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작가 이미경, 그녀가 전시기획자가 된 까닭은?

 

독립운동가이자 사학자, 언론인이었던 단재 신채호 선생은 역사를 잊은 민족은 미래가 없다라고 했다. 선생은 우리나라에 부처가 들어오면, 한국의 부처가 되지 못하고 부처의 한국이 된다. 우리나라에 공자가 들어오면, 한국을 위한 공자가 되지 못하고 공자를 위한 한국이 된다. 우리나라에 기독교가 들어오면, 한국을 위한 예수가 아니고 예수를 위한 한국이 되니 이것이 어쩐 일이냐. 이것도 정신이라면 정신인데 이것은 노예정신이다. 자신의 나라를 사랑하려거든 역사를 읽을 것이며, 다른 사람에게 나라를 사랑하게 하려거든 역사를 읽게 할 것이다.”라고 했다.

 

선생은 <독사신론>에서 내가 지금의 각 학교에서 교과서를 쓰는 역사를 보건대, 가치 있는 역사가 거의 없도다.”라고 해 역사를 바로 세워야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 역사의 중요성을 강조한 신채호 선생의 명언처럼 아픔의 역사를 잊지 않기 위한 의미있는 전시가 열린다. 광복회 경기도지부(지부장 황의형)이 마련한 ‘3·1운동 및 임시정부수립 조선의열단 백년을 말하다 - 그날의 기억 1919’1126일부터 121일까지 경기도문화의 전당 빛나는 갤러리에서 열린다.

 

그런 그날의 기억 1919’의 공동기획자인 이미경씨를 13일 오후, 영동시장 2층 청년몰 한편 카페에서 만났다. 지난해(2018) 115일 행궁동에 소재한 대안공간 눈에서 이미경 개인전 상처가 아물지 읺았다전을 열고 난후 1년 만의 만남이다. 당시 이미경씨의 전시는 지인의 갑작스런 죽음이 몰고 온 공포를 그대로 사진으로 옮겨 놓았던 상징적 전시였다.

 

 

1년 만에 기획자가 되어 나타난 이미경씨

 

그 전에도 이미경 작가의 전시를 찾아보고 기사화 한 적이 있어 낯이 익은 사람이다. 그런데 뜬금없이 기획자가 되어 나타났다. 그것도 3·1운동, 임시정부수립 100년이라는 의미있는 해(1919)그날의 기억 1919’라는 전시제목을 갖고 전시를 한다는 것이다. 올해는 3·1운동과 임시정부수립 100주년이 되는 해이기 때문에 전국적으로 수많은 관련행사가 열렸다.

 

그런 행사가 한 해의 막바지에 들기 시작한 11월 말에 또 다시 ‘3·1온동 및 임시정부수립 조선의열단 백년을 말하다라는 제목으로 전시를 갖는다는 것이다. 그것도 사진작가가 아닌 전시기획자로 나타났다. 도대체 그녀에게 무슨 일이 있었던 것일까? 그리고 왜 1919년을 기억하고 싶은 것일까?

 

안양에서 사진전을 여는데 독립운동가의 후손들과, 지금은 생존해 계시지 않는 독립운동가를 모티브로 사진전을 열었어요. 그들의 마음을 담아내는 사진작업을 하다가 우리가 그날(191931)의 역사나 독립운동가 들에게 너무 홀대를 하지 않았나 하는 생각을 갖고 있는데, 광복회 경기도지부에서 조선의열단 백년을 말하다라는 제목으로 전시계획을 갖고 있는데 기획을 맡아달라고 했어요

 

그런 전시라면 힘들어도 해야겠다는 생각으로 전시기획을 맡았다고 한다. 그동안 3·1운동 관련자료를 찾기 위해 화성 제암리, 천안 유관순 열사 생가지 등을 찾아다니면서 많은 것을 보고 들었다고 한다. 기획을 한 것이 얼마 되지 않아 힘들지만, 나름 최선을 다해 1919년의 역사를 조명하고 싶다는 것이 이미경씨의 말이다.

 

 

앞으로 우리의 역사를 기록으로 남기는 작업하고 싶어

 

이미경씨가 기획을 하게 된 것은 8,15 광복절을 맞이해 아이들이 그린 태극기를 한 곳 지하도에 전시회를 열고, 그곳에 커다란 태극기를 걸어놓은 후 지나는 사람들이 자신이 느낀 바를 글로 적는 전시를 연 것이 기획의 시작이라고 한다. 전시는 생각 밖으로 많은 사람들이 동참했고, 그 전시를 통해 기획에 대한 자신감을 얻었다는 것이다.

 

저는 중앙대학교 평생교육원 사진학과를 졸업한 후, 국립한경대학교 일반대학원 시각디자인학과에 재학하고 있어요. 이번에 석사논문이 나왔는데 논문제목이 <내면심리의 사진적형상화를 통한 불안극복 - ’상처가 아물지 않았다를 중심으로> 였죠. 개인적인 불안의 문제를 예술활동으로 극복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정신분석학의 이론과 선행작가를 기반으로 살펴본 작품 논문예요

 

이미경씨가 건네주는 석사학위 논문집을 받아들고 사진작가가 기획을 할 수 있다면 우리가 모르고 있던 내면의 세계까지 사진으로 담아낼 수 있기 때문에 기대가 된다고 그동안의 용기를 격려해주었다. 이미경씨는 기획을 하다보니 그동안 사진작가로서 모르고 있었던 더 많은 것을 알게 되었고. 더 많은 공부를 해야 한다는 것도 깨달았다면서 이번 그날의 기억 1919’9명의 작가가 동참했으며(깅동우, 김희곤, 류엘리, 염동균, 이혜정, 조정호, 최순옥, 한영숙, 한희준) 작가들은 모두 경기도에서 활동하고 있다고 한다. 이번 전시의 기획은 이미경씨와 장기택씨가 공동 전시기획을 맡았다.

 

 

기획자는 단순히 나에게 주어진 모티브만을 갖고 전시를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그 모티브가 만들어지기까지의 과정도 고민해야 참다운 기획자가 될 수 있다라는 말로 전시를 하는 이미경씨에게 도움을 주었다. “앞으로는 우리 문화재에 대해 더 많은 것을 공부하고 그 문화재에 얽힌 이야기와 국가, 그리고 민초들의 이야기까지 찾아보겠다고 하는 이미경씨. 이번 그녀가 기획한 그날의 기억 1919’전이 기대되는 것은 사진작가로 활동하던 기획자가 얼마나 다른 모습을 보여줄 수 있을지가 궁금하기 때문이다. 또한 참여작가들이 생각하는 조선의열단 백년은 어떤 모습으로 우리에게 다가올지가 궁금하기 때문이다.

천안시 목천읍 동리 79-2에는 이동녕 선생의 생가지가 있다. 평생을 독립운동에 목숨을 바쳤던, 석오 이동녕 선생이 태어난 곳이다. 8월 29일은 국치 100년이 되는 날이다, 부끄러운 역사를 안고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이동녕 선생의 존재는 남다르다. 이곳 천안은 이동녕 선생 외에도 유관순 열사의 생가가 있는 곳이기도 하다.

이동녕 선생은 이 자리에서 태어났다. 현재 이 집은 충남 기념물 제72호로 지정이 되어있다. 원래는 9칸 반의 안채와 사랑채가 있었으나, 현재의 건물은 많이 바뀌었다고 한다. 생가지 조성을 하면서 바꾼 것으로 보인다.


말끔하게 조성 된 이동녕 선생 생가지

이동녕 선생은 이병옥의 장남으로 1869년에 태어났다. 1904년 1차 한일협약이 체결이 되자, 상동청년회에 가입하여 애국계몽운동에 전념하였다. 1905년 을사늑약이 체결되자 이상설 등과 북간도로 망명하여 서전의숙을 설립하고, 1907년에 귀국하여 안창호, 김구 등과 함께 신민회를 조직하였다.

1910년에는 만주로 건너가 이시영, 이강영 등과 함께 신흥무관학교를 설립하였으며, 1919년 상해임시정부에서 국무총리, 국무위원 주석의 일을 함께 보았다. 1928년에는 한국독립당을 결성하여 이사장이 되고, 1935년에는 한국국민당 당수로 활약하였다. 1940년 중국 사천성에서 병을 얻어 사망하였으며, 그곳에 안장하였다가 1948년에 효창공원으로 이장하였다.



생가지 앞마당에는 선생의 앉아계신 모습이 있다. 생가지의 대문채와 안채(아래)

국지성 호우가 미친 듯 쏟아지고 난 뒤, 이동녕 선생의 생가지를 방문했다. 그렇게 쏟아지는 비는 요즈음 들어서도 처음인 듯하다. 마치 국치일의 아픔을 씻어내기라도 한 것일까? 그래도 아직 정신을 못 차리고, 또 다른 국치를 만들고 있는 윗분들 때문에 마음이 울적해 찾은 곳이다.

깨끗이 정리된 생가지 ‘옥의 티’가 즐비해

이동녕 선생이 태어난 생가지 주변은 정리가 잘 되어있다. 그 집 앞에 선생이 쏟아지는 비에도 아랑곳 하지 않고, 의자에 앉아 엷은 미소를 띠우고 계시다. 물론 이곳을 찾는 사람들이 함께 사진을 찍기 위해 조성된 선생의 모습이다. 집을 배경으로 한 선생의 모습이, 찾는 이들에게 무엇인가를 이야기 하려는 듯하다.


원래 집의 모습은 ㄱ 자형의 안채에 사랑채가 있었다고 한다. 그렇다면 집의 구조를 대충은 알고 있었다는 이야기다. 더욱 9칸 반이었다고 하면 그 집이 어떤 형태로 지어졌었는가는, 지역마다 갖고 있는 특징이 있기 때문에 대충 알 수가 있다.

현재 이동녕 선생의 생가는 앞으로 대문채인 광채가 - 자로 있고, 뒤편에 ㄇ 자형의 안채가 놓여있어 튼 ㅁ 자형으로 공간구성을 하였다. 현재 안채는 중앙에 세 칸 대청이 있고, 대청을 바라보고 좌측에는 부엌과 안방이 자리하고 있으며, 그 끝에 다락방인 듯한 반 칸 정도의 방을 드려 모두 4칸으로 구성을 하였다. 대청 좌측으로 보이는 곳도 네 칸으로 구성을 했으며, 대청에 달아낸 부분에는 사랑방을 드렸고, 부엌과 방, 그리고 개방된 마루방을 놓았다.


안방문은 도대체 저런 기발한 생각을 어떻게 한 것일까? 그리고 한편에 붙은 마루방은 또 무엇일까

이 집을 돌아보면서 씁쓸한 마음을 금할 수가 없다. 생가지에 새롭게 집을 짓는다고 해도 가급적이면 예전집의 형태로 복원을 했어야만 했다. 안채와 사랑채가 있었다고 하면, 앞쪽으로는 사랑채가 있고, 그 뒤편에 ㄱ 자형의 안채가, 그리고 한편에는 광채가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재현된 집은 도대체 그 비슷한 형태조차 갖추고 있지가 않다.

생가지의 집에는 무슨 옥의 티가 있을까? 우선 안채의 좌측 끝에 있는 개방마루방이다. 이런 구조를 어떻게 생각해 낸 것일까? 개방마루방을 꾸미려면 마루를 높여 정자와 같이 앞뒤로 개방을 했어야만 했다. 이런 식의 마루방은 전국을 돌면서 한옥을 보았지만, 내 안목이 좁아 그런지 본 적이 없다. 만일 이것이 광을 들인 것이라고 한다면, 당연히 판자문을 달아야만 한다. 

뒷벽에 난 창문을 보면 이것은 방이라는 것이 확실해진다. 광일 경우 뒷벽도 막아야하고, 상단에는 까치구멍이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또 하나는 사랑방과 안방의 문이다. 대개 안방의 문은 네 짝 짜리 미닫이문을 달아야 한다. 그런데 커다란 문 한 개와 작은 문 한 개를 만들어, 위로 올려 붙들어 매게 만들었다.



뒤편에 있는 우물을 들여다보고 그만 입을 다물지 못했다. 이 정도였나?
역사적 인물의 흔적이 있는 고장에서, 이렇게 흉내만 내고 있다니. 

기가 막힐 노릇이다. 뒤편으로 돌아갔더니 우물이 보인다. 맑은 물이 차 있을 것이란 생각으로 다가갔더니, 세상에 이럴 수가 있나. 우물 안에는 자갈만이 가득하다. 사람들이 찾아와 들여다보고는 하는 우물인데, 지하수라도 끌어다가 채웠으면 좋았을 것을. 역사의 한 인물이 살다가 간 흔적이 있는 집을, 이렇게 터무니없이 만들어 놓다니. 일제에 의해 수도 없이 조작이 된 우리의 역사다. 그런데 이것은 또 다른 조작은 아닐까 하는 생각에 울화가 치민다.

많은 사람들이 찾아오는 곳. 그리고 나라의 독립을 위해 평생을 몸 받쳐 온 선생의 생가지에, 이런 집이라니. 돌아보고 나오는 길에 선생의 곁에 가서 앉았다. 쏟아지는 폭우에 젖은 선생에게 정말 죄스런 마음이 들어서다.

“죄송합니다. 선생님. 또 다른 슬픔을 이곳에서 보고 가네요.” 선생의 손을 잡아본다. 그래도 미소를 잃지 않는 모습에서 왈칵 눈물이 솟는다.

'선생님 정말 죄송합니다.' 집을 돌아보고 난 뒤 너무나도 미안한 마음에
비에 젖은 것도 아랑곳 하지 않고 선생님의 곁에 앉아 손을 잡았다.  

최신 댓글