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애불을 새기기에 적합하지도 않은 바위. 온통 울퉁불퉁하여 조각을 한다는 것 자체가 힘이 들듯하다. 거기다가 마애불을 조성한 아래로는 가파른 수직에 가까운 비탈이다. 그 밑으로는 물이 흐르고 있다. 어떻게 이런 곳에 마애불을 조성한 것일까? 그것도 한 두 구가 아닌 30여구에 이르는 마애불을.

경남 유형문화재 제209호로 지정이 되어있는 산청 도전리 마애불상군은, 산청군 생비량면 도전리 ‘부처덤’이라 불리는 구릉 남쪽의 자연석 암벽에 새겨진 것이다. 현재 약 29구가 남아 있으며, 이들은 울퉁불퉁한 암벽에 4층으로 줄을 지어 새겨놓았다. 1층 14구, 2층 9구, 3층 3구, 4층 3구 등으로 배치되었고 크기는 30㎝ 내외의 소불 형태이다.


뛰어난 조각술, 그 많은 것들을 어느 세월에

소불로 조각된 마애불군은 그 크기가 한자 남짓이다. 대개 연꽃이 새겨진 대좌위에 앉아 있는 소불군은, 선각으로 결가부좌를 한 좌불로 조각을 하였다. 마애불군의 얼굴은 둥글고 단아하지만, 눈, 코, 입의 마멸이 심하다. 아마도 오랫동안 비바람에 씻겨 많이 마모가 된 듯하다. 전체적으로 몸은 사각형이면서도 단정하게 앉은 모습이다.



법의는 양 어깨를 가렸는데, 이런 형태는 신라말기와 고려 초에서 보이는 법의의 형태이다. 아마도 이런 점으로 보아 이 마애불이 조성된 시기도, 신라 말에서 고려 초기일 것으로 추정한다. 좌불들은 비슷한 모양을 하고 있지만, 법의의 모습이나 수인 등 세부표현에서는 다소 차이를 보이고 있다. 수인은 다양하여 선정인과 시무외인, 보주를 받쳐 든 손 등, 다양하게 표현을 하고 있다.

놀라운 모습의 마애불상군

비가 오는 날 찾아간 도전리 마애불상군. 8월 13일의 날씨는 한 마디로 종잡을 수가 없었다. 비가 내리 붓다가도 금방 햇볕에 따갑기도 했으니 말이다. 우산을 받치고 마애불이 자리한 곳으로 갔다. 나무 통로를 조성해, 마애불상군을 보기 좋게 만들어 놓았다. 그런데 마애불이 있을만한 바위가 보이지를 않는다.




통로 끝까지 가보니, 이럴 수가 있나. 울퉁불퉁한 바위 암벽에 작은 소불들이 즐비하게 자리를 잡고 있다. 도저히 조각을 할 수 없을 듯한, 움푹 파인 곳에도 마애불을 조성하였다. 어떻게 이렇게 작은 소불들을 조각을 하였을까? 그것도 조각을 하기에 적합하지도 않은 바위 면에. 그저 놀라울 뿐이다.

서원불로 보이는 마애불상군

작은 마애불 옆에 글씨들이 보인다. 가만히 들여다보니 ‘김○자’. '○○先生'이란 명문들이다. 이 명분들을 보면 각각 소불 옆에 적어 놓았는데, 이런 글이 과연 처음부터 적힌 것인지가 의아스럽다. 통일신라 때부터 고려 초기에 조각된 마애불상군이라면 이런 류의 이름이 보인다는 것이 맞지 않기 때문이다.



아마도 이 마애불상군을 발견한 누군가 이 소불군을 서원불로 삼아 후대에 이름을 음각한 것이 아니었을까? 그러고 보면 여기저기 무엇인가 파려고 했던 흔적들도 보이는 듯하다. 전문적인 연구가 더 되어야만할 산청 도전리 마애불상군. 비가 오는데도 그 앞을 떠날 수가 없다. 선각으로 음각한 좌불 하나하나가, 모두 내 발을 붙들고 있기 때문이다.

해인사의 정 중앙에는 무엇이 자리하고 있을까? 위로는 대적광전이 자리하고 있고, 옆으로는 대광루가 자리하고 있는 중간에 서 있는 삼층석탑 한 기. 이 석탑은 신라시대 해인사를 처음 창건할 당시에 세운 것으로 전해진다.

석탑이란 원래 부처님의 사리를 모셔 놓은 곳으로, 부처님과 동일시하던 신표였다. 그러나 후에는 사리와 경전, 소물 등을 모셔두고 예경을 하는 곳으로 반전을 하게 된다. 이 해인사 중앙에 자리한 정중 삼층석탑은 불상을 모셔 놓고 있다. 9세기 신라의 전형적인 삼층석탑의 모형을 그대로 갖추고 있는 소중한 탑이다.


공간 마련을 위해 한 옆으로 비켜서다

정중앙에 있다고 해서 ‘정중 삼층석탑’ 혹은 ‘정중탑’이라고도 하지만, 이 탑은 마당의 정 가운데 있는 것이 아니다. 해인사 안마당의 중심축에서 6m 정도 동쪽으로 치우쳐 자리하고 있다. 이는 구광루를 지나 대적광전으로 오르는 사람들의 시야를 확보하고, 공간을 넓게 보이기 위해서이다.

정중삼층석탑은 신라시대의 전형적인 석탑이다. 정중삼층석탑은 2중 기단과 5단의 옥개받침을 둔 전형적인 신라의 석탑이지만, 1926년에 중수하는 과정에서 기단을 확장하여 높이를 높여놓았다. 1926년에 탑을 중수할 때 상층 기단의 석함 속에서 소불상 9구가 발견되었는데, 석탑을 중수한 후에 다시 석탑 안에 봉안하였다고 한다.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는 삼층석탑

이 정중 삼층석탑은 전체적으로 볼 때, 신라 석탑의 기본 형식이 잘 나타나 있다. 조각 수법 등으로 미루어 볼 때, 통일신라 말기인 9세기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석탑의 높이는 6m로 큰 탑에 속하며, 화강암으로 만들어졌다. 3층 기단 위에 3층 탑신이 있고, 상륜부에는 노반, 앙화, 구륜과 보주가 남아있다.

원래는 이 석탑은 2층 기단이었으나, 1926년 중수할 때 1층이 더해졌다고 한다. 기단부는 상층 기단 양쪽에 우주와 장주를 하나씩 모각했으며, 탑신에는 우주 이외의 별다른 조각이 없다. 소박하면서도 위엄을 잃지 않고 있는 해인사 정중 삼층석탑. 후대에 설치한 옥개석의 풍경이 달려 있어 옅은 바람에도 풍경소리가 울린다.



해인사 정중 삼층석탑. 보는 것만으로도 고맙다. 다만 한 가지 아쉬움이 있다면, 석탑을 보존하기 위해 가장자리에 들러 친 석조물이 석탑의 아름다움을 반감시키고 있다는 점이다. 역시 우리 문화재는 있는 그대로가 가장 아름답다는 것을 또 한 번 느낀다.

도선국사가 처음으로 절을 지었다는 만복사지. 이 만복사지 안으로 들어가면 동편에 높다랗게 서 있는 5층 석탑이 보인다. 그 옆으로는 석불을 모신 전각이 있어, 5층 석탑을 찾기가 수월하다. 보물 제30호로 지정이 되어있는 만복사지 5층 석탑은 아무리 둘러보아도 일반 석탑과는 다른 형태로 꾸며져 있다. 모르는 사람들이 보기에는 여기저기 널린 석탑의 부재들을 한 곳에 쌓아 놓은 듯하기도 하다.

원래 만복사에는 절터 중앙에 목탑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1979년부터 1985년까지 7차에 걸친 발굴조사 때 많은 건물지와 다수의 유물이 발견되었으며, 5층 석탑은 현재 4층까지만 남아있고, 5층 이상은 모두 없어진 상태이다.


몸돌을 괴기 위한 네모난 돌

탑의 받침대 역할을 하고 있는 하층 기단부는 2단으로 얇게 조성을 했으며, 그 위에 우주를 새긴 커다란 돌을 올린 상층 기단부가 자리하고 있다. 몸돌은 1층이 대단히 높고, 2층 이상은 약 3분의 1로 크기가 급격히 줄어들었다. 몸돌에는 모서리마다 기둥 모양인 우주를 조각하였고, 지붕돌은 밑면 전체가 위로 들려 있다. 이러한 형태는 마치 목조건축의 지붕을 보고 있는 듯하다.

아무리 보아도 일반적인 석탑과는 무엇인가 다르다. 석탑을 몇 번을 돌면서 무엇이 이 석탑의 특이한 점인가를 찾아본다. 바로 저것 때문이다. 각 지붕돌 위에 몸돌을 괴기 위한 별도의 네모난 돌이 하나씩 끼워져 있는 것이 보인다. 그 네모난 돌로 인해 석탑의 모형이 일반적인 5층 석탑과는 판이한 모습으로 서 있다. 이런 형태는 당대 석탑의 특징을 보여주는 한 예라고 하지만, 쉽게 찾아볼 수가 없다.




몸돌 삼층에 특이한 형태의 감실이 있다. 만복사지 5층 석탑은 고려 문종 때인 11세기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한다. 1968년 이 탑을 보수하다가, 탑신의 1층 몸돌에서 사리장치가 발견되기도 하였다. 그런데 이 5층 석탑의 또 다른 특징은 3층 몸돌의 사방에 작은 소물을 모셔놓았던 감실이 있다는 점이다. 감실의 경우 이렇게 탑의 상부에 두는 경우가 잦지 않아, 이러한 감실 하나에서도 만복사지 5층 석탑의 특이함을 엿볼 수가 있다.




이 감실은 그다지 크지가 않다. 3층의 몸돌 자체가 그리 큰 돌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런데 그 3층 몸돌의 사방에 겨우 소불 하나가 들어갈 만한 감실을 내었다는 점이 특이하다. 아마 이곳에서 사리함이 발견되었다는 것으로 보아, 사리함을 지키기 위한 소불을 모시느라 조성한 감실로 보인다.

많은 문화재들. 그 나름의 특징과 멋을 자랑하는 문화재야 말로, 우리가 이 시대에 온전히 보존해야 할 문화자산이다. 만덕사지를 찾아 또 하나의 특이한 보물을 발견했다는 것과, 조금은 그 특징에 대해 알았다는 것에 희열을 느낀다. 그래서 땀을 흘리며 걷는 답사 길은, 늘 기대에 차 있는가 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