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써 몇 년은 됨직하다. 이곳을 다녀온 지가. 서울 강북구 우이동 산 68에 소재한 대한불교 조계종 용덕사는 창건한지는 얼마 되지 않았다. 하지만 이 절은 명당 중에 명당으로 알려져 있다. 들어가는 입구부터가 심상치 않지만, 도선사를 들어가는 입구로 걸어 올라가면 우이동 먹거리촌이 나온다.

 

이 먹거리촌 오크밸리 앞에 용덕사 이정표가 하나 서 있다. 용덕사는 걸어 올라가는 길이 아름답다. 먹거리촌까지 차를 이용해서 간다고 하면, 걷는 길은 차에서 내려 10~15분 거리이다. 그저 마음 편하게 뒷짐을 지고 걸어도 15분이면 넉넉하다. 가다가보면 우측으로 펜스를 쳐 놓은 곳이 있고, 그곳을 지나면 낮은 산길을 걷게 된다.

 

 

암벽에 조성한 마애불이 일품

 

용덕사는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고찰의 형태는 아니다. 하지만 산사의 분위기는 한껏 느낄 수가 있다. 한편으로 흐르는 맑은 개울이 있어, 물소리까지 정겨운 곳이다. 용덕사의 샘물인 감로수는 도봉산의 약수 중에서도 으뜸이라고 전한다. 한 모금 마시면 폐부 깊숙이 시원함이 전해온다.

 

주변에 온통 바위투성이이다. 그런 곳에 어떻게 절을 중창한 것인지. 절 경내라고 해보아야 돌아볼 것도 없다. 한눈에 다 들어오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 분위가 하나는 가히 절경이라는 생각이다. 바위 한 면에 조각된 마애불은 압권이다. 100여 년 전에 이 곳에서 시봉을 들던 동자가 바위에 밝은 불빛이 비치는 것을 보고 조각을 했다고 전한다.

 

우리나라 곳곳의 비경에 조각한 마애불들은 모두 전설 한 자리씩 갖고 있다. 그만큼 지금 우리들의 일반적인 생각과는 전혀 다른 이야기들을 만난다. 어떤 마애불은 자연 굴 안에 들어가 있기도 하다. 용덕사 마애불도 동자가 조각을 했다고 하는데, 도대체 이 큰 바위면을 어떻게 갈아내고 조성을 한 것일까? 이야기를 들으면서도 선뜻 납득이 가지 않는다.

 

 

용의 입에 마련한 산신각

 

절이라는 곳이 사람들이 모이는 곳이다. 그 안에 무슨 사연인들 없을 것인가? 용덕사의 경내를 돌다가 보면 커다란 바위굴 입구 문 위에 산신각이라고 음각한 글을 볼 수 있다. 산신각을 자연적인 바위에 조성을 한 것이다. 이 바위는 바로 용이 입이라고 한다. 그리고 그 앞에는 커다란 바위가 있다. 그 둥근 바위가 바로 여의주라는 것이다.

 

용이 입을 벌리고 여의주를 무는 형상이라고 하니 명당임에 틀림이 없다. 이곳은 많은 분들이 와서 기도를 하는 곳이기도 하다. 건강발원이나 진급, 혹은 자녀의 입시 등을 위해서도 사람들이 찾아온다고 한다. 사실 사찰이라는 곳이 차를 타고 경내까지 들어간다면, 아무리 열심히 공을 들인들 무슨 덕을 볼 것인지 의아하기도 하다.

 

 

물론 마음먹기 나름이라고 하지만, 마음부터가 준비가 되지 않은 상태에서 무슨 발원심이 날 것인가? 차도가 없어 잠시 동안이라도 걸어야 하는 용덕사는 그런 점에서는 정말 좋은 절이란 생각이다. 벌써 다녀온 지가 깨 되었지만, 이제야 숨어있던 자료를 발견했다. 기억을 더듬어 보니 참으로 좋은 절 한 곳을 잊을 뻔했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