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 행궁은 마치 미로처럼 연결이 되어있다. 문이 여기저기 수도 없이 많이 있어, 문 하나를 잘못 들면 이상한 곳으로 들어가기도 한다. 처음 화성 행궁을 찾는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이야기를 하는 말이다. “다 비슷비슷해서 특별한 곳이 없다”는 말이다. 물론 건축의 기법이 비슷하니 다 같게 보일 수도 있다. 하지만 행궁의 건물 하나하나는 그 용도가 다 다르다.

화성행궁은 처음부터 별도의 독립된 건물로 일시에 축조된 것이 아니다. 행궁과 수원부 신읍치의 관아건물을 확장, 증측한 것이다. 정조 13년 7월부터 현륭원 천봉을 앞두고 대대적인 구읍치의 관아와 민가의 철거작업이 시작되었다. 그리하여 화성행궁은 팔달산 기슭 아래로 신읍치를 이치하기 시작한 지 2개월 뒤인 정조 13년 9월 말에는, 벌써 신읍에 조성된 관아 건물은 424칸이나 되었다.


화성 행궁 안에 자리한 서리청(위)과 비장청(아래)


행궁을 비롯한 전각이 500칸을 넘어

당시에 행궁 27칸을 비롯하여, 삼문 5칸, 좌변익랑 9칸, 우변익랑 6칸, 서변행각 5칸, 서상고 10칸, 중문 5칸, 내아 34칸, 중문 4처, 객사 20칸, 중문 2처, 향교 51칸, 중문 1처, 군수고 19.5칸, 공수 7칸, 관청 5칸, 창사 60칸, 각처 담장 278칸 등에 이르렀다. 그 뒤 공사는 계속되어 정조 20년에는 화성행궁이 모두 576칸의 규모를 갖게 된 것이다.

정조는 왕위를 양위하고 난 후 이곳에서 어머니인 혜경궁 홍씨를 모시고 여생을 보내려고 하였다. 또한 이곳을 자신이 추구하던 강력한 왕권의 구심점으로 삼으려고 했을 것이다. 화성 행궁 곳곳에는 그러한 정조의 구상을 엿볼 수 있는 건축물들이 곳곳에 남아있다. 아마도 서리청이나 비장청도 그 중 한 곳이었을 것이다.

 

서리청(위)과 비장청(아래)의 현판


수라간으로도 사용한 서리청


서리는 문서의 기록 및 수령, 발급을 담당하는 아전을 말한다. 서리청은 바로 그 아전들이 사용하는 건물이다. 비장청 앞에 위치했으며 남향이다. 예전의 ‘금도청(禁盜廳)’ 건물을 이청으로 쓰게 하고, 그 건물을 증축하여 사용하였으며 1795년 을묘원행시에는 수라간으로 사용하기도 하였다. 현재의 건물은 2007년 복원하였다.

서리청은 남군영에서 문을 통해 들어갈 수가 있다. 하지만 서리청의 본 문은 5칸의 전각과 마주하고 있는 솟을삼문에 있다. 솟을삼문은 ㄱ자 형으로 되어있으며 중간에 솟을문을 중심으로 우측에 두 칸의 방을 드리고, 한 칸의 문, 그리고 한 칸의 방과 대청을 두었다. 그리고 꺾어진 부분에는 방과 부엌, 그리고 두 개의 방이 있다. 대문채는 모두 9칸이다.


서리청(위)와 비장청(아래) 전각의 측면. 같ㅇ는 5칸이지만 비장청은 서편 한 칸을 마루를 드렸다


화성유수부의 비장들이 묵는 비장청

비장은 관찰사나 절도사 등 지방관이 데리고 다니던 막료이다. 조선 후기에는 방어사를 겸한 수령까지 모두 비장을 거느리는 것을 관례화하여, 민정 염탐을 시키기도 하였다. 비장청은 화성 유수부의 비장들이 사용하던 건물로, 서리청을 지나 외정리소 앞에 있는 남향 건물이다. 원래는 정조 13년인 1789년에 세웠는데 정조 20년인 1796년에 서리청 건물을 수리하고 비장청으로 변경하여 사용하였다.


서리청의 솟을대문과(위) 비장청의 솟을디문(아래). 모두 9칸 ㄱ자로 되어있다


비장청의 규모도 서리청과 흡사하다. 하지만 비장청의 다섯 칸의 건물이지만, 서편 한 칸은 마루를 놓았다. 비장은 조선 시대, 감사나 유수, 병사, 수사, 혹은 견외 사신을 따라다니며 일을 돕던 무관을 말한다. 서리청과 비장청은 각각 하나의 기관으로 독단적인 전각을 갖고 있었음도 주시할 만하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