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는 이 나라에 태어나지 마라 사랑하는 아들아!"
연화장!!
수원시 연화장은 이 세상을 떠난 고인들을 화장하는 곳입니다
이 연화장은 요즘 젊은 채 피지도 못한 꽃들이 이승을 하직하는 장소가 되어버렸습니다
안산 단원고등학교의 학생들이 수학여행길에서 참변을 당한
세월호의 아픔은 날마다 계속되고 있습니다.
가족들의 아픔을 무엇이라고 위로를 할 수 있을까요?
그리고 누가 그 아픔을 감당할 수 있을까요?
전 국민이 모두 슬퍼하지만 그 중에 이상한 인간들도 있습니다
그저 터진 아가리라고 마구 지껄여대는 사람들
그들도 자식들이 있을 텐데 말입니다
그 사람들...
과연 자기 자식이 세월호에서 참변을 당했다고 해도 그리 지껄여댈까요?
"다시는 이 나라에 태어나지 마라"
"내 새끼를 살려주세요
내가 세상을 잘못 산것이 있으면 차라리 나를 데려가세요
그리고 우리 아이를 돌려주세요
그 어린 것이 얼마나 춥고 무서움에 떨었을까요"
한 어머니의 절규입니다.
벌써 10여일이 다 돼갑니다
히지만 아직도 물속에서 뭍으로 나오지 못한 아이들이 있습니다
죽은 혼백이라도 있다면 얼마나 무능한 어른들을 탓하겠습니까?
정말로 고개를 들지 못하고 살 것만 같습니다.
"아들아 다시는 이 나라에 태어나지 마라"
어머니의 절규입니다. 믿을 수 없는 나라가 되어버렸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잠수를 하면서 어린 학생들의 시신을 찾아냈지만
결국 단 한 명도 생존자를 구하지는 못했습니다.
정말 미안하다. 얘들아 할말이 없구나
정말 할 말이 없습니다.
입이 있다고 한들 무슨 말을 할 수 있겠습니까?
이 나라를 이렇게 만들어버린 장본인들입니다
백배사죄를 한들 그 아이들이 살아오겠습니까?
아무리 슬퍼한 들 그 부모, 형제들의 아픔보다 더 하겠습니까?
절말 부끄럽고 또 미안합니다.
다시는 이 나라에 태어나지 말라는 어머니의 당부
정말 가슴이 미어집니다.
얘들아 저 세상에서는 고통스럽고 춥지말고 평온하게 살아라.
무예24기 상설공연시 ‘노란 리본’ 착용
"단 한명의 생존자라도 찾기를 염원합니다."
수원문화재단(이사장 라수홍)은 수원화성행궁 신풍루 앞에서 진행하는 ‘무예24기 시범’과 관련해, 세월호 침몰 사고에서 단 한 명의 생존자라도 찾기를 염원하는 의미에서 노란 리본을 왼팔에 착용한 후 공연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수원문화재단은 세월호 침몰 사고와 관련해 야외 공연 등의 행사를 취소 및 연기했으며, 무예24기 시범공연은 세월호 희생자에 대한 애도와 무사귀환을 기원하는 인사말을 시작으로 엄숙하면서 차분하게 진행하고 있습니다.
노란 리본은 전쟁터에 있는 사람의 조속한 무사귀환을 바라는 뜻으로 노란 리본을 나무에 매달은 것에서 유래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