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끔 시골마을을 돌아다니면서 마을회관을 찾아가고는 한다. 옛소리라고 부르는 우리 소리를 듣기 위해서다. 우리 소리란 생활 속의 소리다. 예전에는 모든 작업이 소리와 함께 이루어졌다. 그것은 소리를 하면서 노동에서 오는 피로를 조금은 가셔보고자 하는 뜻도 있으나, 그것보다는 힘든 세상살이를 소리를 하면서 잊고자 하는 데 있었을 것이다.

  

슬픈 여인의 시집살이 죽음으로 끝나

 

진주난봉가라는 소리가 있다. 이 소리는 유명하다. 모 가수도 이 소리를 불렀고, 전문소리꾼들이 소리를 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렇게 꾼들에 의한 소리보다는, 연세가 지긋하신 할머니들의 곡조 없는 탄식조의 소리가 더 일품이다. 요즈음처럼 선율이 있는 노래로는 가치가 떨어질 수도 있지만, 자탄가조의 소리야말로 인생살이가 그 안에 있기 때문이다.

 

 

울도 담도 없는 집에 시집살이 삼년 만에

시어머니 하시는 말씀 애야 아가 며늘아가

진주낭군 오실 테니 진주남강 빨래가라

진주남강 빨래가니 산도 좋고 물도 좋아

우당탕탕 빨래하는데 난데없는 말굽소리

고개 들어 그곳 보니 하늘같은 갓을 쓰고

구름 같은 말을 타고서 못 본 듯이 지나간다

울도 담도 없는 집에 시집살이 삼년 만에

흰 빨래는 희게 빨고 검은 빨래 검게 빨아

집이라고 돌아와 보니 사랑방이 소요하다

시어머니 하시는 말씀 애야 아가 며늘아가

진주 낭군 오셨으니 사랑방에 들어가라

사랑방에 나가보니 온갖 가지 안주에다

기생첩 옆에 끼고 권주가를 부르더라

 

시집살이는 정말 어렵다. 그런데 그 시집살이 동안 낭군은 어디에 가 있었는가? 그리고 그 간 곳이 왜 하필이면 진주였을까? 이 소리는 우리나라 전역에서 나타난다. 그런데도 왜 하필이면 '진주낭군'이란 표현을 했을까?

 

예전 진주에는 교방청이 있었다. 교방청이란 관아에 속한 무기(舞妓)들을 교육시키던 기관이다. 이 교방청에 속한 무기들은 춤, 소리, 악기뿐만 아니라 글과 그림도 배웠다고 한다. 현재 진주팔검무, 진주교방굿거리, 진주승전무 등의 춤은 모두 이 교방청에서 배울 수 있는 기능 중 하나이다.

 

그런데 이 교방청이 진주에만 있었던 것은 아니다. 아마 이렇게 진주낭군이란 용어가 나오게 된 것은 <고려사 악지>에 보이는 진주의 사록 위제만과, 진주 기생 월정화의 이야기 때문이 아닌가 생각 든다. 고려사 71권 악지에 보면 '월정화는 진주 기생이다. 사록 위제만이 그녀에게 매혹되어 그의 부인이 울화가 나서 죽었다. 진주 사람들이 그 여인을 불쌍히 여겨, 살았을 때 서로 친하지 않았음을 안타까워하고, 사록이 여색에 빠졌음을 풍자한 것이다'라는 기록이 있다.

  

한사모시관에 전시된 베짜는 여인의 인형. 예전 여인들은 밤새 베를 짜 생계를 유지하기도 했다.

 

사랑방에 나가보니 온갖 가지 안주에다

기생첩 옆에 끼고 권주가를 부르더라

울도 담도 없는 집에 시집살이 삼년 만에

이것을 본 며늘아기 아랫방에 물러나와

아홉 가지 약을 먹고서 목매달아 죽었더라

이 말들은 진주낭군 버선발로 뛰어나와

내 이런 줄 왜 몰랐나 사랑사랑 내사랑아

화륫정은 삼년이요 본댁정은 백년인데

내 이럴 줄 내 몰랐다 사랑사랑 내 사랑아

너는 죽어 꽃이 되고 나는 죽어 벌나비 되어

남녀차별 없는 곳에서 천년만년 살고지고

 

이렇게 진주 낭군을 기다리던 본댁은 화류계의 여성으로 인해 죽어 버렸다. 여기서 이 진주낭군이란 소리가, 위제록과 월정화로 인해 창출된 소리라는 것이 믿음이 간다. 우리 여인네들이 부르는 소리에는 남편이 바람이 나면, 그 대상이 화류계 여성이 아닌 첩을 상징하는 '시앗'으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진주라는 지역과 화류계 여인으로 인한 죽음이었다는 것이 진주낭군(진주난봉가)의 이야기다. 이렇게 허무하게 본댁이 죽고, 그나마 그 죽음을 보고 진주낭군이 정신을 차렸다는 것으로 소리가 끝을 맺는다. 하지만 이미 죽고 나서 후회를 한들 무엇 하리. 아마 그 죽음에 대해 책임을 면해보려고 했던 것이나 아닌지 모르겠다.

 

할머니들이 들려주시는 대반전의 소리

 

그런데 이 진주난봉가를 뒤집는 소리가 있다. 반전도 이런 반전이 있다니. 한 마디로 소리의 극치란 생각이다. 이 소리는 진주낭군이 바람을 피웠다는 것은 동일하다. 하지만 진주난봉가처럼 사설도 많지가 않다. 그러면서도 할 말을 다했다. 여기서 나타나는 것은 화류계 여성이 아닌 '시앗'이다. 그 시앗에 미쳐 진주낭군이 돌아오지를 않는다는 것이다. 그래서 본댁은 날마다 모시삼기를 하고, 베를 짜면서 날을 지새운다. 그러다가 편지를 한 장 받았다는 것이다.

 

주야공산 긴긴밤을 전지바탕 마주보고

무릎일랑 걷어제쳐 뽀둑비벼 삼은모시

서울님을 줄것인가 진주낭군 줄것인가

오동잎이 누러질때 감골낭군 줄것인가

편지왔네 편지왔네 진주낭군 편지일세

한손으로 받아들고 두손으로 펼쳐보니

시앗죽은 편지고나 옳다그년 잘죽었다

고기반찬 비리더니 소금반찬 고습구나

 

한산 모시관을 찾아가면 직접 작업을 하는 모습을 볼 수도 있다.


서방인 진주낭군이 보낸 편지를 받아보니, 그 밉상이던 시앗이 죽었다는 편지다. 그래서 고기반찬도 맛이 없던 시집살이가, 소금반찬까지도 고소해졌단다. 참 시앗이 무엇인지. 그 시앗이 죽어 시집살이가 좋아질 것이란 기대와 함께 절로 콧노래가 나온다. 이 정도면 우리소리의 멋이 무엇인지 알만하다.

 

세태가 변하면서 퇴폐산업이 극에 달했다고 한다. 집안에 있는 여인들은 막장드라마를 보면서 은근히 걱정을 하기도 한다. '우리 남편도 나가서 저런 짓을 할까?'라는 걱정 말이다. 그런데 이 소리를 들어보면 그 걱정하던 속이 확 풀린다. 그래서 지난 세월, 우리 할머니들과 어머니들이 참고 살았던 것은 아니었을까? 이 한 소리로 진주낭군의 본댁은 한풀이가 되었을 것이다. 여인들은 그런 맛에 산다. 시앗이 죽었다는 소리를 듣고 싶기도 하고. 그런데 요즈음도 시앗을 보는 간 큰 남자들이 있으려나

사람이 세상을 살다가보면 이런 이야기 저런 이야기 참 많이도 듣게 된다. 그 중에 하나는 남녀사이의 이야기가 사람들의 흥미를 유발하는데는 최고인 듯하다. TV에서 방송되는 남의 집 가정사 역시 정상적인 이야기보다는, 불륜이나 정상적이지 못한 것들이 더 시청률이 높다는 것은 아마도 점점 사람들 스스로가 속물이 되어가고 있다는 것을 뜻하는가 보다.

아마 혹자는 그런 드라마를 보면서 그 주인공이 자신이기를 바라는 바보 같은 사람들도 있을 것이다. 아니면 스스로가 그런 것을 해보고 싶다는 생각을 하거나, 은연 중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드라마 주인공처럼 불륜을 저지르는 사람들도 있을 것이다. 그것이 자신을 억압하고 있는 틀에서 벗어난다고 미련한 생각을 하겠지만, 그 끝은 언제나 파멸이 기다리고 있다는 것을 알고는 있는 것인지.

이 곳에 올린 사진은 기사의 내용과 절대 무관합니다.

택시 기사가 들려 준 충격적인 이야기.

그야말로 영화 속 이야기인 줄 알았다. 그러나 그 일이 실제 한 지역에서 일어난 이야기라니. N시에 가면 개울 가에 두 채의 같은 숙박업소가 나란히 서 있는 것이 보인다. 이상한 것이 없는 법이다. 어딜 가나 요즈음은 쌍둥이 모텔이라는 업자들이 지은 모텔이 있기 때문이다. 이런 모텔들은 외형적으로 같은 모습을 하고 나란히 서 있어, 흔히 쌍둥이 모텔로 불린다.
 
그런데 이 N시에 있는 숙박업소는 남다른 사연을 갖고 있다. 택시를 타고 그 앞을 지나가는데 기사분이 이야기를 한다.

"손님 저 두개 숙박업소가 나란히 서 있는 것 보이세요?"
"예, 왜요?"
"저 숙박업소에 대한 이야기 들어보셨어요?"
"아뇨. 무슨 좋은 이야기 있나요?"
"좋은 이야기가 아니라 황당한 이야기죠. 영화 속에서나 나올만한"

그런 이야길 들으면 갑자기 궁금해진다. 블로그를 하면서 참 이상한 버릇 하나가 생겼다. 바로 무슨 이야기를 들으면 그냥 넘어가질 못한다는 것이다. 끝까지 그 내용을 알아야만 한다. 글을 써야하니까. 이것이 좋은 버릇인지는 모르겠다. 어쩌면 상대방을 피곤하게 할 수도 있으니 말이다.  

이 곳에 올린 사진은 기사의 내용과 절대 무관합니다.

한 자매가 한 남자와 살다니. 세상에 이런 일이

"도대체 무슨 일인데요?"
"저 두 개가 나란히 서 있는 숙박업소의 주인이 친 자매예요"
"그게 이상한 일은 아니잖아요"
그런데 저 두 자매가 한 남자하고 살았다는 것이죠"
"한 남자하고 살다뇨?"

이해가 가질 않는다. 도대체 무슨 이야기인가? 한 남자하고 살았다면, 아버지나 그런 친족관계가 아닐까를 먼저 생각한다. 하기야 그렇다면 이 기사분이 이야길 꺼내지도 않았을 것이다.

" 친 자매가 한 남자를 남편으로 삼아 살았어요. 그래서 저렇게 나란히 숙박업소를 지어서 자매에게 하나씩 준거죠"
"설마요"
"정말이라니까요. 친 자매를 데리고 산 남자도 그렇고. 친 자매가 한 남자를 남편으로 삼아서 산 것도 그렇고. 정말 영화 속에서나 있는 일이죠"

정말 무엇이라고 이야기를 해야할 지 모르겠다. 남자분은 한 때는 이곳에서 상당히 많은 재산을 축적한 분이라는 것이다. 그런데 그 속사정을 차마 물어볼 수는 없는 일이다. 그 나름대로 피치못할 사연이 있을 테니까? 그런데도 우리나라의 정서에서는 그런 일이 일어났다는 것 하나만으로도 대단한 이야기꺼리 임에는 틀림이 없다.  

이 곳에 올린 사진은 기사의 내용과 절대 무관합니다.

세상에는 별별 일이 다 있게 마련이다. 우리가 다 듣지를 못하고 보지를 못해서 그렇지. 남녀사이라는 것이 어디 그리 만만하게 이야길 할 수 있는 일인든가? 다시 한 번 그 쌍둥이 숙박업소를 돌아보게 된다. 그 사람들 사이에는 우리가 모르는 많은 고통이 있지나 않았을까? 참 많은 이야길 듣고사는 세상이라지만, 이런 이야기는 소설 속이나 영화 속에서나 있는 이야기인줄로만 알았는데. 

이런 이야길 들으면 예전에 듣던 이야기가 생각이 난다. 한 남자와 두 여자가 한 집에 살았다는. 그런데 그런 일이야 우리 사회에서는 비일비재한 일이 아니든가. 일부러 자손을 두기 위해 시앗을 두는 일도 많았으니 말이다. 하지만 이렇게 자매가 한 남자를 남편으로 섬기고 살았다는 이야기를 들으니, 정말 황당하단 생각 밖에는 들지가 않는다.

하지만 이젠 나이들이 먹었을 그분들도 편하나 살았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한다. 무슨 사연으로 그리 되었는가는 '잘 모르겠다'는 대답이다. 아마도 우리가 이해할 수 없는 특별한 사연이 있었을 테지. 이야길 듣다가 그 끝을 듣지 못하면 괜한 궁금증만 커지는 것을. 그러나 그 나름대로의 아픔이 있었을 것을 생각하면, 더 이상은 물을 수가 없다. 참 11월의 날씨 한 번 쌀쌀하다. 곧 눈이 내리려나?  

(알림) 어느 분이 문화재를 찾아야 하는데 어디 쳐박힌 줄을 모르겠다고 말씀을 하시길래
이틀을 꼬박 새워 세분으로 하였습니다. 작게 쪼개 분류를 하다보니 참 많이도 돌아다녔다는 생각이....
찾아보기가 조금은 수월해졌을 것 같습니다. 서비스 차원에서 이틀을 꼬박 새웠다는^^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