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 영덕군 축산면 도곡리에는 의병대장인 ‘신돌석장군’의 생가지가 있다. 이 생가지에는 작은 초가 한 동이 서 있는데, 이 집이 바로 신돌석장군이 태어난 집과 같이 지어진 집이다. 집은 고택과 생가, 가옥 등으로 구분한다. 이 중에서 생가는 태어난 곳이고, 가옥은 현재 사람이 거주하는 집을 말한다.

생가지란 그 사람이 태어났으나 현재의 집은 태어날 당시의 집이 아니라는 것이다. 영덕에 있는 신돌석장군의 집도 태어난 곳이기는 하나, 그 당시의 집이 아니라는 것이다. 하기에 그 집터에 지은 집일뿐이다. 하지만 옛 기억을 더듬어 그대로 지었으니, 전혀 무관하다고는 볼 수가 없다.


의병장 신돌석은 누구인가?

신돌석(申乭石, 1878 ~ 1908년)은 구한말의 의병장이다. 당시의 의병장들이 대개는 유학자들을 중심으로 일어났으므로, 신돌석은 우리나라 최초의 평민의병장이 된다. 영덕 축산면의 평범한 농가에서 태어난 신돌석은 본명은 신태호이다. 19세의 어린 나이로 처음으로 의병을 일으켰으며, 1905년 을사보호조약이 강제로 체결이 되자, 동생 신우경과 함께 재차 의병을 일으켰다.


신돌석장군은 울진 등에서 일본 선박을 여러 척 침몰시켰다. 그리고 강원도 동해안과 경상북도의 내륙지방, 지금의 원주까지 넘나들면서 혁혁한 전공을 세웠다. 일본군들은 그의 이름만 들어도 벌벌 떨 정도였다고 한다. 그래서인가 그의 별명은 ‘태백산 호랑이’로 불릴 정도였다.

신돌석장군의 이강년의 의병과 순흥(영주시)을 공격하기도 하는 등 여러 곳의 의병들과 연합전선을 펴면서 활약을 하였다. 경기도 여주 출신 이인영의 13도 창의군이 결성되자, 영남지방을 담당하는 교남창의대장이 되기도 했다.




신돌석장군에 대한 설화 한 토막

이렇게 전국적으로 전공을 세운 신돌석장군은 설화가 많기로 유명하다. 어려서 고래산에 나무를 하러 간 신돌석은 ‘천서(天書)’를 얻었다고 한다. 그는 힘이 장사였으며 달리기를 잘해, 하룻밤 사이에도 먼 거리를 이동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힘이 센 신돌석은 도둑을 잘 잡기도 했고, 호랑이와 싸워 물리치기도 했다는 것이다.

이렇게 신출귀몰한 신돌석장군이 죽은 것은 왜군들의 치졸한 방법 때문이었다고 한다. 총을 쏘아도 죽지를 않는다고 전해지자, 왜병은 신돌석을 잡아오는 자에게는 후한 상을 내리겠다고 하였다. 그런 왜병의 속임수에 넘어간 김상렬이 형제인 김상태, 김상호와 함께 집에 찾아 온 신돌석장군에게 독주를 먹인 후 도끼로 살해를 했다고 한다. 이 삼형제는 신돌석장군의 머리를 잘라 왜병에게 가져갔으나, 산채로 잡아오지 않았다고 하여 상을 주지 않았다는 것이다.



단출한 네 칸의 초가에서 영웅이 태어나

신돌석장군의 생가지에는 현재 네 칸짜리 초가가 한 채 있다. 1940년에는 일본군이 독립의지를 꺾는다는 핑계로 불을 질러 태워버린 것을, 1942년에 기와로 복원을 하였으며, 1995년 8월 19일에 생가지 정비를 하면서 원래의 형태로 복원을 했다고 한다. 집은 동편에 부엌을 두고 방 한 칸과 대청, 그리고 건넌방을 두었다.

집은 단출하며 부엌만 앞으로 돌출을 시켰고, 방과 마루는 앞으로 처마를 빼고 뒤로 물려서 비가 들이치지 않도록 하였다. 방과 방 사이에 있는 대청에는 마주보고 문을 내어 통할 수 있도록 하였다. 장독은 부엌 뒤편에 놓았으며, 앞마당에 돌우물을 있다. 평범한 농민의 집인 이곳에서 왜병들의 간담을 서늘케 했던 신돌석장군이 태어난 곳이다. 그리고 보면 13도 총 의병대장이었던 이인영장군의 집도 이와 별반 다르지 않았다는 생각이다. 왜 의병장들의 생가는 이리 초라한 것인지.


전북 고창군 고창읍 죽림리에 가면 조각공원이 있다. ‘뚜라조각공원’, 아마 이 공원을 조성한 것은 동학혁명을 주도한 전봉준장군의 상을 만들기 위한 작업을 하는 조각가가 조성을 한 것으로 보인다. 이 공원이 소재한 곳이 바로 전봉준 장군의 생가지 옆이기 때문이다. 전봉준 장군의 유적지는 장군이 출생한 고창과 이사를 하여 산 정읍 두 곳에 있다.

뚜라조각공원 안으로 들어가려면 알아서 입장료를 내면 된다. 저팔계가 버티고 있는 입구에 돈 통을 놓고 성의껏 내라고 되어있다.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성의를 보일지는 모르겠다. 입구부터 쓰러져 가는 판자로 막은 오두막에 기대있는 여인상으로 시작해, 넓은 마당에 여기저기 수백 점은 될 만한 크고 작은 조각들이 널려있다.


색다른 재미를 느낄 수 있는 곳

안으로 들어가면 수많은 조각품들이 널려있는 곳. 조각공원이라고 하기보다는 조각박물관이라고 표현하는 것이 적당할 것 같다. 작가가 일일이 만든 것인지, 아니면 따로 수집을 해 놓은 것인지는 몰라도 각양각색의 모습들이 눈에 띤다. 그 중에는 정말 재미있는 작품들이 많이 보인다. 마당은 잔디를 조성해 놓고, 여기저기 조각품들을 늘어놓았다.

그 중 눈에 띠는 것은 줄을 타고 오르는 작은 작품들이다, 처마에도 나뭇가지에도 그리고 철봉 틀에도 매달려 줄을 타고 오르는 작은 군상들. 그리고 테라코타로 조성된 흙기둥에 새겨진 수많은 사람들. 그 중 눈을 끄는 것은 커다랗게 조형에 된 아이들 모습이다. 앞에는 욕조가 있고 그 안에 오줌을 싸고 있는 아이들을 보고는 자지러질 뻔 했다.



조각공원 입구에는 저팔계가 입장료는 성의껏 달라고 한다(위) 잔디로 조성한 광장에 늘어 놓은 작품들
 
오랜 시간 준비를 해온 것인지 벌써 칠이 벗겨지고, 여기저기 파손이 된 작품들도 보인다. 그리고 새로 칠을 한 것들도 보이고 있어, 이 조각공원의 작품은 앞으로도 계속 늘어날 것 같다. 고창을 찾아간다면 아이들과 함께 역사공부를 겸해 찾아가볼만 한 뚜라조각공원. 오늘 그 안에서 또 다른 조각공원의 재미를 느낀다.



테라코타로 조성한 흙기둥에는 수많은 사람들이 조각되어 있다. 이러한 작품이 공원 내 곳곳에 보인다.(위) 그리고 벽돌로 만든 벽을 부수고 나오는 남자. 이런 힘찬 남성상들도 여기저기 보인다(아래)



색을 입혀 눈에 띠는 조각품. 남자 아이 셋이서 욕조에 오줌을 싸고 있는 모습에 웃음을 참지 못했다(위) 복분자의 고장 고창다은 모각품도 보인다(아래) 이 두 가지의 조각품들은 최근에 새로 색을 입힌 것으로 보아 새롭게 보여진 작품인 듯 하다.




줄을 타고 오르는 군상들. 공원 안 여기저기에 보면 줄에 매달려 오르는 작은 조각상들이 널려있다. 처마 밑에도 나뭇가지에도, 철봉 틀에도 이렇게 많은 군상들이 줄을 타고 오르는 것을 보면서, 인간들이 더 높은 곳으로 오르기 위한 안간힘을 보는 듯한 느낌이다. 




각양 각색의 조각들이 나열되어 있는 뚜라조각공원. 아마 아이들과 함꼐 찾아본다면 또 다른 재미를 줄만도 하다. 더욱 옆에는 전봉준 장군의 생가지가 자리하고 있어, 역사적인 공부를 함께 시킬 수 있는 곳이기도 하다 . 길을 나서 찾아보면 많은 볼거리들이 있다. 그것을 어떻게 찾아보느냐가 중요한 것이다. 그리고 그 안에서 내가 무엇을 느꼈는가가 중요하다. 꼭 유명한 곳을 가야만 좋은 구경이 아니다. 문화란 그것을 보고 느끼는 자만을 환영한다.  

천안시 목천읍 동리 79-2에는 이동녕 선생의 생가지가 있다. 평생을 독립운동에 목숨을 바쳤던, 석오 이동녕 선생이 태어난 곳이다. 8월 29일은 국치 100년이 되는 날이다, 부끄러운 역사를 안고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이동녕 선생의 존재는 남다르다. 이곳 천안은 이동녕 선생 외에도 유관순 열사의 생가가 있는 곳이기도 하다.

이동녕 선생은 이 자리에서 태어났다. 현재 이 집은 충남 기념물 제72호로 지정이 되어있다. 원래는 9칸 반의 안채와 사랑채가 있었으나, 현재의 건물은 많이 바뀌었다고 한다. 생가지 조성을 하면서 바꾼 것으로 보인다.


말끔하게 조성 된 이동녕 선생 생가지

이동녕 선생은 이병옥의 장남으로 1869년에 태어났다. 1904년 1차 한일협약이 체결이 되자, 상동청년회에 가입하여 애국계몽운동에 전념하였다. 1905년 을사늑약이 체결되자 이상설 등과 북간도로 망명하여 서전의숙을 설립하고, 1907년에 귀국하여 안창호, 김구 등과 함께 신민회를 조직하였다.

1910년에는 만주로 건너가 이시영, 이강영 등과 함께 신흥무관학교를 설립하였으며, 1919년 상해임시정부에서 국무총리, 국무위원 주석의 일을 함께 보았다. 1928년에는 한국독립당을 결성하여 이사장이 되고, 1935년에는 한국국민당 당수로 활약하였다. 1940년 중국 사천성에서 병을 얻어 사망하였으며, 그곳에 안장하였다가 1948년에 효창공원으로 이장하였다.



생가지 앞마당에는 선생의 앉아계신 모습이 있다. 생가지의 대문채와 안채(아래)

국지성 호우가 미친 듯 쏟아지고 난 뒤, 이동녕 선생의 생가지를 방문했다. 그렇게 쏟아지는 비는 요즈음 들어서도 처음인 듯하다. 마치 국치일의 아픔을 씻어내기라도 한 것일까? 그래도 아직 정신을 못 차리고, 또 다른 국치를 만들고 있는 윗분들 때문에 마음이 울적해 찾은 곳이다.

깨끗이 정리된 생가지 ‘옥의 티’가 즐비해

이동녕 선생이 태어난 생가지 주변은 정리가 잘 되어있다. 그 집 앞에 선생이 쏟아지는 비에도 아랑곳 하지 않고, 의자에 앉아 엷은 미소를 띠우고 계시다. 물론 이곳을 찾는 사람들이 함께 사진을 찍기 위해 조성된 선생의 모습이다. 집을 배경으로 한 선생의 모습이, 찾는 이들에게 무엇인가를 이야기 하려는 듯하다.


원래 집의 모습은 ㄱ 자형의 안채에 사랑채가 있었다고 한다. 그렇다면 집의 구조를 대충은 알고 있었다는 이야기다. 더욱 9칸 반이었다고 하면 그 집이 어떤 형태로 지어졌었는가는, 지역마다 갖고 있는 특징이 있기 때문에 대충 알 수가 있다.

현재 이동녕 선생의 생가는 앞으로 대문채인 광채가 - 자로 있고, 뒤편에 ㄇ 자형의 안채가 놓여있어 튼 ㅁ 자형으로 공간구성을 하였다. 현재 안채는 중앙에 세 칸 대청이 있고, 대청을 바라보고 좌측에는 부엌과 안방이 자리하고 있으며, 그 끝에 다락방인 듯한 반 칸 정도의 방을 드려 모두 4칸으로 구성을 하였다. 대청 좌측으로 보이는 곳도 네 칸으로 구성을 했으며, 대청에 달아낸 부분에는 사랑방을 드렸고, 부엌과 방, 그리고 개방된 마루방을 놓았다.


안방문은 도대체 저런 기발한 생각을 어떻게 한 것일까? 그리고 한편에 붙은 마루방은 또 무엇일까

이 집을 돌아보면서 씁쓸한 마음을 금할 수가 없다. 생가지에 새롭게 집을 짓는다고 해도 가급적이면 예전집의 형태로 복원을 했어야만 했다. 안채와 사랑채가 있었다고 하면, 앞쪽으로는 사랑채가 있고, 그 뒤편에 ㄱ 자형의 안채가, 그리고 한편에는 광채가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재현된 집은 도대체 그 비슷한 형태조차 갖추고 있지가 않다.

생가지의 집에는 무슨 옥의 티가 있을까? 우선 안채의 좌측 끝에 있는 개방마루방이다. 이런 구조를 어떻게 생각해 낸 것일까? 개방마루방을 꾸미려면 마루를 높여 정자와 같이 앞뒤로 개방을 했어야만 했다. 이런 식의 마루방은 전국을 돌면서 한옥을 보았지만, 내 안목이 좁아 그런지 본 적이 없다. 만일 이것이 광을 들인 것이라고 한다면, 당연히 판자문을 달아야만 한다. 

뒷벽에 난 창문을 보면 이것은 방이라는 것이 확실해진다. 광일 경우 뒷벽도 막아야하고, 상단에는 까치구멍이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또 하나는 사랑방과 안방의 문이다. 대개 안방의 문은 네 짝 짜리 미닫이문을 달아야 한다. 그런데 커다란 문 한 개와 작은 문 한 개를 만들어, 위로 올려 붙들어 매게 만들었다.



뒤편에 있는 우물을 들여다보고 그만 입을 다물지 못했다. 이 정도였나?
역사적 인물의 흔적이 있는 고장에서, 이렇게 흉내만 내고 있다니. 

기가 막힐 노릇이다. 뒤편으로 돌아갔더니 우물이 보인다. 맑은 물이 차 있을 것이란 생각으로 다가갔더니, 세상에 이럴 수가 있나. 우물 안에는 자갈만이 가득하다. 사람들이 찾아와 들여다보고는 하는 우물인데, 지하수라도 끌어다가 채웠으면 좋았을 것을. 역사의 한 인물이 살다가 간 흔적이 있는 집을, 이렇게 터무니없이 만들어 놓다니. 일제에 의해 수도 없이 조작이 된 우리의 역사다. 그런데 이것은 또 다른 조작은 아닐까 하는 생각에 울화가 치민다.

많은 사람들이 찾아오는 곳. 그리고 나라의 독립을 위해 평생을 몸 받쳐 온 선생의 생가지에, 이런 집이라니. 돌아보고 나오는 길에 선생의 곁에 가서 앉았다. 쏟아지는 폭우에 젖은 선생에게 정말 죄스런 마음이 들어서다.

“죄송합니다. 선생님. 또 다른 슬픔을 이곳에서 보고 가네요.” 선생의 손을 잡아본다. 그래도 미소를 잃지 않는 모습에서 왈칵 눈물이 솟는다.

'선생님 정말 죄송합니다.' 집을 돌아보고 난 뒤 너무나도 미안한 마음에
비에 젖은 것도 아랑곳 하지 않고 선생님의 곁에 앉아 손을 잡았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