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부여군 외산면 만수리에 소재한 무량사. 무량사는 신라 말에 범일이 세워 여러 차례 공사를 거쳤다고 전해지고 있으나, 자세한 창건연대는 전하지 않는다. 다만 신라 말 고승 무염대사가 일시 머물렀고 고려시대에 크게 다시 지었으며, 김시습이 이 절에서 말년을 보내다가 세상을 떠났다고 한다.

 

우리나라의 고찰들은 저마다 계절별 아름다움이 있다. 절이라는 곳이 사시사철 나름대로의 아름다움은 다 지니고 있다고 하지만, 무량사는 겨울에 특히 정취를 맛볼 수 있는 고찰이다. 무량사는 사실 우리소리문화의 한 획을 그을 수 있는 곳임에도 불구하고, 그러한 내력이 전해지지 않아 안타까운 곳이다.

 

 

2층으로 지은 불전 무량사 극락전

 

무량사의 중심건물은 보물 제356호로 지정이 된 무량사 극락전이다. 이 건물은 우리나라에서는 그리 흔치않은 2층 불전으로, 외관상으로는 2층이지만 내부에서는 아래, 위층이 구분되지 않고 하나로 트여 있다. 아래층 평면은 정면 5, 측면 4칸으로 기둥 사이를 나누어 놓았는데 기둥은 매우 높은 것을 사용하였다. 위층은 정면이 3, 옆면이 2칸으로 되어 있다.

 

위층은 아래층에 세운 높은기둥이 그대로 연장되어 4면의 벽면기둥을 형성하고 있다. 원래는 그 얼마 되지 않는 낮은 벽면에 빛을 받아들이기 위한 창문을 설치했었는데 지금은 나무판 벽으로 막아놓았다. 아미타여래삼존상을 모시고 있는 이 무량사 극락전은 조선 중기의 양식적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는 불교 건축물로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배흘림기둥과 활주가 고풍스러워

 

무량사 극락전은 이 사찰의 경내가 극락세계임을 뜻한다. 무량사는 임진왜란 때 크게 불탄 뒤 인조 11년인 1633년에 중창하였으며, 이 극락전도 그때에 지은 것이다. 무량사 극락전은 우리나라의 전각 중에서는 보기 드물게 2층 불전으로 지었으며, 조선 중기 건축의 장중한 맛을 잘 드러내 주어 보물로 지정되었다.

 

겉에서 보면 2층집이지만, 내부는 통으로 되어있는 이러한 불전은 오층 목탑 형식인 법주사 팔상전과, 3층 전각인 금산사 미륵전 등이 있다. 그 외에도 화엄사 각황전이나 공주 마곡사 대웅보전도 이러한 형태로 지어졌다. 이 불전들은 모두가 안으로 들어서면 천장까지 뚫린 통층이라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극락전의 기단은 장대석 세벌대로 쌓고, 자연석 초석을 놓았다. 배흘린 원형기둥을 세워놓고, 1, 2층 모서리에는 처마 끝에 활주를 받쳐놓았다. 아래층 문살은 가운데가 네 짝이고 점차 두 짝, 한 짝씩으로 줄었다. 정면은 모두 창살문을 달아냈으며, 2층 정면도 원래는 살문을 달아있다고 한다. 이는 집안에 빛이 잘 들어오도록 마련한 것이다. 다른 벽들은 모두 흙벽이 아니고 나무판자를 대서 만든 판벽이다. 이런 점은 평지가 아닌 산간에서나 볼 수 있는 독특한 보기이다.

 

동양 최대의 소조삼존불을 모셔

 

극락전 안에는 보물 제1565호인 부여 무량사 소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을 모시고 있다. 이 심존불은 흙으로 빚어 조형한 것으로 동양 최대의 삼존불이다. 중앙에 좌정한 아미타불은 높이 5.4m이며, 양쪽에는 높이 4.8m의 관세음보살과 역시 4.8m의 대세지보살을 협시보살로 두고 있다.

 

 

17세기 대규모 사찰에서 널리 조성되었던 대형의 소조 불상 양식을 따르고 있는 이 삼존상은, 발견된 복장발원문을 통해 현진이라는 조각승과 1633년이라는 정확한 조성연대를 알 수 있는 소중한 문화재이다. 특히 조선후기 조각사 연구는 물론, 조각 유파 연구에도 귀중한 작품으로 평가되고 있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