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부란 비석받침을 말한다. 비를 세울 때는 밑에 비석받침은 거북이의 몸체를 이용한다. 신라시대의 귀부는 거의가 거북의 현상을 그대로 표현하고 있다. 그러나 통일신라에서 고려를 거치면서 귀부는 상당한 변화를 가져온다. 몸체는 거북이의 몸체에, 얼굴은 용의 얼굴을 하고 있는 형태로 바뀐 것이다.

 

비란 어떤 인물의 사적을 기록하거나, 벌어진 일을 적는 것이 보편적이다. 하기에 비석받침인 귀부는 딴 석조물에 비해 상당히 무겁게 조형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귀부는 비석의 받침으로 이용을 하고, 그 위에 비를 세우게 되며, 머릿돌인 이수에는 용을 조각하는 것이 보편적인 비의 형태이다. 그러나 예전 비의 모습을 보면 이런 통상적인 비 받침의 형태를 벗어나는 것들도 있다.

 

 

머리가 비뚤어진 귀부, 무슨 이유인가?

 

부여군 부여읍에 자리하고 있는 부여국립박물관 경내에는 많은 석조물들이 전시가 되어있다. 탑과 석조불상 등, 그리고 각종 석물로 된 옛 자료들을 진열해 놓았다. 그런데 그 중에 귀부가 보이는데, 우리가 흔히 보아오던 비석받침과는 동떨어진 모습들이 보인다. 한 마디로 해학적이기까지 하다.

 

서천군 군사리에서 발견이 된, 고려시대인 11~13세기 조성된 귀부가 있다. 거북의 등껍질인 육각형의 형태로 조성이 되었다. 그리고 등에는 육각형 문양 외에 나뭇잎과 같은 무늬가 둘러쌓고 있는 모습이 보인다. 보물인 구례 연곡사 동부도에는 날개와 같은 조각이 보이기도 하지만, 이 서천 군사리의 귀부 등에는 나뭇잎과 같은 조각이 보인다.

 

 

얼굴의 형태는 고려시대의 귀부에서 흔히 보이는 험상궂은 용의 안면이 아니다. 그렇다고 거북이의 안면도 닮지 않았다. 얼핏 보면 장승의 해학적인 모습과도 같은 모습이다. 거기다가 얼굴이 똑바로 놓이지도 않았다. 약간은 삐뚤어진 형태가 해학적이다. 발은 거북이의 발이라기보다는 구부러진 것이 용의 발을 닮았다.

 

누워버린 귀부의 얼굴

 

박물관 한편에는 많은 석조물을 모아놓은 곳이 있다. 이곳에 잇는 귀부는 조악하기가 이를 데 없다. 몸체는 네모나게 조형이 되었으며, 등에 흔히 표현을 하는 육각형의 귀갑문도 보이지 않는다. 그저 몸체를 네모나게 조각을 했는데, 목은 한편이 땅에 닿도록 비틀어져 있다. 얼굴은 거북도 용도 아닌 해괴한 모습이다.

 

 

이런 비석받침과는 대조적인 비석받침도 있다. 조각이 난 채로 전시가 되어있는 사실적인 비 받침은, 보령시 성주면 성주사 터에서 발견이 된 비석받침으로 통일신라시대에 조성된 것이다. 이 비석받침은 머리와 몸의 일부가 없어졌으나, 다리와 등 보양이 사실적이면서도 힘이 있게 조성이 되었다.

 

이런 귀부의 형태에서 알 수 있는 것은 통일신라시대의 석조각의 형태와, 고려시대 지방 장인에 의해 조형된 형태의 차이를 알 수 있다는 점이다. 그저 재미로 보고 웃고 넘어갈 수 있는 귀부이긴 하지만, 그 안에 우리들의 마음이 있는지도 모르겠다. 그렇게 대단할 수 없는 사람들의 비석받침은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이다.

 

 

혹 대단하지 못한 세상을 산 것에 대한, 스스로의 자탄 때문에 이런 조각을 한 것은 아니었을까? 아니면 당시 지금의 세대가 모든 것이 제자리를 찾지 못해, 제대로 보려고 그렇게 누웠을까? 빗뚫어지고 고개를 돌려버린 비석받침. 그런 비석받침을 보면서 스스로를 반성하는 기회를 삼는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