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여주군 북내면 서원리에 가면 이름조차 낯선 갤러리가 있다. <물맘 갤러리>라는 작은 이정표 하나가 마을로 들어가는 길 입구에 서 있다. 이 안내판을 따라 마을 안으로 들어가면, 첫 번째 만나는 집이 바로 물맘갤러리이다. 갤러리의 주인 서종훈씨(남, 50세)는 현재 민족예술인총연합의 경기도지회장이다.

이 갤러리 안에는 못쓰게 망가진 보습, 쟁기, 삽, 쇠스랑, 호미. 그리고 옛날 숯을 넣어 곱게 한복 선을 주름잡던 다리미 등이 새로운 모습으로 생명을 얻어 전시가 되고 있다. 두 번에 걸쳐 사람들과 공동작업을 통해 전시회를 갖기도 한, 이 폐농기구의 새 생명전에는 무슨 일들이 있었던 것일까?


폐농기구가 주는 의미

폐농기구는 단순히 고철이 아니다. 그 안에는 우리 선조들의 피땀이 배어있다. 힘들고 고통스러웠던 지난날들이 그 안에 녹아있다. 쇠스랑, 쟁기, 호미 등, 이런 것들을 이용해 힘들게 농사를 지었다. 그리고 그 농기구들은 가족들과 함께 먹고 사는데 이용한, 생명의 원천이었다. 그 안에는 가족의 생명이 함께 한다. 그래서 창고에 넣어두고 녹이 슬었지만, 버리지를 못하는 것이다.

그런 폐농기구가 창고를 벗어나 밖으로 나왔다. 그리고 새 옷을 입었다. 아버지의 모습으로, 꽃으로, 그리고 또 아름다운 산천으로 다시 태어났다. 이 의미는 무엇일까? 전문적인 화가들이 그림을 그린 것도 있지만, 집에서 살림을 하는 전업주부들도 그림을 그리고 글을 썼다. 그래서 모든 사람들이 새 생명을 불어넣었다.

그 그림 하나마다 뜻을 둔다. 그것은 곧 어제와 오늘, 과거와 현재, 미래를 잇는 가교역할을 한다. 생명을 불어 넣은 사람들은 농촌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이다. 하기에 이 농기구들의 소중함을 누구보다 절실히 느끼고 살아가는 사람들이다. 그들은 이 망가지고 부수어진 농기구들에게 생명을 불어 넣으면서, 스스로의 생명줄을 이어가고 싶은 것인지도 모른다.


아름다운 강에 꽂힌 괭이가 주는 아픔

여주는 남한강이 가로지른다. 은모래금모래의 추억은 여주사람들 누구나 다 갖고 있다. 어릴 적 그곳에서 수영도 하고, 모래밭에서 두꺼비 집도 지었다. 그래서 강변을 아름답게 그려진다. 그런데 그 맑은 물에 커다란 괭이 하나가 떡하니 박혔다. 무슨 의미일까? 보는 이마다 제각각 의미부여를 한다. 어떤 이는 이것을 배라고 한다.

강심에 배를 띠운 그런 아름다운 모습이라고 한다. 그도 맞다. 어떤 이는 이것이 무분별하게 파헤쳐지는 자연을 상징하는 것이라고도 한다. 그 말도 맞다. 폐농기구가 주는 의미는 그래서 무한한 상상을 불러일으킨다. 그렇게 아름다운 경치에 어울리지 않는 괭이 한 자루. 그것은 곧 무한한 상상의 나래를 펴게 만든다.

아버지의 땅엔 무슨 일이

아버지의 땅. 삽 한 자루에 깊게 골이진 얼굴. 옆머리는 이미 하얗게 서리가 내렸다. 아버지는 이 땅에서 무엇을 헸을까? 그 위에 이빨이 다 나가버린 삽 한 자루가 덜렁 놓여있다. 이것은 무슨 뜻일까? 한 마디로 이렇게 피눈물 나게 농사를 지었다. 삽날이 다 닳아빠지게 고생을 하면서 농사를 지었지만, 남은 것이라고는 부채 뿐은 아닐는지.

그렇게 힘든 세상을 살다가 보니 귀밑머리가 하얗게 변했다. 손가락 마디는 굳은살이 박여 제대로 굽어지지도 않는다. 그런 세상을 살아오면서도 불평 한마디 하지 않았다. 굳게 닫힌 입이, 그리고 눈가에 깊게 파인 주름이 마음 아프다. 날이 빠진 삽이 더욱 마음이 아프다. 그래도 아버지는 아직도 땅을 떠나지 못하신다.

엉겅퀴야! 엉겅퀴야!

엉겅퀴의 어린순은 나물을 해서 먹는다. 그리고 엉겅퀴의 뿌리는 약용으로 사용하는 등 볼품없는 풀이지만 많은 곳에 사용을 한다. 엉겅퀴는 지혈을 하는데 특효가 있으며, 각종 출혈에 좋다. 특히 폐결핵에 뛰어난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민간요법에서는 엉겅퀴로 술을 담으면 신경통과 요통의 특효약이라고 한다.

이런 엉겅퀴가 날이 나간 쇠스랑과, 자루가 빠진 낫과 함께 했다. 왜 이렇게 했을까? 작가는 이 엉겅퀴가 많은 약효가 있음을 알고, 그것을 치유하기 위해서란다. 농사를 짓다가 뼈가 갈라지고, 이리 찢기고 저리 찢긴 상처. 몸도 마음도 찢긴 상처를 치료하기 위해서 엉겅퀴를 그렸다. 그리고 답답한 나머지 논두렁에 앉아 술을 마시고 담배를 피우다가, 망가져버린 폐와 간을 위해 엉겅퀴를 그렸다. 그래서 망가진 농기구는 또 다른 생명을 살리는 힘이 되었다.

호미로 막을 것을, 병든 우리네들

옛말에 ‘호미로 막을 것을 가래로 막는다.’라는 말이 있다. 적은 일을 괜히 크게 벌려 낭패를 본다는 뜻일 게다. 요즈음 우리 사회기 그렇다. 그저 순탄히 넘어갈만한 일을 괜히 크게 벌려놓고 감당을 하지 못한다. 작은 호미 하나로 할 일이 있고, 가래로 할 일이 따로 있다. 그런데 호미를 써야 할 일을 괜히 가래를 들고 나오기도 한다. 정말 정신이 없다.

녹이 쓸어 쓸 수 없게 된 낡은 호미에 오방색을 칠했다. 오방색은 우리의 방위를 상징한다. 그리고 온누리를 상징한다. 자연은 그렇게 자연스럽게 변화가 되어간다. 물은 흐르는 대로 흘러간다. 그 물은 자연이다. 호미 안에는 그런 의미가 있을지도 모른다.

다리미와 쇠스랑

쇠스랑은 세발 쇠스랑과 네발 쇠스랑이 있다. 같은 쇠스랑이다. 흙을 일구고 덩어리진 흙을 잘게 만들어 밭을 편편하게 만들 때는, 따비, 쟁기, 가래 등을 사용한다. 쇠스랑도 이때 사용하는 농기구다. 논둑을 뒤엎고 흙을 긁어모을 때도 사용한다. 쇠스랑은 우리 농기구 가운데 많은 일을 감당한다. 이 자루도 없는 녹 쓴 쇠스랑이 꽃줄기가 되었다. 이제는 쇠스랑을 쓸 일이 많지가 않다. 모든 것을 기계가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쇠스랑이 대신 꽃을 피웠다.


다리미가 있다. 안에다 벌겋게 단 숯을 집어넣고 다림질을 한다. 다리미의 입에서 뿜어져 나오는 따듯한 물은 생명의 물이다. 거기서 많은 물고기들이 산다. 생명을 잉태하고 있다. 다리미는 뜨겁다. 온기가 있다. 그래서 다리미를 이용했다. 지금은 저런 다리미를 사용하는 가정은 없다. 그러나 어머니의 손때가 묻은 다리미다. 그 다리미가 생명을 살린다.

이렇게 생명을 얻은 폐 농기구둘이 전시가 되어있다. 여기에는 우리사회의 병든 모습이, 그리고 망가진 우리네의 농촌이, 멍들어버린 농사꾼의 마음이 있다. 그 모든 것을 치유하기 위한 작업을 한 것이다. 그 폐 농기구들을 둘러보면서, 우리는 무엇을 느끼게 될까? 어찌보면 그 망가지고 녹쓴 모습이 우리 민초들은 아니었을까? 다시 눈 여겨 본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