로 삼는 사람들은 딴 곳과 달라, 바다에서 불의의 사고를 당하면 목숨을 잃는 것은 물론 그 시신조차 찾지 못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그런 불행을 막기 위한 당고사를 지내거나 풍어제는 지낼 때, 아무래도 일반적인 마을의 동제(洞祭)보다 더 많은 금기를 지키게 된다. 바닷길의 무사고와 풍어를 위한 마을의 제의는 3일간이나 하는 것도, 모두 살아가는 동안 평안을 바라기 때문이다. 서천군 서면 마량리 동백나무숲 안에도 당집이 있다.


500년 역사의 마량리 당집

마량리 당집은 그 역사가 500년이나 되었다고 전한다. 당집에는 서낭을 5분이나 모시고 있다고 하는데, 이렇게 서낭을 모신 것은 500여 년 전 이 마을에 일어난 불행한 일 때문이다. 500년 전 이 마을의 주민들은 뗏목을 타고 바다에 나가 고기잡이로 생활을 하였다. 그러나 풍랑이 몰아쳐 돌아오지 못하는 경우가 자주 있었단다.

이 마을에 사는 한 노파의 남편과 자식이 그렇게 바다에 나가 돌아오지를 못했단다. 그러던 중 바다에서 용이 승천하는 것을 보고, 용왕을 모셔야 마을이 편안하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아마도 그 노파는 용왕에게 지극정성으로 빌었나보다. 꿈에 백발노인이 나타나 해안가에 가보라고 했는데, 그 해안 백사장에서 널을 하나 발견했다.


두 가지로 전해지는 전설

그 널 안에는 서낭 5분과 동백나무의 씨가 들어있어, 서낭은 당집을 지어 모셔놓고, 씨는 해안가에 뿌렸다고 한다. 그것이 현재의 동백 숲이 되었으며, 마량리 당집 안에 모셔진 서낭이 그 다섯 분이라는 것이다.

그런데 여기서 전설은 두 가지로 전해진다. 그 하나는 동백 숲을 조성한 것은 수군첨사라고 하며, 그 조성시기도 300여 년 전이라는 것이다. 서천군의 소개에는 300년으로, 마량리 동백 숲과 당집에는 500년으로 기록이 되어있어 보는 사람들에게 혼란을 주고 있다. 아마도 그저 지역에 전해지는 전설이기 때문에, 그렇게 다른 것인가 보다 하고 넘길 수도 있다.


하지만 아무리 전설이라고 해도, 마을의 안녕과 풍어, 뱃길의 무사고 등을 기원하는 것이라면, 그 추정연대를 같게 소개를 해야 할 것이다. 마을 노파의 전설은 500여 년 전, 수군첨사의 전설은 300년으로 되어 있어, 어느 것에 더 비중을 두어야할지 난감하기도 하다. 아마도 수군첨사의 300년 보다는, 노파의 500년이 당집과 더 어울린다는 개인적인 생각이다.

뱃길의 안녕과 풍농을 위한 당제

마량리 당제는 마을주민들이 제가 있기 며칠 전부터 집집마다 쌀 한 되씩을 거두어 들인다. 이렇게 집집마다 쌀을 걷는 이유는 모든 가정이 다 편안하기를 바라는 뜻에서이다. 그렇게 걷어 들인 쌀을 이용해 제물을 마련하는데, 화주와 선주의 일을 도와주는 화장, 그리고 당제에서 대를 잡는 당굴 등을 선정한다.



제관을 선출할 때는 생기복덕을 가리고, 집안에 산모가 있거나 환자가 있는 집은 가려낸다. 모든 준비가 끝나면 음력 정월 초하루부터 3일간 당제를 지낸다고 한다. 당제는 선창제를 시작으로 독경, 대잡이, 마당제, 용왕제, 거리제로 이어지며, 수십 개의 만선기와 풍어기를 당 주위를 꽂아놓는다.

정면 세 칸, 측면 두 칸으로 지어진 당집 안에는, 선반에 남녀 각 두 분씩의 모형을 모셔놓았다. 아마도 다섯 분을 모셨다고 했는데, 한 분은 위패로 모신 듯하다. 아직 마량리 풍어제를 보지 못해 어떤 식으로 진행이 되는지가 궁금하다. 오랜 세월 풍어와 바닷길의 무사고를 위해 서낭에게 빌던 마량리. 아마 오늘도 뱃길을 지켜주는 서낭님들이 있어, 마을이 풍요로운가 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