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해의 안녕을 기원하는 고색동 줄다리기

 

줄다리기는 흔히 삭전(索戰)’이라고 해서 정월 대보름을 기해 마을과 마을이 서로 힘겨룸을 하는 대동의 놀이이다. <동국세시기>에는 충청도 풍속이 거전(炬戰)이라는 횃불싸움이 있다. 또 편을 갈라 줄을 서로 잡아당긴다. 그래서 끌려가지 않는 편이 이기는 것으로 풍년을 차지한다.’라고 기록하고 있다.

 

우리나라에는 전국적으로 줄다리기가 행해졌다. 지역마다 줄의 형태나 줄의 처리방법, 줄다리기가 갖고 있는 내적사고는 다르다고 해도, 하나의 공통적인 습속은 여자가 이겨야 풍년이 든다.’거나 줄은 액막이의 상징으로 줄을 다리고 난 뒤 그것을 잘라 대문 앞에 걸어놓거나, 줄을 마을 입구에 놓으면 액이 들어오지 못한다.’는 등의 사고를 갖고 있다.

 

 

줄의 효능과 처리방법

 

우리 민족은 짚으로 꼬아 만든 줄이라는 조형물에 대해 깊은 뜻을 내재하여 왔다. 짚으로 꼬아 만든 줄은 왼새끼로 꼬아 대문에 걸어두면 금줄이 된다. 집안에 큰 일이 있거나 산모가 있을 때도 이 줄을 늘여 잡인의 접근을 막았다. 또한 장을 담가도 줄을 둘러 액을 막았다. 이렇게 우리민족과 짚으로 꼬아 만든 줄은 깊은 관계를 맺어왔다.

 

정월 보름을 맞이하기 전에 사람들은 짚을 준비하고 줄을 꼬기 시작한다. 줄의 형태는 암줄과 수줄을 만드는데, 이것은 남녀를 상징한다. 줄다리기를 할 때는 암수줄이 한데 엉키게 되며 이를 비녀라고 하는 장목으로 고정시킨다. 줄의 용두를 만들 때는 암줄은 넓게 하고 수줄은 좁게 하여, 암줄의 용두에 수줄의 용두가 들어가게 만든다.

 

이러한 줄의 결합상태가 주는 내적사고는 바로 다산과 풍농이다. 남녀가 결합을 해서 다산을 기원하고, 짚으로 만든 줄을 결합시킴으로써 풍농을 구가하는 것이다. 줄을 당기는 이유는 마을마다 다르다. 그 마을이 처해있는 환경이나 지리적인 여건 등에 따라 내적 사고를 갖게 되기 때문이다.

 

 

여자 쪽이 이기면 3년간 풍년이 들고 마을전체가 평안하게 살아간다.’(성남 판교)

승자는 공동으로 이용해 보를 막기 때문에 풍년이 든다’(안양)

강물이 풀려 액송기를 꽂은 줄이 떠내려가면 모든 재앙과 액운이 소멸된다’(여주 흔암리)

 

이렇게 지역마다 줄을 다리고 난 뒤에 마을에 전하는 속설이 차이가 난다. 그것은 그 마을이 처해있는 환경에 따라 적당한 속설을 창출하기 때문이다. 수원시 권선구 고색동 큰말 일원에서는 매년 정월 대보름을 전후해 줄다리기를 해왔다. 고색동의 줄다리기는 그 유래가 아주 오래인 것으로 전해진다.

 

9일 오후 고색동 줄달리기 이루어져

 

고색동의 줄다리기는 매년 음력 정월 보름에 행해졌으나, 요즈음은 보름 전후의 날을 잡아 일요일에 줄을 당긴다. 고색동 줄다리기는 1900년대만 해도 근동 30여 개 마을에서 풍장패를 끌고 나와 참여를 하는 큰 줄다리기였다. 일제의 문화말살정책 때는 줄을 다리지 못하자 마을에 흉사가 끼고 평안하지가 않아, 몰래 줄을 다리고는 했다고 한다.

 

 

1987년까지도 고색동의 줄다리기는 연이어져 왔다, 그 후 줄이 불에 타서 소실이 되고 마을이 급격히 도시화하면서 줄다리기가 중단이 되었다가, 고색동 청년회가 전통문화의 승계를 위해 1995년 줄을 새로 제작하고 복원하여 보름을 전후로 줄다리기를 하고 있다.

 

고색동 줄다리기는 마을에 있는 당집에서 당고사를 지내는 것으로 시작이 된다. 9일 아침 10시 수원시 향토유적 제9호로 지정이 되어있는 고색동 당집에서 풍물패들이 먼저 당고사를 올린다. 그리고 길놀이를 하면서 당주네 집으로 몰려간다. 당주네 집에 도착하면 마당놀이를 하는데, 이때는 근동의 풍물패(화성시)들도 함께 와 풍물을 주고받는다.

 

암줄이 이겨야 마을이 안과태평해

 

예전 같으면 당주집에서 마당놀이를 하고나면 바로 줄을 메고 마을을 한 바퀴 돌면서 길놀이를 하겠지만, 지금은 중간에 문화행사 등 많은 행사가 이루어진다. 마을잔치로 하다 보니 더 많은 것을 사람들에게 보여주기 위함이다. 오후 2시가 되어서 줄다리기가 시작이 되었는데, 여자와 아이들은 암줄을 남자들은 수줄을 잡고 다린다.

 

 

줄 위에는 각각 남장과 여장을 한 편장이 타게 되고, 편장의 지시에 의해 줄을 밀고 당긴다. 양편의 줄이 합해지면 수줄의 용두를 암줄에 밀어 넣고 빠지지 않게 장목으로 비녀를 끼운다. 징소리에 맞추어 세 번을 다리게 되는데, 암줄이 이겨야 마을에 풍년이 들고 마을이 평안하다고 한다.

 

풍물패의 빠른 가락에 이어 사람들의 함성소리. 그리고 줄을 당기는 사람들의 고함소리 등이 한데 어우러져 마을이 떠나갈 듯한 고색동 줄다리기 한 판. 줄다리기는 그 내재되어 있는 사고 외에도 겨우내 침체되었던 몸을 줄다리기를 하면서 기운을 써 몸을 푸는 효과도 가져오는 전승놀이이다. 그렇게 마음껏 소리치고 힘을 쓰면서 일 년의 안과태평을 빌었으니 마을이 편안할 수밖에.


우리나라의 민속은 정월에 중점적으로 연희가 된다. 이렇게 모든 기원성 민속이 정월에 몰리는 것은, 일 년을 시작함에 있어서 풍농과 가내의 안과태평 등을 얻기 위한 뜻이다. 정월 초하루가 되면 조상에게 차례를 지내고 난 뒤, 초이틀은 ‘귀신 날’이라고 하여서 문밖출입을 삼가고 집안에서 근신을 한다.  

초사흘서 부터는 하늘에서 ‘평신’이 내려오는 날이라고 하여서, 마을의 풍장패가 집집마다 돌아다니면서 지신밟기를 한다. 그렇게 지신밟기를 하는 풍장패들이 길에서 만나게 되면, 자연스럽게 ‘기싸움’으로 이어진다. 그리고 정월 열나흘날 밤에는 횃불싸움, 석전, 줄다리기 등이 이웃마을과 벌어진다. 또한 달이 뜨기를 기다려 달집태우기를 한다. 이렇듯 정월 초사흘부터 시작하는 놀이는 정월 열나흘에 정점에 오른다.

풍농을 유도하는 의식인 볏가리 대 세우기

논 가운에 세우는 볏가리 대

정월 열나흘날 낮이 되면 집집마다 다니면서 지신밟기를 마친 마을의 풍장패가, 먼저 대동우물에 찾아가 우물고사를 드린다. 그 사이 마을 사람들은 널따란 논 한 복판에 높이 짚으로 감싼 대를 세운다. 그 대의 끝에서 논바닥까지 짚으로 엮은 줄을, 세 갈래나 다섯 갈래를 늘인다. 그리고 그 갈래가 진 줄에는 벼, 기장, 수수, 콩 등 오곡을 봉지에 넣어서 매달아 놓는다.

마을마다 이 볏가리 대를 만드는 방법은 약간씩 다르다. 그렇게 줄을 늘여놓은 다음, 볏가리 대 밑에는 쌀가마를 갖다가 놓는다. 모든 준비가 끝나면 제상을 준비하고, 마을에서 선정된 제관이 제를 지낸다. 정월 열나흘날의 볏가리 대를 세우는 의식은 이렇게 끝이 난다. 그리고 음력 2월 초하루가 되기를 기다린다.

영등 날에 내려 풍농을 기원하다

음력 14일에 세운 볏가리 대는 음력 2월 초하루에 내린다. 2월 초하루는 영등할미가 하늘에서 땅으로 내려오는 날이라고 한다. 이날 바람이 많이 불면 그 해는 가뭄이 든다고도 한다. 이날 마을 주민들은 모두 볏가리 대 주변으로 모여, 볏가리 대 주위를 돌면서 풍장에 맞추어 흥겹게 춤을 춘다.

그런 다음에는 제상을 차리고 제를 올린다음, 볏가리 대를 내린다. 주머니 안에 있는 곡식을 꺼내 싹이 얼마나 자랐는가를 보고, 그 해의 풍농을 점치기도 한다. 내린 볏가리 대에서 떼어낸 주머니는 ‘천석이요, 만석이요’라고 외치면서 가마니 안에 집어넣는다. 이런 행위는 모두 천석만석의 소출을 내게 해달라는 기원이다.  

2005, 2, 9 한국민속촌

태안군 이원면 관리에서는 마을에 있는 무속인이, 볏가리 대를 세우는 날 우물에 가서 축원을 한다. 그리고 대나무에 한지를 오려 붙인 신장대를 마을주민이 잡으면 경을 읽는다. 신장대는 마을 돌아다니면서 마을에 있는 사악한 귀신들을 쫒아낸다고 한다. 이 모든 것이 마을의 안녕과 풍년을 기원하는 의식이다.

정월의 민속은 기원성을 띠고 있다

‘가리’란 단으로 묶은 장작이나 볏섬 등을 차곡차곡 쌓은 것을 말한다. 또한 곡식이나 장작 따위를 세는 단위이기도 하다. 한 가리는 스무 단을 말하는데, 볏가리 대란 이렇게 곡식을 쌓아놓을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시작이 되었다고 생각한다. 정월에 연희가 되는 민속은 대개가 기원적 성격을 띤다. 줄다리기, 장치기, 볏가리 대 세우기 등 이 모든 것은 다 풍농을 얻기 위한 방법이다.

한국인의 생활에서는 풍농이나 풍어, 혹은 마을과 가내의 평안이 가장 중요하다고 믿었다. 그러기 위해서는 풍년이 들어서 모든 식솔이 배부르게 먹을 수 있어야만 했다. 그런 사고가 이렇게 다양한 정월의 놀이문화를 창출한 것으로 보인다. 지금까지도 농촌에서는 그러한 마음속의 바람이 이어지고 있는 것을 보면.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