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멸보궁이란 부처님의 진신사리를 모신 곳을 말한다. 이곳에는 법당에 부처님을 모시지 않고, 대신 전각 뒤편에 사리를 모신 탑을 세운다. 우리나라에는 5대보궁이 있는데, 그 중 한 곳이 바로 강원도 정선군 고한읍에 소재한 정암사이다. 정암사는 신라 제27대 선덕여왕 때인 645년에 자장율사가 창건한 절이다.

 

자장율사는 강릉에 수다사를 창건한 후 문수보살을 친견하기를 서원했다. 한 범승이 나타나 대송정에서 만나자고 했다. 이튿날 한송정으로 달려간 자장율사에서 문수보살이 갈반지에서 만나자는 이야기를 전하고 사라졌다. 태백산을 헤매던 자장율사는 사람들에게 갈반지를 물었으나, 아무도 그 지명을 알지 못했다.

 

 

며칠 후 칡넝쿨이 우거진 곳에 뱀이 똬리를 틀고 있는 그렇게 우여곡절 끝에 갈반지를 찾게 되고, 그곳에 탑을 세우려고 했으나 번번이 무너져 버렸다. 그런 후 백일기도를 드린 후 밤에 칡넝쿨 세 가닥이 뻗어 있는 것을 보았다. 그 끝에 세운 것이 바로 수마노탑과 적멸보궁, 그리고 정암사의 법당 자리라고 한다. 당시에는 그 자리에 세웠다고 하여 갈래사라 칭했다.

 

서해용왕이 보낸 마노석으로 세운 탑

 

보물 제410호인 정암사 수마노탑은 서해 용왕이 물 위로 보낸 마노석으로 세웠다고 전해진다. 정암사 적멸보궁 뒤의 산비탈에 세워진 7층의 모전석탑인 수마노탑은 돌을 벽돌 모양으로 깎아 쌓아올린 탑을 말한다. 화강암으로 6단의 기단을 쌓고 탑신부를 받치기 위해 2단의 받침을 두었다. 탑신은 회녹색을 띤 석회암으로 쌓았는데, 표면을 정교하게 잘 정돈하여 벽돌을 사용한 것처럼 보인다.

 

1층 몸돌의 남쪽 면에는 감실(불상을 모시는 방)을 마련했으며, 1장의 돌을 세워 문을 만들고 그 가운데에는 철로 만든 문고리를 달았다. 지붕돌은 추녀 너비가 짧고 추녀 끝에서 살짝 들려있으며, 풍경이 달려 있다. 지붕돌 밑면의 받침 수는 1층이 7단이고, 1단씩 줄어들어 7층은 1단이며, 지붕돌 윗면도 1층이 9, 1단씩 줄어들어 7층은 3단으로 되어있다. 꼭대기의 머리장식으로는 청동으로 만든 장식을 올렸다.

 

 

조선 후기까지 여러 차례 보수한 수마노탑

 

정암사 수마노탑은 벽돌의 일반적인 크기로 보아 그리 거대한 편은 아니지만, 형태가 세련되고 수법 또한 정교한 탑이다. 탑 앞에 놓인 배례석은, 새겨진 연꽃무늬나 안상 등이 모두 고려시대의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 탑신을 구성한 석재는 회록색의 수성암 질석회암으로 길이 30~40cm, 두께 5~7cm로 정교하게 쌓여져 있다.

 

이 석탑은 파손이 심해서 1972년 해체, 복원되었는데, 이 과정에서 탑을 세운 이유를 담은 탑지석이 옥신부터 기단부까지 사이에서 5개가 발견이 되었다. 또한 금, , 동으로 만들어진 사리구가 발견되었다. 이는 조선 후기에 이르기까지 여러 차례 보수되었음을 알려주는 것이다.

 

 

정암사에서 느낀 기운은 맑기만 한데

 

그만큼 시대가 흐르면서도 정암사 수마노탑은 진신사리탑으로의 가치를 지니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현재의 모습이 언제부터 전해진 것인지에 관해서는 여러 설이 있어서 확실하지 않지만, 정암사에 있는 여러 유물과 비교해 볼 때 고려시대에 처음 만들어졌을 것으로 짐작해 볼 수 있다.

 

깊은 가을에 찾아간 정암사. 수마노탑으로 오르는 계단을 걷는다. 마음이 경건해진다. 아마도 탑의 기운이 탑 주변에 넓게 자리를 하고 있는 듯하다. 머리를 조아려 서원을 한다. 무엇이나 이곳에 와서 간절히 서원을 하며 이루어질 것만 같기 때문이다. 일어나 건너편 산을 바라본다. 가을이 짙어가는 산에는 붉은 빛이 여기저기 보인다.

 

그 숱한 시간을 보내면서도 자리를 지키고 있는 수마노탑. 그리고 맑은 물이 흐르고 있는 곳에 자리하고 있는 정암사. 아마 자장율사께서는 수많은 사람들이 이곳에 모여들 것을 미리 예견하신 것은 아닐까? 자장율사가 평소에 짚고 다니던 주장자였다는 주목 한 그루가 저렇게 오랜 시간이 지나면서 회생을 했다고 하니, 정암사야 말로 세상을 다시 살아나갈 사람들에게는 좋은 곳이 아닐는지.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