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이 말할 때

그이의 머리칼은 날리고 치맛자락은 펄럭인다

바람이 말하지 않을 때

그이의 마을 깃발은 펄럭이지 않는다

 

하늘이 말할 때

그이의 옷은 다 젖는다

그이의 지분이 다 젖고

낙숫물이 분주히 떨어진다

 

꽃이 말할 때

그이의 얼굴이 환히 웃는다

바다 건너 동쪽 땅 어디

온 세상은 파도가 된다. 파도소리가 된다.

 

 

지난 해 수원에 둥지를 튼 고은 시인의 시 세상의 말이라는 시이다. 이 시를 볼 수 있는 곳은 바로 버스정류장이다. 인문학을 지향하는 도시 수원. 인문학은 인간학이라 할 만큼 시민에 대한 사랑과 관심이다. 시민이 풍요로운 생활을 하고 감동하는 삶을 영위할 수 있는 도시를 만드는 것이 바로 인문학 지향의 도시이다.

 

정조대왕의 실증적 도시 수원

 

수원은 정조대왕의 계획도시이다. 정조대왕은 실학정신, 위민정신, 개혁정신을 바탕으로 화성이라는 거대한 도시를 건설했다. 이 정조대왕의 계획아래 세워진 화성은 인문학의 실증적 도시이며 신도시이다. 이러한 인문학의 도시를 지향하고 있는 수원시에는 늘 시민들이 풍성하게 감상할 수 있는 많은 것들이 보인다.

 

 

수원시청 라비에 전시가 되어있는 글들. 인문학을 지향하는 수원에 거주하는 등단시인 30명이 재능기부로 시민들과 함께 공감하고자 작품을 주었으며, 이 글들을 120개 버스정류장에 게첨하였다. 작가들의 재능기부로 마련된 이 버스정류장의 글들은 사람들의 감성을 자극시켜, 인간미와 정이 넘치는 거리를 만들어 가고 있다.

 

 

역시 수원이다.

 

조락(凋落)의 햇살

나뭇가지를 흔들었다.

광교산자락 오래된 절벽

상수리나무 밑에 앉아있는데

바람 속에서

산이 무자화두를 던졌다

나무가 잘 물든 나뭇잎 몇 개를

떨어트렸다

자기들끼리 소리내어 흐르던 물이

나뭇잎을 데리고

더 낮은 곳으로 흘러갔다.

 

수원시인협회 김우영 회장의 산음(山吟)’이라는 시이다. 인문학을 지향하는 도시 수원. 역시 수원은 달랐다. 이렇게 120곳의 버스정류장에 게첨된 시를 재능기부한 작가들은 이미 문단에서도 정평이 나 있는 시인이요, 수필가들이다.

 

수원시는 앞으로도 이렇게 등단 작가들의 좋은 글을 재능기부를 받아, 거리인문학 공간을 더욱 확충해 나갈 것이라고 한다. 이러한 다양한 시책을 적극 전개해 나갈 계획을 세운 수원시가 늘 자랑스러운 이유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