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에서 가장 견고한 구간은 바로 화서문(서문)과 장안문(북문) 사이일 것이다. 우연히 이곳의 야경을 보게 된 후 화성의 진가를 알았다고 한다면, 그럼 지금까지 자랑 질을 한 것은 무엇이냐고 묻는 분들도 계실 것. 하지만 화성이야 전 구간이 다 아름답지만, 특히 화성의 견고함을 보려면 서문과 북문 사이를, 그리고 아름다운 야경을 보려면 이곳에서 방화수류정까지 일 것이다.

 

화성을 겉돈다는 것은 어찌 보면 무미할 수도 있다. 성 밖으로 보이는 성벽과 치성 위에 올려 진 구조물들. 그 외에 무엇이 있느냐고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화성은 단순히 성벽과 치성위에 올린 구조물이 다가 아니다. 화성은 이야기를 할 수 있는 몇 곳 안 되는 성이기 때문이다.

 

 

자연의 아름다움을 더한다.

 

공심돈, 우리나라의 많은 성곽 중 유일하게 화성에만 있는 축조물이다. 1796년 3월 10일 완공한 서북공심돈. 공심돈이 완공을 한 이듬해인 1797년 3월, 서북공심돈을 둘러 본 정조는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만든 것이니 마음껏 구경하라”고 이야기를 했다는 것이다. 서북공심돈은 그 건축물의 우수성과 역사성을 인정받아, 2011년 3월 3일에 보물 제1710호로 지정이 되었다.

 

원래 화성에는 모두 세 곳의 공심돈이 있었다. 서북공심돈과 동북공심돈, 그리고 남공심돈이다. 하지만 현재 남공심돈은 사라지고, 동, 서북공심돈만이 남아있다. 공심돈은 높은 곳에 올라 적의 동향을 살피고, 공격하기 위한 시설이다. 공심돈의 형태는 특이하게 조성해, 마치 화성 안에 작은 고성(古城) 하나가 자리를 잡은 듯하다.

 

 

높은 성벽과 견고한 전각들

 

이곳의 성벽은 견고하다, 그리고 어느 곳보다 높다. 이곳은 평지에 축성을 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높게 쌓아올렸다. 그리고 적의 공격을 대비하기 위해 화서문서부터 장안문 사이에 북포루와 북서포루를 마련했다. 북포루(北鋪樓)는 병사들이 쉴 수 있는 공간이다. 야경으로 보는 북포루는 절로 감탄이 나온다.

 

화성의 구조물인 '포루(鋪樓)'의 설명을 보자. 「성서(城書)에 이르기를, '치성의 위에 지은 집을 포(鋪)라 한다'고 하였다. 치성에 있는 군사들을 가려 보호하려는 것이다. 치성은 성 밖으로 18척 5촌이 튀어 나왔는데, 외면의 너비는 24척이고, 현안 1구멍을 뚫었다. 5량으로 집을 지었는데, 판자를 깔아 누를 만들었다. 7영 3간이고, 높이는 여장 위로 6척 8촌이 솟았는데, 전체 높이는 13척이다.

 

여장의 3면은 모두 벽돌을 사용하였고, 여장 안은 벽 등을 이중으로 쌓았는데, 아래 위에 네모난 총안 구멍 19개(사방 각 9촌), 누혈 11개(사방 각 4촌)를 뚫어 놓았다. 누의 위 4면에는 판문을 설치하고 외면과 좌우에는 사안을 내어 놓았다. 내면에 벽돌 층계를 설치하여 오르내리게 하였다. 단청은 3토를 사용하였고, 들보 위는 회를 발랐다.」고 하였다.

 

 

어찌 화성을 무시할 것인가?

 

화성에서 가장 중요한 공격 시설은 성 5곳에 조성한 '포루(砲樓)'이다. 화성의 포루는 성벽의 일부를 밖으로 돌출시켜, 치성과 유사하게 축조하면서, 내부를 공심돈과 같이 비워 놓았다. 이는 그 안에 화포 등을 감춰 뒀다가 위·아래와 삼면에서 한꺼번에 공격할 수 있도록 한 시설이다.

 

포루는 3층으로 축조가 되었는데, 지대 위에는 대포를 발사하기 위해 뚫어 놓은 구멍인 '혈석(穴石)' 을 전면에 2개, 좌우에 3개씩 놓았다. 야경으로 보는 북서포루는 근처에 다가서기도 힘들 듯한 위용을 자랑한다. 아마 이런 모습을 달빛에 적이 보았다면, 그 모습만으로도 혼이 백리나 달아났을 듯.

 

 

그렇게 야경에 취해 제대로 걸음조차 옮기지 못한다. 이렇게 아름다운 정경을 보면서 걸음을 빨리한다는 것은 화성을 무시하는 행동이라는 생각이 들기 때문이다. 저만큼 장안문이 보인다. 그러나 그곳까지 걸어갈 수가 없다. 이곳에서 좀 더 이 아름다운 밤경치를 보고 싶기 때문이다. 비가 멈춘 밤하늘이 구름 사이로 얼굴을 내민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