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공'

 

이란 육신이 살아있는 그대로 허공으로 날아오르면서, 몸은 벗어버리고 영혼만 부처님의 연화세계로 들어가는 것을 말한다. 등공은 염불만일회에서 이루어진다. 염불만일회란 일념으로 염불을 목적으로, 살아서는 마음을 편안히 하고, 죽은 후에는 극락왕생을 기원하는 법회를 말한다.

 

염불만일회의 시작은 신라 경덕왕 17(758, 무술년)에 발징화상께서 원각사를 중수하고 염불만일회를 베푸니, 이것이 한국불교 염불만일회의 효시이다. 이 때 발징화상이 정신, 양순 등 스님 31명과 염불을 드렸는데, 뜻을 같이하는 신도 1,820명이 환희심이 일어 자원을 하였다.

 

 

그 가운데 120명은 의복을, 1,700명은 음식을 시주하여 주야로 쉬지 않고 기도를 하였는데, 신라 원성왕 3년인 787년 염불만일회에서 선행을 닦던 스님 31명이 아미타불의 가피를 입어 극락정토에 다시 태어났으며, 시주를 하던 신도들도 모두 극락왕생을 하였다고 전한다.

 

건봉사 북쪽 금강산에 자리한 등공대

 

건봉사 북쪽에 위치한 등공대는 만일(275개월)동안 기도하시던 스님들이 원성왕 3년인 787년 회향을 할 때, 건봉사를 중심으로 사방 허공으로 몸이 그대로 떠올라 날아가는 기이한 현상이 벌어졌다. 1.5km 정도를 날아오른 스님들은 육신의 허물은 그대로 땅에 떨어트리고, 맑고 밝은 정신만 등공을 한 것이다.

 

 

그 후 세월이 흘러 1900년인 광무4년에 들어, 스님들의 다비식을 거행한 곳을, 몸을 살랐다고 하여 <소신대(燒身臺)>라고 하였다. 소신대는 많은 사람들이 와서 그 뜻을 기려 기도에 정진을 하였는데, 오랜 세월 풍화작용으로 부서지고 허물어져 폐허가 되다시피 했다.

 

이곳에서 기도를 하던 양씨 성을 가진 연대월 보살이 이를 안타깝게 여겨 백원을 희사하고, 기념탑을 세워 봉안할 것을 서원하였다. 이를 가상히 여긴 스님들과 신도들이 동참하매, 순식간에 모인 돈이 천원이 모였다. 갑인년(1914) 4월에 역사를 시작하여, 을묘년(1915) 5월에 역사를 마치고 등공탑을 세워 그 뜻을 만천하에 알렸다. 그 후 소신대를 등공탑이 있다고 하여서 <등공대>라고 불렀다.

 

'휴거'는 건봉사에서 이루어졌다?

 

 

건봉사 등공대는 이렇게 31명의 스님들이 살아있는 몸을 그대로 허공으로 올랐다는 기록이 있어 유명하다. 신라 때부터 많은 스님들이 금강산 건봉사를 수행처로 삼은 점이나, 우리나라의 4대 사찰에 건봉사가 들어가는 것도 다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

 

1915년 세워진 등공탑 비문에 보면(운고 김일우 지음) 절 북쪽 5리쯤에 아직도 몸을 불사른 대가 있는데, 오랜 세월을 겪다보니 꽃이피고 잎이지는 변천을 겪었다. 많은 시일을 보내자니 바람에 닳고 비에 씻길 수밖에 없었다. 그래서 그 폐허에 돌을 포개놓고 구경하게 두매, 산도 이로 인해 무안해 하고, 물도 이 때문에 소리를 삼킬 지경이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만일(萬日)의 정진으로 인해 살아있는 육신 그대로 몸이 떠올라, 1.5km나 위로 올랐다는 기록에 아연할 수밖에 없다. 신라 때에 그러한 일이 일어나 아직도 그 뜻을 기리는 건봉사. 그래서 부처님의 진신사리도 한 때 이곳을 떠났다가 다시 돌아온 것은 아닐까? 오늘 등공대에서 합장을 한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