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택 답사를 하기 위해서 3일에 한번 씩은 답사를 나간다. 예전 같으면 그저 집의 구조를 찍고, 전체적인 정경을 촬영을 하는 것이 고작이었다. 하지만 요즈음은 답사를 하는 방법이 전혀 달라졌다.

 

하나하나 집안 곳곳을 돌아다니고, 조금만 특이한 것이 있으면 몇 장이고 담아온다. 그것을 정리하면서 나름대로 분석을 하고 글을 쓰기 때문에, 답사의 형태가 달라지고 나름 많은 시간이 걸리기 때문이다.

 

 

참 좋은 집이었을 것 같은 고가

 

충청북도 제천시 금성면 중전리. 이 고가를 찾기 위해서 애를 먹었다. 번지가 나오지 않고 중전리라고만 소개가 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큰 길에서 찾아 들어간 중전리. 제법 큰 마을이 형성되어 있는 곳을 찾았다. 마을 분들에게 이곳에 고택이 있느냐고 물어도, 그 누구도 모른다는 한결같은 대답이다.

 

몇 바퀴를 돌아보았지만, 고택 같은 집이 보이지를 않는다. 할 수 없이 돌아 나오다보니 좌측으로 중정리라는 이정표가 또 보인다. 그 길로 따라 들어갔지만, 길은 구불거리고 마을에 집이라고는 몇 채 되지 않는다. 차를 돌리려는데, 저 안쪽 산 밑에 초가가 보인다. 중전리가 지역적으로 넓어, 처음 찾아간 중전리와는 상당한 거리가 있다. 이러니 큰 마을에서는 모를 수밖에.

 

 

중전리 고가는 한 마디로 참 좋은 집이었을 것 같다는 생각이다. 마침 어르신 한 분이 마당에서 작업을 하고 계신다. 집을 좀 찍겠다고 부탁을 드리고 안으로 들어가 보았다. 대문채의 우측을 사랑채로 사용하고, 대문의 좌측은 판자벽으로 막은 두 칸의 외양간과 헛간이다.

 

사랑채는 대문에서 두 칸의 방을 마련하고, 그 끝에 터진 대청을 두었다. 사랑채의 두 칸 방은 앞뒤로 툇마루를 두었다. 주위에 집이 없는 것으로 보아, 이 터진 대청에서 주위의 풍경을 보았을 것이다. 그런데 이 집의 대문채에 지붕은 이어지고 벽이 없이 꺾어진 방들이 있다. 전체적으로는 ㄴ 자형으로 지어진 집이다.

 

 

대문채에 살림방을 둔 중전리 고가

 

중전리 고가의 사랑채가 있는 대문채는 ㄴ 자로 꺾여있다. 그런데 대문 옆에 있는 헛간과 이어지는 부분은 지붕만 있고, 한 칸 정도가 빈 공간이다. 이 공간에는 한데 아궁이가 있으며, 두 칸의 방이 있다. 그리고 까치구멍을 낸 광이 있고, 그 앞에 마루를 놓았다. 이 마루는 안채의 건넌방과 마주하고 있는데, 현재 이 집에 거주하고 계시는 분의 이야기로는 이 사랑채에 연결된 방이 살림방이라는 것이다.

 

집의 구조로 보면 행랑채에 해당하는 형태로 되어있지만, 이 방이 살림방이라는 말에, 안채에서는 살림을 하지 않았느냐고 물었다. 안채는 사람이 살았지만, 안주인이 이 사랑채의 꺾인 방에서 살림을 했다는 것이다. 대문을 들어서 안채로 가려면 판자로 막은 바람벽을 지나야 하기 때문에, 대문을 열어도 직접적으로 안채를 볼 수는 없다. 안채는 ㄱ 자형으로 되어있어, 중전리 고가의 전체적은 구성은 튼 ㅁ 자형을 하고 있다.

 

 

안채의 건넌방에서 살림방으로 연결이 되다

 

중전리 고가의 집의 구조는 남다르다. 일반적으로 건넌방에는  마당 안쪽으로 방문이 나 있는데 비해, 이 안채의 건넌방은 안마당 쪽으로는 문이 나 있지 않다. 그리고 사랑채의 꺾인 날개채의 끝에 달린 마루와 이어지는 곳에 방문이 나 있다. 즉 안채의 안방에서 대청을 지나, 건넌방에서 이 살림채로 동선이 이어진다는 것이다.

 

안채는 건넌방과 두 칸의 대청 그리고 꺾이는 부분에 안방과 있고, 다락을 둔 부엌이 있다. 전체적으로는 6칸의 집이지만, 방은 건넌방과 두 칸인 큰 안방으로 구성이 되었다. 대청 끝 안방의 앞부터 부엌의 까치구멍까지 이어서 툇마루를 놓은 것도 특이한 구성 형태다. 부엌에서 뒷문을 통해 안채의 뒤편에 있는 장독대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것도, 중전리 고가의 색다른 형태이다. 대청의 안방 앞에는 대나무로 시렁을 놓아 병풍을 올려두었다. 우리의 고택 중에는 대나무 시렁을 둔 집이 상당수 있다.

 

 

방앗간이 있는 중전리 고가

 

중전리 고가는 외딴집이다. 금성면 중전리의 큰 마을에서 한참 떨어져 있다. 그래서인가 이 고가의 안채와 꺾은 날개채의 터진 부문 뒤편으로 들어가면, 그곳에 초가로 지은 방앗간채가 자리하고 있다. 방앗간채는 디딜방아를 놓은 곳과, 곡식을 쌓아두는 세 칸으로 구성이 되었다. 산자락 밑에 자리하고 있는 중전리 고가는 안채의 뒤편에 돌로 축대를 쌓고 있어, 나름 운치가 있다.

 

중전리 고가의 사랑채는 원래 초가였다고 한다. 그러나 현재는 기와집으로 꾸며졌다. 또 하나 이 중전리 고가에는 외곽담장을 두르고, 그 안으로 대문을 낸 것도 색다르다. 아마 이 곳에 사랑채를 두었기 때문에, 외곽담장을 둔 것으로 보인다. 사랑채의 외곽담장은 안채의 부엌 끝과 맞물려 있어, 사랑채에서는 안채의 뒤편으로 들어갈 수 없도록 하였다. 현재 중전리 고가는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86호로 지정이 되어있다. 집의 구조는 특이하지만, 원형이 바뀐 것이 중요민속자료에 미치지 못하는 것 같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