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 사업이라는 것이 그리 어려운 것인 줄 몰랐다. 몇 번을 실패를 거듭했을 때도 그 원론적인 방법조차 모르고, 또 다시 시작을 하고는 했으니 말이다. 서너 번 거듭되는 실패는 사람을 참담하게 만들기도 했다. 나중에는 힘이 부치는 정도가 아닌, 정말로 세상을 버릴까라는 생각까지 했으니 말이다.

2003년인가, 문화재 답사를 계속하다보니 무엇인가 더 많은 사람들에게 우리 문화를 알려줘야겠다고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전통예술신문>이라는 신문을 창간하게 되었다. 타블로이드판으로 낸 이 신문은, 올 칼라 면으로 인쇄를 해 인쇄비용이 만만치가 않았다. 광고로 운영을 해야 하는 신문은, 전통예술신문이라는 특성상 많은 광고가 붙지 않음은 당연한 일.

아우네 집 이층에 마련한 서재. 신문사를 하면서 사용하던 물건들이 그대로 정리가 되어있다. 이곳을 가면 언제나 이 서재에서 하루를 보낸다.


버티기 힘든 재정난으로 결국엔 문을 닫다

그렇게 겨우 2년인가를 버티었다. 그러나 매달 늘어나는 적자는 심각한 수준이었고, 할 수 없이 문을 닫게 되었다. 신문사 사무실 보증금도 당연히 사라져 버리고, 급기야는 모든 물건을 처분한다는 통지서까지 날아들었다. 당시는 정말로 그런 것들조차 찾을 엄두도 못 내고 있을 때였다.

그런데 수원에 사는 아우한테서 연락이 왔다. 형 짐을 모두 찾아왔노라고. 신문사에는 컴퓨터며 복사기, 인쇄기 등만 있었던 것이 아니다. 가장 소중하게 생각하는 수많은 자료들이 그곳에 있었다. 그것을 하나도 찾을 수가 없어 마음 아파하던 차에 온 연락이다. 사람이 아무리 힘들어도 이렇게 살아날 수 있는 방법이 있다니. 그야말로 ‘하늘이 무너져도 솟아날 구멍이 있다’는 말이 헛된 말이 아니란 생각이다.


소중한 자료들이다. 돈을 주고도 구할 수 없는 자료들을 아우가 찾아다가 정리를 해놓았다. 아직 짐도 풀지 않은 것들도 있다. 더 넓은 서재를 만들 때까지 그대로 놓아두라는 아우의 말이다.


정리를 해 놓은 서재, 좁지만 아늑해

그리고 얼마 동안은 아우네 집에 들르지도 못했다. 딴 곳에서 일을 하고 있었기 때문에. 아우가 늘 걱정을 한다. 몸이 아프면 딴 데 가서 고생을 하지 말고, 형 물건이 있는 집으로 오라고. 물론 피도 섞이지 않은 아우이다. 그런데도 살갑게 구는 것이 늘 미안한 마음뿐이다. 사람이 있는 곳을 떠나 길을 나섰을 때, 편하게 묵을 곳이 있다면 그보다 좋을 수가 없다.

언제나 찾아가기만 하면 편히 쉴 수 있는 곳. 지금 이렇게 글을 쓰면서도 이곳이 남의 집 같지가 않다. 신문사에서 사용하던 책들이며, 여러 가지 때 묻은 물건들이 그대로 남아있기 때문이다. 넓은 아우의 집 이층, 그 한편에 마련한 서재. 그곳에는 내가 고생을 한 흔적이 그대로 남아있다. 신문사 시절 찍었던 사진까지 그대로 정리를 해놓았다.


서재의 모습이다. 해가 잘 드는 곳에 꾸며놓아 항상 기분이 좋은 곳이다. 예전 신문사시절 사용하던 사진까지 그대로 갖다 놓았다.


지금 이 글을 쓰면서 곰곰이 생각을 해본다. 비록 사업에는 실패를 했지만, 그보다 더 소중한 사람을 얻었다는 생각이다.

“형님, 아프지만 마세요. 그리고 문화재 답사 다니실 때까지 열심히 하시다가, 이다음에 힘이 들면 언제라도 집으로 돌아오세요.”

아우의 말이다. 내가 살아갈 수 있는 힘을 주는 것이 바로 아우의 그 말 한마디였다. 힘들고 지쳤을 때, 언제라도 돌아오라는 아우의 말. 여기가 바로 형님이 살 곳이라는 그 한 마디가, 그저 답사의 어려움도 힘들다는 생각을 하지 못하게 만든다.


전통예술신문의 내용. 올 칼라로 발행한 이 신문은 지금 생각해도 너무나 많은 노력을 해 만들었다는 생각이다. 우리 문화를 알리겠다는 욕심 하나만으로. 


비록 사업에는 실패했지만, 그 대신 든든한 아우를 얻었다는 것. 어찌 보면 이 글을 쓰면서도 난 인생에 실패를 하지 않았다는 생각을 한다. 귀한 사람을 얻었기 때문이다. 지금 힘들고 지친 모든 분들. 어쩌면 주변에서 이렇게 화이팅을 외칠 분들이 있을 것이란 생각이다.

느닷없이 문화재를 찍고 있는데, 동행을 한 아우 녀석의 질문이다. 처음에는 왜 이런 질문을 했는지 의아스러웠다. 그게 무슨 말이냐고 물었더니, 나더러 참 답답하다고 한다. 무엇이 녀석이 보기에 그리 답답해 보인 것일까?

“왜 문화재 블로거를 하면 안 될 이유라도 있는 거야?”
“형님도 생각해 보세요. 드라마 평이나 가수 이야기나 쓰면 편할 것을, 아무도 찾아주지 않는 문화재 이야기를 무엇하러 쓰세요. 이 더위에 왜 고생을 하면서 이렇게 문화재를 찍어대는지 원”
“그럼 이런 거 하지 말까?”
“하지 말라는 것이 아니고, 편히 사시라는 거요”

이렇게 오래 묵은 나무는 상처를 입고도 버티고 있다. 저 나무의 끈기를 배울 수는 없는 것일까?


내가 생각해도 답답하다. 정말로

하긴 그렇다. 이것이 무슨 돈 되는 것도 아니다. 시간과 돈, 그리고 체력까지 고갈이 되어가면서 땀을 흘리고 있는 내가, 아무리 생각해도 답답하기는 하다. 누가 시킨 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돈을 주는 것도 아니다. 그런데 왜 이 짓을 하고 있는 것일까?

문화재를 찾아다니면서 글을 쓴지는 오래되었다. 방안 가득한 CD와 외장하드. 그 안에는 전국을 계절 없이 찾아다니면서 찍어 놓은 자료들이 그득하다. 누군가 그것을 보고 ‘저것만 보아도 배가 부르지 않느냐?’고 한다. 절대 아니다. 그것을 볼 때마다 배가 부르기는커녕 더욱 고파진다는 것이 솔직한 내 심정이다.

저렇게 자료를 모으느라 그동안 길에 쏟아 부은 돈이 아마도 수억은 될 것이다. 그렇다고 누가 도움을 주는 것도 아니다. 한 달 동안 땀 흘려 돈을 받기가 무섭게 길에 나가 쏟아 부었으니, 참 내가 생각해도 답답한 일임에는 틀림이 없다.


그래도 팔자려니 생각하고 해야지

오늘 이 글을 쓰는 이유가 있다. 수원에 사는 아우 녀석이 스포츠 마사지를 한 번 받아보라고 한다. 생전 그런 것을 받아 본 기억도 없다. 처음에는 더운데 무엇 하러 그런 것을 하느냐고 했다가, 몸이 안 좋으니 손해 볼 것이 없다는 생각에 몸을 맡겼다. 그런데 스포츠 마사지를 하시던 분이 한 마디 하신다. ‘어떻게 이렇게 몸을 혹사를 시켰느냐’는 것이다.

"아마 문화재 답사를 한다고 쉬는 날마다 더운데도 나가서 돌아다녀서 그런가 보네요.“
“그런 것도 이유가 되겠지만, 좀 쉬셔야 할 것 같아요.”
“아직은 쉴 때가 아니란 생각입니다. 다닐 수 있을 때 좀 더 다니려고요.”
“그러다가 큰일 납니다. 돈도 좋지만 몸 생각부터 좀 하세요”
“.... ”

딱히 할 말이 없다. 알고 보면 좀 오랫동안 정말 제대로 쉬어 본 적이 없다. 시간만 나면 밖으로 나가 문화재를 찾아 헤매고 돌아쳤으니. 그래도 아직 우리 문화재의 10분지 1이나 돌아다녔나 싶기도 하다. 마음이 바빠서 몸을 돌볼 여유가 없었다. 아니 그럴만한 경제적인 여유가 생길 수가 없었다는 것이 솔직한 이야기다.

여유가 조금 생기면 하루라도 더 답사를 나가야 한다는 것이 내 생각이었으니, 몸에다가 무슨 투자를 할 것인가? 생활이 찌든다는 생각을 해 본적도 없다. 신발 하나를 사면 그것이 다 헤어져 너덜거려야, 신발을 살 생각을 하고 살았으니 말이다.

그래, 네 말이 맞다. 이젠 좀 쉬고 싶기도 하다.

아우 녀석의 볼멘소리가 듣기 싫지가 않다. 예전 같으면 별 말을 다한다고 핀잔이라도 주었을 텐데. 이젠 오히려 그런 말이 마음에 와 닿는 것을 보면, 나이가 먹긴 먹었나 보다. 더구나 몸이 개판이라는 말에, 조금은 걱정도 된다.


이젠 좀 쉬고 싶다는 것이 솔직한 심정이다. 내가 충성스럽게 글을 올려야 할 이유도 없다. 그저 이웃 블로거들의 걱정과 격려가 그동안 나를 지탱하고 있었던 것을. 괜히 여유까지 잃어가면서 기를 쓰고 글을 올려야 할 필요를 느끼지도 않는다.

“형님도 그냥 드라마 줄거리나 쓰세요. 광고도 달고요”

그래도 그렇게는 못하겠다. 그리고 그런 것을 쓸 재주도 없다.

“머리 두상을 보니 한번 고집을 피우면 아무도 못 꺾겠네요.”
마사지를 하시는 분의 말씀이다. 맞습니다. 그래도 이 고집 하나로 버티고 있는 중입니다. 만일 그것마저 버리면 살아갈 의미도 없겠죠. 그래서 난 또 주섬주섬 오늘도 가방을 챙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