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은 33살의 작가이지만 그의 생각은 남다르다. 사물을 보는 눈이 남다르고, 그것을 생각하고 작품으로 형상화시키는 기법도 남다르다. 작가 석희전 1982년 대구 출생으로 대구 영남대학교 서양학과를 졸업했다. 그동안 2008년에는 영남대학교 조형대 1층 전시장에서 ‘MACEDOINE’라는 주제로 개인전을 열었다.

 

그리고 2013년에는 수원에서 숨의 숲이라는 제목으로 개인전을 열었다. 그룹전도 활발하게 활동을 하고 있다. 수원 행궁동에 있는 레시던시 2003년 앙데팡당(대구), 2008년 오각시각 오인전(서울), 2009년 대한민국 청년작가 100인전(서울), 2013년 제6차 세계문화유산교류 프로젝트(수원), 2013년 꿈의숲 아트페스티벌 공모전(서울)을 거쳐 이번에 수원 일파문화공간에서 '일파만파' 일파문화공간 입주작가전을 함께 한 것이다.

 

 

화성잡초자연의 소재를 재조합 해

 

이번에 문화공간 일파에서 45일부터 20일까지 열리는 알파문화공간 입주작가전에 전시가 된 석히전 작가를 문화공간 알파에서 만나보았다. 석희전 작가의 전시작품은 화성잡초이다. 그동안 석희전 작가가 그린 그림들은 모두 자연의 형상을 그림으로 그려낸 것이다. 그녀는 씨앗, , 잡초, , 등의 자연적 소재들을 그녀만의 독특한 구성으로 재탄생시킨다.

 

제 작품 화성잡초는 화성이란 낯 선 곳에서 만나게 되는 식물을 모티브로 설정하였습니다. 사람들도 마찬가지란 생각이 들어요. 만일 화성이란 조형물이 없었다고 하면 지금과 같은 모습이 아닌, 또 다른 형태의 식물들이 자랄 것이란 생각을 하는 것이죠. 화성잡초는 어쩌면 원초적인 식물의 형태가 아닐까 생각을 표현한 것입니다.”

 

석희전 작가는 모든 사물은 연결과 분할, 재조합을 통해서 새로운 형태의 이미지를 형성한다는 것이다. 하기에 이러한 이미지의 변화는 우리가 모르고 있는 사이에, 무의식 속에서 그것을 받아들이며 공감하게 된다는 것. 하기에 늘 그 원초적인 형태의 자아를 찾아가며 원래의 세포와 근육을 찾아간다는 것이다.

 

그녀는 출품작인 화성잡초의 그림 속에 수많은 선이 바로 세포와 근육이라고 설명한다. 세상은 날마다 새로운 것이 쏟아져 나오면서 그런 것들이 마치 처음부터 그 자리에 있는 듯 보이지만, 그것은 우리도 모르는 사이에 그곳에 있었다고 느끼고 있을 뿐이라는 것이다.

 

화성잡초는 문제의 본질을 이해하려고 노력한 작품입니다. 우리가 언제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알지 못하는 사이에, 변해버린 것들의 본질을 찾아가는 것이죠. 곧 자신의 정체성을 찾아가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는 나만의 본질을 찾고자 함입니다. 원래의 모습으로 돌아가고자 하는 것이죠.”

 

어려서부터 그리고 싶었던 그림

 

석희전 작가는 어려서부터 그림이 그리고 싶었다고 한다. 하지만 집에서 지원을 해주지 않아 미술학원조차 한 번도 다니지 못했다고. 집에서도 그림을 그리는 것을 반대해 결국 재수를 하면서까지 미술대학을 택했다고 한다.

 

그림을 그리기 위해 고생을 많이 했어요. 집에서는 반대를 하시고 그림은 그리고 싶고. 그래서 알바도 하면서 재수를 하면서까지 미술입시학원을 다녔죠. 미대에 입학을 해서도 학자금을 만드는 것이 수월치가 않았어요. 결국 학자금 대출을 받았는데 지금까지 갚고 있는 중예요.”라면서 웃는다.

 

 

그림 속에서 작가의 본질을 찾아가고, 세상의 모든 사물의 근본을 찾아가기 위해 애를 쓴다는 석희전 작가. 지금도 아이들을 파트타임으로 가르치면서 작업을 하고 있다는 작가의 모습에서, 우리는 새로운 구상을 하고 새로운 작품을 간구하는 작가의 열정을 만날 수가 있다.

 

“1년 반 전에 결혼을 했어요. 그리고 앞으로도 저는 사물의 본질을 찾아가고, 그 정체성을 찾아가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입니다. 화성잡초와 같이 화성이 있기 전에 그곳에 뿌리를 내린 식물들, 그리고 사람들의 모습을 찾기에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할 것입니다.”

 

조금은 낯선 그림이다. 그리고 미술에 관해 문외한은 나로서는 그 그림의 본질을 이해하기란 쉽지가 않다. 그러나 단 한 가지, 작가의 열정과 고뇌하는 감성은 그대로 전달이 되는 듯하다. 그것만으로도 작가와 교류는 이루어진 것이 아닐는지.

모처럼 마음을 먹고 산을 올랐다. 요즈음 '능이버섯'이 제철이라고 한다. 그래서 능이버섯을 좀 채취할 수 있으려나 해서, 능이가 많이 난다는 곳을 찾아갔다. 버섯이나 약초를 캘 때, 카메라를 들고 다닌다는 것은 위험천만이다. 카메라가 해를 입을 수가 있기 때문이다. 누가보아도 약초를 전문으로 캐러다니는 사람 쯤으로 볼 수 있는 그런 모습으로 산을 오른다. 산은 깔딱산이다. 한발만 잘못 딛어도 저 밑으로 굴러떨어질 그런 험한 산을 오른다.

땀이 비오듯 한다. 그래도 이왕 산을 올랐으니, 무슨 소득이라도 있어야 할 것이 아닌가. 저만큼 사람들이 산을 헤매고 있다. 이미 수많은 사람들이 다녀간 듯, 산에는 여기저기 발자욱이 수도없이 찍혀있다. 남들보다 늦은 셈이다. 채취하고자 하는 능이 버섯은 보이지도 않는다. 그런데 경사가 70도는 될만한 비탈에 더덕 잎이 보인다. 먼저 간 일행이 더덕을 캔다. 더덕의 크기가 장난이 아니다. 그 길이가 무려 25cm 정도는 넘을만하다.

하루 종일 산을 뒤져 채취한 각종 식물의 모습이다. 시장 통에 있는 장사를 방불케 한다.

산은 우리에게 수많은 것을 제공한다.

험한 산을 탄다는 것은 쉬운 일은 아니다. 그러나 그 산을 타면서 땀을 흘리고, 산에서 뿜어나온다는 각종 인체에 좋은 기운을 받다보면 그만큼 건강해 질 것이다. 그래서인가 일주일에 한 번 정도 산을 오르면서 상당히 피부가 좋아졌다는 소리를 듣는다. 아마 몸안에 있는 노폐물을 많이 배출하기 때문인가 보다. 거기다가 이렇게 다양한 좋은 것을 많이 채취할 수 있으니, 이야말로 일거양득이 아닐까?

산으로 오르는 이유는 그곳에 우리에게 필요한 수많은 것이 있기 때문이다. 물론 그것들이 모두 땀을 흘려 걷어들일 수 있는 것들이다. 자연은 늘 우리가 땀을 흘린만큼 우리에게 무엇인가를 준다. 그것을 섭취할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즐거움이다. 사람이 키워낸 것이 아닌, 자연이 직접 키워낸 것을 먹을 수 있다는 것보다 더 큰 즐거움이 또 있을까 싶다. 그것이 내가 산을 오르면서 자연에게서 배운 것이기도 하다.


산에서 채취한 자연산 더덕. 십년이 지난 것들이다. 그 크기도 상당하다.

산을 탔더니 이런 소득이 있었다네.

더덕은 늘 캐고, 그것을 나누면서 즐거움을 찾고는 한다. 이번 산행에서는 그동안 보지 못했던 것들의 소득이 있었다. 능이버섯도 있지만, 그것보다는 참나무에서 서식하던 '노루궁뎅이버섯'을 발견한 것이다. 노루궁뎅이버섯은 그 모습이 노루궁뎅이와 비슷한 털을 갖고 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중국에서는 원숭이의 머리와 비슷하다고 하여 '후두고'라고 부르며, 일본에서는 '야시부시다케'라 부른다.

이 버섯은 줄참나무나 떡갈나무 등 활엽수의 줄기에 하나씩 자란다. 이 버섯은 복용을 하면 위궤양, 십이지장, 신경쇠약 등에 효과를 본다고 한다. 또한 면역기능을 활성화시켜 암세포의 증식 등을 억제시키며, 노루궁뎅이버섯에만 있다는 성분들이 치매나 항암치료 등에 뛰어난 기능을 갖고 있다고 한다.

노루궁뎅이버섯. 참 희안하게도 생겼다. 항암효과를 갖고 있다고 한다.

여성들에게 가장 좋은 것은 역시 산에서 채취한 자연산 '잔대'가 아닐까 한다. 잔대는 농약, 중금속, 화학약품, 뱀 등의 모든 독을 풀어줄 수 있는 약초이다. 옛 기록에도 잔대는 '백가지 독을 풀어주는 약초'라고 서술하고 있다. 잔대는 여성들의 산후풍과 가래, 해소, 천식 등에 특효약이라고 한다. 잔대는 반찬으로 늘 복용을 하면, 살결이 백옥같이 고와지고 희어진다고 하였다.


여성들에게 특히 좋다는 잔대(위)와 영지(아래)

영지에 대해서는 장황하게 설명할 필요가 없을 정도로 많은 사람들이 지식을 갖고 있다. 영지는 암종양의 성장을 억제하고, 혈압을 조절하고 혈당을 줄여 피를 맑게한다. 전염병을 이길 수 있는 면역력을 높이며, 간을 튼튼하게 한다. 다양한 약효를 갖고 있는 영지는 우수한 약재로, 가장 활발하게 그 효능이 연구된 버섯이기도 하다.

산으로 올라 얻을 수 있는 자연의 선물. 이런 것을 채취했다는 것만으로도 즐거움인데, 그것보다 더욱 좋은 것은 스스로가 몸이 튼튼해진다는 것을 느낄 수가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사람은 자연과 동화될 때, 가장 건강한 모습으로 살아갈 수가 있는 것이다. 땀을 흘리며 즐거움으로 채취한 자연의 선물. 이렇게 사는 것이 참 즐거움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