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은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북한강로 등에 위치한 남양주 운길산 수종사 일원을 국가지정문화재인 명승 제109호로 지정하였다고 12일 밝혔다. 수종사는 북한강과 남한강이 합류하는 두물머리 하천경관을 바라볼 수 있고, 운길산 정상에서는 한강은 물론 서울 북동쪽지역의 산지경관을 조망할 수 있다.

 

특히 두물머리는 금강산에서 발원한 북한강과 강원도 태백시의 금대봉 검룡소(명승 제73)에서 발원한 남한강이 합쳐지는 장소로 사계절 시시각각 변하는 풍경이 아름답다. 이 일원은 계절에 따라 신록, 녹음, 단풍, 설경을 감상할 수 있으며, 시간과 날씨에 따라 일출, 일몰, 운무 등 아름다운 풍광을 볼 수 있는 경관가치가 큰 곳이다.

 

 

조선초기의 대문호 서거정도 극찬한 곳

 

조선 초기 학자 서거정(14201488)은 수종사를 동방에서 제일의 전망을 가진 사찰이라 하였으며, 인근에 생가가 있었던 정약용(17621836)은 일생을 통해 수종사에서 지낸 즐거움을 군자유삼락(君子有三樂)’에 비교할 만큼 즐겨 찾던 곳으로 역사문화적 가치가 큰 곳이다. 또 다선(茶仙)으로 일컬어지는 초의선사(草衣禪師, 1786-1866)가 정약용을 찾아와 한강의 아름다운 풍광을 즐기며 차를 마신 장소로서 차 문화와도 깊은 인연이 있는 곳이다.

 

남양주에 두물머리와 수종사가 있다면, 우리 수원에는 광교산과 창성사지가 있다. 수원시 상광교동 산41에 소재한 수원시 향토유적 제4호인 창성사지. 창성사는 고려 말의 국사인 화엄종사였던 진각국사(1305~1382)의 사리탑과 함께 조성이 된, 보물 제14호 창성사지 진각국사탑비가 있던 곳이다. 현재 비는 화성의 방화수류정 가까이에 옮겨져 있다.

 

 

창성사지는 지금도 옛 절터의 석축이 남아있고, 사지 안에는 우물과 함께 여기저기 석물들이 보인다. 이 창성사지는 고려 때의 절터라고만 알려져 있다. 창성사지에 올라 앞을 내다보면 눈앞에 펼쳐지는 산의 능선이 아름답다. 아마도 저런 경치 때문에 이곳을 절터로 잡은 것은 아니었을까?

 

창성사 복원할 수 있을까?

 

지난 511시부터 수원시의회에서는 제302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가 열렸다. 이날 수원시 향토유적 제4호인 창성사지를 문화재 발굴조사를 한다는 안건이 통과되었다. 창성사지는 수원시와 한울문화재연구원의 정밀지표조사를 통해 2008년 대략적인 현황이 파악된 바 있다. 이번 동의안은 수원지역 관련 학술연구의 전문성을 확보하고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책임성 있는 법인 또는 학술연구기관을 선정하여 문화재 조사를 실시한다는 것이다.

 

 

특히 창성사지의 발굴조사는 창성사지의 사역 및 건물지 확인, 보물 제14호인 창성사지 진각국사탑비의 원 위치 주변을 조사하여 창성사지의 가람배치 및 창건시기를 파악하는데 중점을 두고, 향후 연차적 발굴조사 계획 및 복원 정비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한다는 방안 등이 포함되어 있다.

 

만일 창성사지의 문화재 발굴조사가 끝나고 이곳에 옛 건물대로 창성사가 복원이 될 수 있다면, 많은 절터가 있는 광교산도 명승으로 지정을 받을 수 있지는 않을 것인지. 특히 창성사를 오르는 길이나 사지에서 바라다 보이는 정경은 이곳이 명승이 되고도 남을만하다는 생각이다. 물론 이곳을 자주 찾아가고 이곳이 경치를 좋아하는 내 생각일수도 있겠지만.

 

 

문화재청에서 수종사 일원을 명승으로 지정했다는 소식에, 광교산 창성사의 소실이 안타깝다. 보물인 비도 있었던 것으로 보아, 옛 모습을 유추해 내기가 그리 어려운 일도 아닐 듯해서이다. 오늘은 창성사지를 다시 한 번 찾아가보아야겠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