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이 사는 것은 제각각이다. 어느 누구는 치부를 자랑으로 사는가 하면, 어느 누구는 청빈한 삶을 살기도 한다. 명성을 찾는 이가 있는가하면, 자신의 할 일만 죽어라 하고 하는 사람들도 있다. 어떤 인생이 성공을 했는가는 후세의 사가들이 기록을 한다고 하니, 사람마다 한평생을 산다는 것이 녹녹치가 않다는 생각이다.

함안군 군북면 원북리에는 생육신의 한분인 어계 조려선생(1420 ~ 1489)의 생가가 있다. 단종의 폐위에 벼슬을 버리고 낙향한 뒤, 이곳에 내려와 은거를 하면서 살았던 집이었을 것이다. 건물이 그 때에 지은 것인지는 확실치가 않지만, 아마도 그 집 자리에서 몇 번은 보수를 한 듯하다.


청빈한 생활 그대로

울안에는 수령 500년의 보호수가 한 그루 서 있다. 어계 조려선생이 이곳으로 낙향한 시기와 흡사하다. 아마 집을 짓고 난 뒤, 이 은행나무를 심었는지도 모르겠다. 높이 20m에 둘레가 3,4m나 되는 적지 않은 나무이다. 단종이 영월에서 사약을 마시고 세상을 떠난 뒤, 그 시신을 거두어 장례를 치룬 분이 바로 어계 선생이다.

당시 사약을 받고 청령포에 시신을 버렸다고 일설에 전하고 있다. 그 시신을 수습하고 위폐를 동학사에 모신 후 이곳으로 내려왔다. 낙향한 어계선생은 일체 좋은 음식을 먹지를 않고, 고사리와 풀만 먹었다고 전한다. 수양산으로 들어간 백이, 숙제와 같은 생활을 한 것이다. 그래서인가 그 뒤편 산의 명칭도 백이산이라고 한다.




어계선생의 생가는 단출하다. 당시 벼슬을 한 사람들의 집이 고래등 같은데 비하면, 기와집이라고는 하지만 초막과 다를 바가 없다. 현재 전하는 집은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59호로 지정이 되어있다. 집은 대문채와 재실로 사용하고 있는 원북재, 그리고 뒤편에 있는 사당으로 구성되어졌다.

대문 위에 걸린 충신지려

어계생가를 들어가려고 솟을대문 앞으로 다가섰다. 대문 위에 현판이 걸려있다. 충신지려이다. <충신 증 이조참판 조려지려>라 적혀있다. 생육신의 한분이었으니, 충신이었음에 이의를 달 사람은 없다. 대문을 들어서면 원북재라는 편액이 보인다. 이 원북재를 재실로 보고 있다. 살림집이 아닌 재실로 보는 까닭은 부엌 등을 갖추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재실은 정면 네 칸, 측면 두 칸의 팔작집이다. 양편에 한 칸씩의 방을 드리고, 가운데는 두 칸 대청을 놓았다. 별난 것도 없는 검소한 고옥이다. 이 원북재는 사랑으로 사용을 했을 것 같다. 두 단의 축대 위에 지은 원북재. 그 집에서 조려선생의 마음을 읽을 수가 있다. 조금의 화려함도 찾아볼 수가 없는 집이다.

원북재 뒤편에는 사당이 있다. 뒤편으로 돌아가면 삼문이 있고, 그 뒤편에 대나무 숲을 뒤로 한 사당이다. 사당은 세 칸으로 되어있으며, 주변을 돌담으로 둘렀다. 사당에서는 조려선생과 부인의 항례가 행해진다고 한다. 아마도 이 사당에서 제를 올리기 위한 집이기에, 원북재라는 이름을 붙인 것이나 아닌지 모르겠다.


담장에 붙어있는 집, 안채가 아닐까?

조려선생 생가 곁에는 또 한 채의 집이 있다. 따로 담장을 쌓고 문을 내었는데, 주추 등으로 보아 조려선생 생가와 년대가 비슷한 것으로 보인다. 할머니 한 분이 계시는데, 집에 대해서는 자세한 대답을 들을 수가 없다. 이 집은 네 칸으로 지어진 팔작집이다. 기단은 시멘트로 발라놓아 정확한 모습을 알기는 어렵다. 정면 네 칸, 측면 두 칸으로 지어진 이 집은 우측 한 칸을 내달았다.

집을 바라다보면서 부엌방과 안방, 한 칸의 대청, 그리고 높임마루를 둔 건넌방이 있다. 집을 한 바퀴 돌아보니 부엌이 딸린 방 벽 밑에는 창불을 때는 아궁이가 보인다. 주추도 마름모꼴로 조성을 하였다. 여느 일반집 같지는 않다. 아마도 조려선생 생가의 안채는 아니었을까? 할머니에게 말씀을 드려보았지만, 시원한 대답은 들을 수가 없다.




전체적으로 어계 조려선생의 생가는 일반적인 집 구조와는 다르다. 선생의 평소에 청빈한 삶이 그대로 배어있다. 아마도 사랑채가 없는 것은, 바람 부는 청풍대를 사랑채로 사용한 것은 아니었을까? 오늘따라 어계선생에게 죄스런 마음이 든다. 날마다 커져가는 집들을 자랑하는 세상사가.


예전의 선인들은 무엇인가를 남기고 가는 것을, 큰 자랑으로 여겼나보다. 물론 민초들이야 먹고살기도 바빴으니, 그런 것을 생각할 여유도 없었을 것이다. 민초들의 삶이라는 것이, 그저 양반네들에게 매일 뜯기고 찢기다가 일생을 마쳤을 테니까. 그러나 양반네들은 자신이 살아생전에 어떤 삶을 영위했는가에 대해, 그 흔적을 곧잘 남겼다는 생각이다.

그런 자신의 생애를 가장 잘 표현한 것들 중에는, 많은 정자가 있다. 정자란 쉽게 무너지지도 않거니와 많은 사람들이 찾아드는 곳이다가 보니, 자연 정자에 자신의 살아 온 흔적을 남기기를 즐겼다는 생각이다. 우리나라의 정자는 영남지방에 상당히 많은 편이다. 아무래도 조선조 전 시대를 영남지방의 반가들이 득세를 하고 있었기 때문이기도 하다.


생육신의 한분인 어계 조려선생을 기억하다

경상남도 함안군 군북면 원북리는 생육신의 한분인, 어계 조려선생의 자취가 남아있는 곳이다. 조려 선생은 단종이 숙부에 의해 사약을 받고 영월 땅에서 죽임을 당하자, 영월까지 가 그 시신을 수습하고 낙향을 하였다. 그 위폐를 동학사에 모셔놓고 백이산 아래에 은거를 하였다고 전한다.

원북리 앞을 지나는 지방도 옆에는, 정자가 한 채 서 있다. ‘채미정(菜薇亭)’ 말 그대로이다. 백이산 아래에 은거한 조려선생은 풀과 고사리로 연명을 하면서 살았다고 전한다. ‘채미'란 백이와 숙제가 주나라 무왕을 섬기는 것을 수치로 알고, 수양산으로 숨어들어 풀과 고사리만 먹다가 아사를 한데서 유래한다.



조려선생은 백이, 숙제와 같은 뜻을 품고 이곳에서 은거를 하면서, 좋은 의복과 좋은 음식을 거들떠보지도 않았다고 한다. 그러한 충절을 기리기 위해 지은 정자가 바로 채미정이다. 채미정은 정자로서의 아름다움보다, 그 안에 숨은 뜻이 더 아름답다는 생각이다.

무너져 내렸던 채미정

한 10여년이나 되었을까? 이곳으로 답사를 나갔다가 우연히 채미정을 들렸다. 인근에 있는 방어산 마애불을 답사하러 갔다가 들린 곳이다. 당시에는 잡풀이 우거지고, 정자는 쇠락한 상태였다. 그러나 이번에 지나는 길에 들린 채미정은, 말끔히 손질이 되어 있었다. 다만 한 가지 아쉬운 것은, 정자 앞에 수백 년 묵은 은행나무가 보이지 않는다는 점이다.

다 쓸어져가는 대문은 없애버리고, 대신 한편에 일각문을 내었다. 그리고 앞으로는 10여대나 차가 설만한 주차공간도 만들었다. 정자도 말끔히 정리를 하고, 주변도 정리를 하였다. 채미정은 1735년에 처음으로 지었으니, 300년 가까이 되었다. 근처에는 생육신을 향사한 사액서원인 서산서원이 자리하고 있다.




그 뜻이 더 아름다운 채미정

일각문을 들어서면 앞으로는 연못이 있다. 정자에 걸린 현판 중에서 가장 눈길을 끄는 것은 순흥 안용호 선생이 지은 채미정 중건기문이다. 그 기문에는 이런 글이 적혀있다.

함안읍성 서쪽 삼십리 지경 하늘에 닿을 듯 높이 솟은 산이 백이산인데, 그 산 서편에 있는 동리가 원목이다. 동천복지답게 명려하고 맑은 물이 흐르고 기름진 옥야는 가히 밭 갈고 은거할만한 곳으로...(중략) 선생은 단종조에 진사시에 합격하여 래학관에 계시다가 을해년 왕위찬탈의 화를 만나 재생들과 하직하고 고향에 돌아와 충의와 절개를 지켰던 생육신의 한분이시다.(하략)

이러한 선생의 충절을 되새기고 잊지 않기 위해 건립한 것이 바로 채미정이다. 역사 속에 남아있는 정자가 아름다운 것이 아니라, 채미정이 지니고 있는 조려선생의 충절이 아름다운 것이다.


채미정은 정면 네 칸, 측면 세 칸이다. 중앙에는 방을 드렸는데 판벽으로 처리를 하였다. 창호 위에는 작은 밀창을 사방으로 두었다. 정면으로는 원형의 기둥을 두고, 측면으로는 사각기둥을 배열하였다. 누마루를 방의 주변에 깔아, 사방으로 편안하게 밖을 볼 수 있도록 하였다. 아마도 이곳에서 있기가 답답하면, 위편에 있는 청풍대에 올라 바람을 쏘였을 것이다.

청풍대(淸風臺)와 문풍루(聞風樓)에는 소식조차 돈절한데

채미정 우측으로는 깎아지른 듯한 암벽이 있다. 그 위를 청풍대라고 이름지었다. 그리고 뒤편에는 작은 정자 하나가 더 있다. 문풍루. 바람의 소리를 듣는 누각이라는 뜻이다. 아마도 그 바람결에 영월 땅에서 오는 좋은 소식을 기다린 것은 아니었을까? 충절을 지키느라 풀과 고사리로 연명을 한 조려선생이, 날마다 이곳에 올라 애타게 바람결에 오는 소식을 기다렸을 것이다.



채미정, 이름보다 뜻이 더 아름다운 정자. 사람은 죽어 이름을 남긴다고 했지만, 조려선생은 이 채미정으로 인해 천만세에 그 이름을 전할 수 있을 것이다. 청풍대에 올라 지나는 사람들을 바라본다. 무심히 고개 한번 돌리지 않는 사람들. 그렇게 채미의 큰 뜻은 퇴색되어 가는 것인지.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