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이버섯 중에는 양양송이를 제일로 친다.’고 사람들은 그렇게 이야기를 한다. 송이버섯이야 어디서 채취를 하나 그 향이 독특해, 이 계절에는 산을 오르면 송이가 날만한 곳은 송이를 따러 다니는 사람들을 자주 만나고는 한다. 그만큼 자연산 송이버섯은 향이 특이하고 좋다고 한다, 일설에는 ‘1능이 2송이 3표고’라고도 한다. 아마 그 향으로 순위를 따지는 것인가 보다.

우리나라의 문헌에 송이가 처음 등장하는 것은 이인로(1152~1220)의 시에서 보인다. 『동국여지승람』에는 우리나라 각처의 명산물로 송이를 들고, 『동의보감』에는 “송이는 맛과 향이 매우 뛰어나고, 소나무의 기운이 있다고 기록하였다. 산중 고송 밑에서 자라기 때문에 소나무의 기운을 빌려서 생긴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나무에서 나는 버섯 가운데서 으뜸가는 것이다.”라고 적고 있다. 송이는 양양, 봉화, 남원, 구례 등에서 자생한다.

양양 황금송이 한 상자로 선물로 받았다.

이 계절의 미각을 돋우는 송이

송이버섯은 위와 장 기능을 도와주고 기운의 순환을 촉진해서, 손발이 저리고 힘이 없거나 허리와 무릎이 시릴 때 좋다고 한다. 송이버섯에 있는 다당체는 항암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송이는 해마다 그 수확량에 따라 가격이 천차만별이다. 지난해에는 천정부지로 뛰어오른 송이 값이, 서민들은 아예 꿈도 꾸지 못할 정도로 고가이기도 했다.

이러한 송이를 한 상자를 선물로 받았다고 하면 어떨까? 물론 나에게 온 것은 아니다. 그러나 이 양양산 황금송이 한 상자를 선물로 받고 보니, 고민이 되었다. 이 송이를 어떻게 요리를 해먹을까 하는 고민에서다. 주변에 있는 사람들을 불러모아 함께 맛을 보자고 한 뒤에, 산을 다니면서 채취를 해놓은 능이버섯과 싸리버섯으로 된장국을 끓였다.

큰 것은 휴대폰과 비교도 되지 않는다.

황금송이버섯으로 지은 밥, 정말 일품이네.

송이는 물로 씻지 않는다. 그만큼 향을 중요시하기 때문이다. 대개는 겉에 묻은 흙을 털어내는데도 조심을 하는 모습을 볼 수가 있다. 부드러운 칫솔 같은 것으로 살살 닦아내면 흙을 털 수가 있어 좋단다. 이나저나 이 귀한 양양 황금송이를 어떻게 할까 망설이다가, 여러 명이 먹을 수 있도록 송이를 잘게 찢어서 밥을 하는데 집어넣었다.

일명 ‘황금송이버섯 밥’을 한 것이다. 그리고 능이버섯과 싸리버섯을 이용해 된장국을 끓였다. 송이 향이 빠질까봐 뚜껑도 열지 못하고 기다렸다. 그리고 시간이 지나 밥이 다 된 것 같아 뚜껑을 열고 보니, 세상에 밥에서 나는 송이향이 말로 설명할 수가 없을 정도다. 따듯한 밥 한 그릇에 버섯된장국 한 대접. 누구 부러운 사람이 없다.


송이를 넣어 밥을 하고, 채취해 놓았던 능이와 싸리버섯을 넣어 된장을 끓였다. 진시황도 이런 음식은 못 먹어보았을 것이란 생각이다.

생각이나 해보았을까? 황금송이버섯 밥이라니. 향이 풍기는 밥을 한 그릇 후딱 비우고, 다시 한 그릇을 담아 먹는다. 이런 특별식이라면 살이 좀 찐다 해도 괜찮을 듯. 양양송이 몇 개가 그렇게 행복을 줄줄 몰랐다. 먹는 것에 그리 탐을 하는 사람이 아니건만, 이렇게 식탐을 하는 사람이 되어버렸으니. 그래도 그 귀한 송이버섯 밥을 먹었다는 생각으로 며칠은 즐거운 날이 될 듯하다.

모처럼 마음을 먹고 산을 올랐다. 요즈음 '능이버섯'이 제철이라고 한다. 그래서 능이버섯을 좀 채취할 수 있으려나 해서, 능이가 많이 난다는 곳을 찾아갔다. 버섯이나 약초를 캘 때, 카메라를 들고 다닌다는 것은 위험천만이다. 카메라가 해를 입을 수가 있기 때문이다. 누가보아도 약초를 전문으로 캐러다니는 사람 쯤으로 볼 수 있는 그런 모습으로 산을 오른다. 산은 깔딱산이다. 한발만 잘못 딛어도 저 밑으로 굴러떨어질 그런 험한 산을 오른다.

땀이 비오듯 한다. 그래도 이왕 산을 올랐으니, 무슨 소득이라도 있어야 할 것이 아닌가. 저만큼 사람들이 산을 헤매고 있다. 이미 수많은 사람들이 다녀간 듯, 산에는 여기저기 발자욱이 수도없이 찍혀있다. 남들보다 늦은 셈이다. 채취하고자 하는 능이 버섯은 보이지도 않는다. 그런데 경사가 70도는 될만한 비탈에 더덕 잎이 보인다. 먼저 간 일행이 더덕을 캔다. 더덕의 크기가 장난이 아니다. 그 길이가 무려 25cm 정도는 넘을만하다.

하루 종일 산을 뒤져 채취한 각종 식물의 모습이다. 시장 통에 있는 장사를 방불케 한다.

산은 우리에게 수많은 것을 제공한다.

험한 산을 탄다는 것은 쉬운 일은 아니다. 그러나 그 산을 타면서 땀을 흘리고, 산에서 뿜어나온다는 각종 인체에 좋은 기운을 받다보면 그만큼 건강해 질 것이다. 그래서인가 일주일에 한 번 정도 산을 오르면서 상당히 피부가 좋아졌다는 소리를 듣는다. 아마 몸안에 있는 노폐물을 많이 배출하기 때문인가 보다. 거기다가 이렇게 다양한 좋은 것을 많이 채취할 수 있으니, 이야말로 일거양득이 아닐까?

산으로 오르는 이유는 그곳에 우리에게 필요한 수많은 것이 있기 때문이다. 물론 그것들이 모두 땀을 흘려 걷어들일 수 있는 것들이다. 자연은 늘 우리가 땀을 흘린만큼 우리에게 무엇인가를 준다. 그것을 섭취할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즐거움이다. 사람이 키워낸 것이 아닌, 자연이 직접 키워낸 것을 먹을 수 있다는 것보다 더 큰 즐거움이 또 있을까 싶다. 그것이 내가 산을 오르면서 자연에게서 배운 것이기도 하다.


산에서 채취한 자연산 더덕. 십년이 지난 것들이다. 그 크기도 상당하다.

산을 탔더니 이런 소득이 있었다네.

더덕은 늘 캐고, 그것을 나누면서 즐거움을 찾고는 한다. 이번 산행에서는 그동안 보지 못했던 것들의 소득이 있었다. 능이버섯도 있지만, 그것보다는 참나무에서 서식하던 '노루궁뎅이버섯'을 발견한 것이다. 노루궁뎅이버섯은 그 모습이 노루궁뎅이와 비슷한 털을 갖고 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중국에서는 원숭이의 머리와 비슷하다고 하여 '후두고'라고 부르며, 일본에서는 '야시부시다케'라 부른다.

이 버섯은 줄참나무나 떡갈나무 등 활엽수의 줄기에 하나씩 자란다. 이 버섯은 복용을 하면 위궤양, 십이지장, 신경쇠약 등에 효과를 본다고 한다. 또한 면역기능을 활성화시켜 암세포의 증식 등을 억제시키며, 노루궁뎅이버섯에만 있다는 성분들이 치매나 항암치료 등에 뛰어난 기능을 갖고 있다고 한다.

노루궁뎅이버섯. 참 희안하게도 생겼다. 항암효과를 갖고 있다고 한다.

여성들에게 가장 좋은 것은 역시 산에서 채취한 자연산 '잔대'가 아닐까 한다. 잔대는 농약, 중금속, 화학약품, 뱀 등의 모든 독을 풀어줄 수 있는 약초이다. 옛 기록에도 잔대는 '백가지 독을 풀어주는 약초'라고 서술하고 있다. 잔대는 여성들의 산후풍과 가래, 해소, 천식 등에 특효약이라고 한다. 잔대는 반찬으로 늘 복용을 하면, 살결이 백옥같이 고와지고 희어진다고 하였다.


여성들에게 특히 좋다는 잔대(위)와 영지(아래)

영지에 대해서는 장황하게 설명할 필요가 없을 정도로 많은 사람들이 지식을 갖고 있다. 영지는 암종양의 성장을 억제하고, 혈압을 조절하고 혈당을 줄여 피를 맑게한다. 전염병을 이길 수 있는 면역력을 높이며, 간을 튼튼하게 한다. 다양한 약효를 갖고 있는 영지는 우수한 약재로, 가장 활발하게 그 효능이 연구된 버섯이기도 하다.

산으로 올라 얻을 수 있는 자연의 선물. 이런 것을 채취했다는 것만으로도 즐거움인데, 그것보다 더욱 좋은 것은 스스로가 몸이 튼튼해진다는 것을 느낄 수가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사람은 자연과 동화될 때, 가장 건강한 모습으로 살아갈 수가 있는 것이다. 땀을 흘리며 즐거움으로 채취한 자연의 선물. 이렇게 사는 것이 참 즐거움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